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것도 아닌 것들에 대하여/윌리엄 데이비스 킹 지음/김갑연 옮김/책세상/364쪽/1만 6000원
1998년, 이혼으로 이사를 하게 된 마흔세 살의 저자는 차고에 쌓인 거대한 짐덩이에 놀란다. 저자의 표현을 빌리자면 “아무것도 아닌 것들의 기이하고 다양한 컬렉션”이었다. 버리고 비우며 사는 ‘미니멀 라이프’가 대세인 요즘, 그는 왜 쓸모없는 잡동사니에 둘러싸여 살게 됐을까. 뭔가를 모으고 거기에 의미와 질서를 부여하는 과정을 통해 그가 얻고자 한 것은 무엇이었을까. 이 의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저자 스스로 노력한 결과물이 바로 새 책 ‘아무것도 아닌 것들에 대하여’다.
누구나 조금씩은 컬렉션에 대한 본능 같은 것이 있기 마련이다. 한데 저자는 여느 일반인과 달랐다. 수집할 가치가 있는 것, 누구라도 수집하고 싶어 할 만한 것은 단 하나도 수집하지 않았다. 아무것도 아닌 것들만 골라 수집했다. 예컨대 버려진 의자 따위를 누가 집에 들이려 하겠는가. 하지만 저자는 그랬다. “그런 의자들의 장애인 같은 외양, 가슴 아픈 기능적 불능 상태가 마음에 들었다”며. 이런 식으로 통조림이나 생수병, 온갖 종류의 라벨 1만 8000개, 시리얼 상자 1579개 등을 수집했다.
어느 날인가는 사전 속 작은 그림들을 수집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는 작은 삽화들을 오려 일일이 공책에 붙였다. 그렇게 오려 붙인 것이 200페이지 정도. 각 페이지마다 그림이 35장 정도 들어가니 공책에 수집된 그림은 도합 7000점 정도였다. 일반인의 시각에서는 그야말로 아무것도 아닌 결과물이다. 그런데 중산층이 모여 산다는 미 캘리포니아 주 샌타바버라에서 대학교수로 살아가는 그에겐 그게 ‘아무것’이었다. 그러면서 저자는 그런 자신을 존중하고 동정하며 사랑해 주길 요구했다. 그는 “내가 나 자신을 풀칠해 붙여 넣었고 내 에너지 일부에 고삐를 채웠고 나 자신의 일부를 격자 속에 단단히 고정했음을 당신이 알아주길 바란다”며 “그것이 아무리 기괴해 보이더라도 부디 그렇게 해 주시기를” 요청했다. 저자에게 수집은 곧 생명이었던 거다.
구약성서 창세기에 신은 마지막 일곱째 날에 안식했다고 적혀 있다. 저자는 이를 “아무것도 아닌 것을 창조”했다고 본다. 앞선 엿새 동안 창조된 다른 모든 것들과 마찬가지로 자리매김할 자격이 있다는 것이다. 창조에 따른 휴식은 뭔가를 멈추는 순간이고 이는 곧 죽음의 리허설이다. 저자는 이런 식으로 수집이라는 행위가 결국엔 죽기 마련인 덧없는 인간이 죽음의 공포에 맞서는 하나의 수단일 수도 있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누구나 조금씩은 컬렉션에 대한 본능 같은 것이 있기 마련이다. 한데 저자는 여느 일반인과 달랐다. 수집할 가치가 있는 것, 누구라도 수집하고 싶어 할 만한 것은 단 하나도 수집하지 않았다. 아무것도 아닌 것들만 골라 수집했다. 예컨대 버려진 의자 따위를 누가 집에 들이려 하겠는가. 하지만 저자는 그랬다. “그런 의자들의 장애인 같은 외양, 가슴 아픈 기능적 불능 상태가 마음에 들었다”며. 이런 식으로 통조림이나 생수병, 온갖 종류의 라벨 1만 8000개, 시리얼 상자 1579개 등을 수집했다.
어느 날인가는 사전 속 작은 그림들을 수집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는 작은 삽화들을 오려 일일이 공책에 붙였다. 그렇게 오려 붙인 것이 200페이지 정도. 각 페이지마다 그림이 35장 정도 들어가니 공책에 수집된 그림은 도합 7000점 정도였다. 일반인의 시각에서는 그야말로 아무것도 아닌 결과물이다. 그런데 중산층이 모여 산다는 미 캘리포니아 주 샌타바버라에서 대학교수로 살아가는 그에겐 그게 ‘아무것’이었다. 그러면서 저자는 그런 자신을 존중하고 동정하며 사랑해 주길 요구했다. 그는 “내가 나 자신을 풀칠해 붙여 넣었고 내 에너지 일부에 고삐를 채웠고 나 자신의 일부를 격자 속에 단단히 고정했음을 당신이 알아주길 바란다”며 “그것이 아무리 기괴해 보이더라도 부디 그렇게 해 주시기를” 요청했다. 저자에게 수집은 곧 생명이었던 거다.
구약성서 창세기에 신은 마지막 일곱째 날에 안식했다고 적혀 있다. 저자는 이를 “아무것도 아닌 것을 창조”했다고 본다. 앞선 엿새 동안 창조된 다른 모든 것들과 마찬가지로 자리매김할 자격이 있다는 것이다. 창조에 따른 휴식은 뭔가를 멈추는 순간이고 이는 곧 죽음의 리허설이다. 저자는 이런 식으로 수집이라는 행위가 결국엔 죽기 마련인 덧없는 인간이 죽음의 공포에 맞서는 하나의 수단일 수도 있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7-05-06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