금아 10주기… 정정호 교수의 ‘피천득 첫 평전’
올해 10주기를 맞은 금아 피천득(1910~2007)은 대중의 사랑과 문단의 평가에 괴리가 있는 문인이다. 시인이자 수필가, 번역가로 아흔일곱 평생을 산 그는 각각 100여편의 수필과 시를 남겼다. 과작인 데다 간결하고 청아한 문장, 단순한 내용 탓에 ‘쉽다’고 재단해 버리는 평가가 우세했다. 타계 10년 만에 첫 평전이 나온 것도 그와 무관하지 않을 테다.정정호 중앙대 교수와 생전 피천득(오른쪽).
정 교수가 쓴 ‘피천득 평전’ 표지.
‘오월은 금방 찬물로 세수를 한 스물한 살 청신한 얼굴이다. 하얀 손가락에 끼여 있는 비취 가락지다. (중략) 내 나이를 세어 무엇하리. 나는 지금 오월 속에 있다.’(수필 ‘오월’에서)
책은 그의 생애(1부)와 문학(2부), 사상(3부)으로 짜였다. 저자는 나라를 빼앗긴 해에 태어나 일곱 살에 아버지를 여의고, 열 살에 어머니를 잃은 상실의 트라우마가 그의 문학적 뿌리가 됐다고 지적한다. 어머니의 죽음으로 그는 어른으로서의 성장을 멈추고 ‘영원한 소년’이 됐고 이런 고아 의식이 ‘어린이 되기’라는 특유의 문학적 지향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저자는 “단순과 소박, 겸손과 온유, 순수와 가난이란 추상 명사들을 일상에서 동사(動詞)로 작동시켰던” 고인의 행보는 생명의 근원을 빚어내는 ‘나무 되기’라는 결론에 이른다. 나무의 말 없는 사랑의 실천이 피천득이 자연에서 가장 닮고자 했던 철학이기 때문이다.
고인의 10주기 추모 행사도 잇따라 열린다. 11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흥사단 2층 강당에서는 문학 세미나가, 19일 오후 3시에는 중구 문학의집 서울에서 ‘음악이 있는 문학마당’이 열려 고인의 문학세계를 반추한다. 기일인 25일 오후 4시에는 경기 남양주 모란공원에서 추모식이 치러진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5-1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