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이것이 카프카/라이너 슈타흐 지음/ 정항균 옮김/저녁의책/424쪽/1만 8000원
프란츠 카프카(1883~1924)는 어느 날 독일 베를린의 한 공원에서 절망에 빠진 듯 울고 있는 소녀를 만났다. 소녀가 인형을 잃어버린 것을 알게 된 카프카는 인형이 사라진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즉석에서 이야기를 지어냈다. 인형이 카프카에게 편지를 남기고 여행을 떠났다고 말이다. 호기심을 가진 소녀가 직접 편지를 보고 싶어 하자 카프카는 집에 와서 인형 대신 ‘대필’을 하기 시작한다. 편지를 써서 인형의 이야기를 소녀에게 전하자 며칠 후 아이는 인형을 잃어버렸다는 사실을 잊고 카프카가 지어낸 이야기에 흠뻑 빠지게 된다. 카프카는 이렇게 3주간 매일같이 허구의 이야기로 상실감에 빠진 소녀를 위로했다.
실존주의 문학의 선구자 카프카에 관한 일화 가운데 잘 알려진 전설 같은 이야기다. 이 일화는 카프카의 마지막 연인으로 알려진 폴란드 여성 도라 디아만트가 1948년에 출간한 회고록에 등장한다. 해석하기 쉽지 않은 작품만큼 도달하기 어려웠던 카프카의 의외의 면모를 알게 되는 대목이다.
카프카 전기 3부작을 펴낸 독일의 카프카 연구 권위자 라이너 슈타흐는 99가지 습득물을 통해 그동안 우리가 알지 못했던 ‘인간 카프카’를 들여다볼 수 있는 길로 인도한다. 카프카의 일기부터 그가 가족, 친구, 애인 등에게 보낸 방대한 양의 편지, 미완성 원고, 사진, 엽서, 공문서 등에서 찾은 단서가 바탕이 됐다.
평생 결혼하지 않았던 카프카는 프라하에서 돈을 주고 여성을 살 수 있는 술집과 사창가를 드나들었다. 1908년 자신의 친구 막스 브로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그는 “책을 읽지 않을 때는 나를 그저 다정하게 어루만져 줄 누군가를 급히 찾아야 해. 그래서 어제는 어떤 창녀와 호텔에 갔었지”라고 적었다. 1912년부터 프라하의 밤 생활을 즐기지 않았던 카프카는 1922년 1월 일기에서는 “멱살이 잡힌 채 길거리에서 질질 끌려다니다가 문 안으로 밀쳐져 들어갔다”며 강요에 못 이겨 사창가에 간 일을 밝히기도 했다.
카프카는 현대 의학을 불신하고 맨손체조와 자연요법을 신봉했다. 1912년 11월 당시 서신을 주고받았던 여인 펠리체 바우어에게 보낸 편지에서 “아니, 난 유명하다는 의사들의 말을 믿지 않아. 그들이 아무것도 모른다고 말할 때만 믿을 뿐이야”라며 의사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대신 카프카는 수년간 매일 저녁 덴마크의 운동선수이자 체조 교사인 예르겐 페터 뮐러가 고안한 체조와 호흡 연습을 했다.
카프카의 대표작 중 하나인 소설 ‘변신’은 카프카가 부모님과 함께 머물던 프라하 니클라스가에 새로 지은 현대식 건물의 셋집을 배경으로 했다. 1917년에는 ‘변신’이 무슨 내용인지 모르겠다며 해석을 요청한 사촌 여동생 때문에 카프카에게 작품의 의미를 설명해 달라고 편지를 쓴 독자도 있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실존주의 문학의 선구자 카프카에 관한 일화 가운데 잘 알려진 전설 같은 이야기다. 이 일화는 카프카의 마지막 연인으로 알려진 폴란드 여성 도라 디아만트가 1948년에 출간한 회고록에 등장한다. 해석하기 쉽지 않은 작품만큼 도달하기 어려웠던 카프카의 의외의 면모를 알게 되는 대목이다.
카프카 전기 3부작을 펴낸 독일의 카프카 연구 권위자 라이너 슈타흐는 99가지 습득물을 통해 그동안 우리가 알지 못했던 ‘인간 카프카’를 들여다볼 수 있는 길로 인도한다. 카프카의 일기부터 그가 가족, 친구, 애인 등에게 보낸 방대한 양의 편지, 미완성 원고, 사진, 엽서, 공문서 등에서 찾은 단서가 바탕이 됐다.
평생 결혼하지 않았던 카프카는 프라하에서 돈을 주고 여성을 살 수 있는 술집과 사창가를 드나들었다. 1908년 자신의 친구 막스 브로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그는 “책을 읽지 않을 때는 나를 그저 다정하게 어루만져 줄 누군가를 급히 찾아야 해. 그래서 어제는 어떤 창녀와 호텔에 갔었지”라고 적었다. 1912년부터 프라하의 밤 생활을 즐기지 않았던 카프카는 1922년 1월 일기에서는 “멱살이 잡힌 채 길거리에서 질질 끌려다니다가 문 안으로 밀쳐져 들어갔다”며 강요에 못 이겨 사창가에 간 일을 밝히기도 했다.
카프카는 현대 의학을 불신하고 맨손체조와 자연요법을 신봉했다. 1912년 11월 당시 서신을 주고받았던 여인 펠리체 바우어에게 보낸 편지에서 “아니, 난 유명하다는 의사들의 말을 믿지 않아. 그들이 아무것도 모른다고 말할 때만 믿을 뿐이야”라며 의사에 대한 강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대신 카프카는 수년간 매일 저녁 덴마크의 운동선수이자 체조 교사인 예르겐 페터 뮐러가 고안한 체조와 호흡 연습을 했다.
카프카의 대표작 중 하나인 소설 ‘변신’은 카프카가 부모님과 함께 머물던 프라하 니클라스가에 새로 지은 현대식 건물의 셋집을 배경으로 했다. 1917년에는 ‘변신’이 무슨 내용인지 모르겠다며 해석을 요청한 사촌 여동생 때문에 카프카에게 작품의 의미를 설명해 달라고 편지를 쓴 독자도 있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7-03-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