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은 죄가 아냐… 인권침해의 시작일 뿐

가난은 죄가 아냐… 인권침해의 시작일 뿐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7-01-06 22:40
수정 2017-01-07 01: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양사 속 빈곤과 빈민/민유기·홍용진 외 지음/책과함께/448쪽/2만 5000원

프랑스 파리 트로카데로 광장에는 이런 문구가 새겨진 동판이 있다. “인간이 빈곤 상태로 살아가도록 강제된 곳은 인권이 침해당하는 곳이다. 빈민이 존중받도록 연대하는 것은 신성한 의무다.” 1960년대부터 1988년 삶을 마감하기 직전까지 빈민 인권 운동에 앞장 선 브레진스키 신부가 평소 자주 언급했던 말이다. 그는 극빈층이 근본적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그들의 인권을 위한 국제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사회적 연대를 향한 그의 줄기찬 호소는 차츰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 모았고 여러 사회 정책에 반영됐다.

이미지 확대
이제 사람들이 좀 먹고살 만한 사회가 됐을까. 현실은 단순하지 않다. 2011년 미국 경제의 심장인 월가를 점령한 시위대는 ‘상위 1%’의 부를 향한 탐욕과 갈수록 심화되는 불평등에 거세게 분노했다. 한국 역시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다. 전체 가구의 25~35%가 빈곤 경계선에 있고 실업, 질병 등 위기를 극복하지 못해 빈곤의 나락으로 떨어지기 직전이다. 빈곤층의 기본적 소득을 보장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하지만 재원 확보를 위한 진지한 노력은 찾아보기 힘들다.

책은 총 4부 12장에 걸쳐 고대부터 현대까지 서양사 속에서 가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쫓고, 다양한 분야의 사회 활동가들이 빈곤 퇴치를 위해 펼친 노력들을 고찰한다. 저자들은 “전 세계적으로 절대적·상대적 빈곤이 눈에 띄게 불거지는 상황이 초래된 원인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면서 “빈곤층의 빈곤 탈출을 도울 각종 공공서비스와 경제·사회정책이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설명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7-01-0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