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에 드러난 조선 지식인 생각과 시대상

저작에 드러난 조선 지식인 생각과 시대상

입력 2016-12-30 17:28
수정 2016-12-31 01: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책, 조선 사람의 내면을 읽다/설흔 지음/위즈덤하우스/240쪽/1만 3000원

이미지 확대
‘열하일기’ ‘표해록’ ‘북학의’ 등 스물네 권의 책을 통해 조광조부터 김정호까지 조선시대 인물 스물세 명의 삶을 들여다본 책이다. 책은 1부 ‘책이 읽은 사람의 내면’과 2부 ‘사람이 읽은 책의 내면’으로 나뉜다. 1부에서 저자는 각 인물들의 내면을 들여다보기 위해 그들이 쓴, 혹은 읽었던 책을 화자로 등장시키는 의인화 기법을 쓴다. 각각의 내용은 그리 길지 않다. 해당 인물의 일생에서 가장 중요하고 상징적인 순간을 골라 이야기를 시작한다. 대개의 에피소드는 각 인물이 남긴 수많은 자료와 사료를 토대로 삼았다. 여기에 저자 특유의 문학적 상상력이 적당히 더해져 마치 소설처럼 해당 시기의 역사적 상황을 재현해 낸다.

예컨대 최부의 ‘표해록’은 저서가 화자, 저자가 객체로 소개된다. 최부(1454~1504)는 최근 중국에서 ‘동방견문록’을 쓴 마르코 폴로에 비견될 정도로 부쩍 재조명받고 있다는 인물이다. 1487년 추쇄경차관으로 제주에 간 그는 이듬해 부친상을 당해 돌아오던 중 풍랑으로 중국 저장성 등을 표류하다 반년 만에 돌아와 책을 펴낸다. 이 표류기가 바로 ‘표해록’이다. ‘나’(표해록)는 이야기의 시작점을 갑자사화(1504)가 일어난 연산군 연간으로 설정한다. ‘내’가 간행되고 한참이 지난 시점이다. 당시 최부는 도루묵 진상으로 인한 백성과 관리들의 고초를 살필 것을 간하다 연산군에게 참형을 당한다. 하지만 ‘나’는 최부가 16년 전 표류 때 사실상 죽었고, 이후의 삶은 새로 얻은 날과 다름없었다고 주장한다. 죽음을 이겨낸 자가 새로 얻은 삶을 소모하는 방식이 직언이었고, 대간으로 꼿꼿하게 살다 연산군의 칼 아래 죽길 원했다는 것이다.

나머지 에피소드들도 형식은 비슷하다. ‘근사록’은 조광조가 소격서 폐지를 주장하다 중종의 역린을 건드려 사약을 받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난설헌시집’은 ‘자신’을 읽은 허경란과 ‘자신’을 쓴 난설헌의 삶을 비교하고, ‘추안급국안’은 김옥균과 그의 하인인 이점돌의 갑신정변 당시 행적을 추적하는 식의 전개방식을 이어 간다.

2부는 ‘사람이 읽은 책의 내면’이다. 형식은 1부와 다른 듯 보여도 내용의 형태는 그리 달라 뵈지 않는다. ‘지도편집자’ 편의 경우 네 가지 형태의 ‘청구도’를 남긴 김정호의 기록을 바탕으로 그의 지도가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 준다. 이런 식의 서술을 통해 김정호가 완벽한 지도를 위해 끊임없이 반복했을 편집과 수정의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6-12-3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