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속에 그려진 한국인의 정체성

소설 속에 그려진 한국인의 정체성

김성호 기자
입력 2016-12-23 17:20
수정 2016-12-24 00: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인의 탄생’ 후속작

한국인의 발견/최정운 지음/미지북스/688쪽/2만5000원

이미지 확대
6·25전쟁기 폭격으로 폐허가 된 서울 명동성당 부근 모습. 흔히 전후 한국의 모습은 공동묘지같은 폐허로 연상되지만 당대의 작가들은 죽은 시체같은 한국인을 되살리는 부활의 마법처럼 소설을 썼다고 ‘한국인의 발견’ 저자 최정운 교수는 평가한다.  서울신문 DB
6·25전쟁기 폭격으로 폐허가 된 서울 명동성당 부근 모습. 흔히 전후 한국의 모습은 공동묘지같은 폐허로 연상되지만 당대의 작가들은 죽은 시체같은 한국인을 되살리는 부활의 마법처럼 소설을 썼다고 ‘한국인의 발견’ 저자 최정운 교수는 평가한다.
서울신문 DB
4·19기념 마라톤에 참가한 대학생들이 서울 수유동 국립 4·19 민주묘지로 행진하는 모습. 흔히 전후 한국의 모습은 공동묘지같은 폐허로 연상되지만 당대의 작가들은 죽은 시체같은 한국인을 되살리는 부활의 마법처럼 소설을 썼다고 ‘한국인의 발견’ 저자 최정운 교수는 평가한다.  연합뉴스
4·19기념 마라톤에 참가한 대학생들이 서울 수유동 국립 4·19 민주묘지로 행진하는 모습. 흔히 전후 한국의 모습은 공동묘지같은 폐허로 연상되지만 당대의 작가들은 죽은 시체같은 한국인을 되살리는 부활의 마법처럼 소설을 썼다고 ‘한국인의 발견’ 저자 최정운 교수는 평가한다.
연합뉴스
‘당대와 조응하며 기록한, 가장 온전한 사상의 모습’ 이라는 소설의 밑바닥에는 시대적 현실이 깔려있다. 사상의 변화는 세상을 뒤바꾸는 역사적, 정치적 사건의 전후기에 가장 극명하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소설에는 객관적 사실에 치중하는 역사학보다 훨씬 더 충실한 정체성의 본질이 담기지 않을까.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가 낸 이 책은 소설을 통해 한국인의 정체성, 사상을 정리하고 있다. 해방기~1990년대의 문제작을 통해 이렇게 되묻는다. ‘나는 누구인가’, ‘우리는 누구인가’. 일제강점기에 발표된 소설을 분석해 2013년 펴낸 ‘한국인의 탄생’의 후속작이다.

이미지 확대
“지식인, 학자 노릇을 해 보니 좋은 논문 쓰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 우리 세상에 꼭 필요한 의미 있는 연구를 하고 글을 쓰는 것이 보람 있는 삶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서양사식 접근법으론 우리의 정체성을 설명할 수 없다는 저자가 문학 텍스트를 택한 이유를 들면서 남긴 말이다. 그 겸손과는 달리 책에서 풀어내는 사상과 정체성의 지적은 집요하다. “자랑스러운 역사라 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피와 눈물이 흘렀고 부끄러운 역사라 하기에는 너무나 영웅적인 투쟁의 연속이었다.”

해방 직후의 분위기는 환희와 축제의 시간만은 아니었다고 한다. 한국인들은 더욱 무시무시한 시대를 예감하고 두려워하고 있었다. 일제가 물러난 해방 공간에는 권력 공백이 생겼고 자연상태가 돌아왔다. 하지만 저자는 해방 공간의 자연상태는 구한말의 ‘홉스적 자연상태’보다는 ‘로크적 자연상태’에 가까웠다고 평한다. 한국인들이 해방 공간에서 보여 준 고도로 권력지향적인 모습과 단체 결성은 안전을 위협받는 ‘로크적 자연상태’에서 자기방어나 공격전술의 일환으로 보호연합들을 구성해 나갔던 것이다.

해방 공간의 자연상태와 그로 인한 혼란을 종식하기 위해선 홉스적 사회계약이 필요했고 이는 자연스레 미국에 대한 의존으로 나타났다. 수립 과정에서 자원의 부족을 급박하게 보충하기 위해 취한 초기 조치들은 장기적으로 대한민국 국가 전체에 광범위한 결과를 야기했고 결국 대한민국은 ‘취약국가’로 태어났다고 보고 있다.

흔히 전후 한국은 공동묘지 같은 을씨년스러운 폐허로 인상지어진다. 1950년대 초반 손창섭이 그린 인물들은 한결같이 죽어가는 사람, 죽음밖에는 길이 없는 사람, 정상적인 삶에서 소외된 사람뿐이었다. 이런 캄캄한 세상을 표현한 작가는 손창섭만이 아니었다. 황순원이 휴전에 앞서 쓴 두 소설 ‘소나기’ ‘카인의 후예’에선 죽음의 주체와 객체로 우리의 초상이 그려진다. 그런가 하면 김동리의 ‘밀다원시대’에선 남쪽 끝 햇살 가득한 꿀벌들의 둥지에까지 죽음이 출몰하고 있다. 여기에서 저자는 조금 색다른 시선을 던진다. 전후 작가들의 문학적 실천은 죽은 시체 같은 한국인을 되살리는 부활의 마법이었다는 것이다. 이 시대의 작가들이야말로 우리 현대사의 최고 영웅들이었다고 평가한다.

4·19와 5·16이라는 두 개의 혁명을 문학에 얹어 풀어내는 시선도 흥미롭다. 4·19혁명 세대의 모습을 투영한 최인훈의 ‘광장’은 대표적이다. ‘광장’의 주인공 이명준은 광장에서 밀실로, 남에서 북으로 밀려나고 결국 푸른 바다로 뛰어든다. 그 이명준은 이렇게 묘사된다. “욕망과 양심이 갈등하는 청년으로 해방 이후 처음 등장한 우리의 동시대인이었다. 그 비극적 선택을 보면서 갈라진 민족의 실체를 느끼게 된다.”

근현대사에 천착해 온 저자에게 그 이후 시기는 어떻게 비칠까. 그가 문학 텍스트로 분석한 1960년대는 ‘욕망의 시대’이고 1970년대는 ‘분열의 시대’이다. 그런가 하면 1980년대는 ‘투쟁의 시대’이다. 저자는 특히 1990년대를 주목한다. 양귀자의 ‘천년의 사랑’, 김소진의 ‘장석조네 사람들’ 같은 작품에는 민족 공동체를 발견하고 복원하려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쓰고 있다. 혼란했던 시기를 넘기고 처음으로 무엇을 인식하고 따지기 시작한 전환점의 표상이라는 것이다.

반세기 현대사를 훑은 뒤끝의 쓴소리가 예사롭지 않다. “싸움거리가 되는 역사의 대목들은 학생들의 교과서에서 삭제되고 삭제를 면한들 우리 이념 투쟁의 장인 근현대사는 두 나라 이야기가 되어 갔다. 그렇게 양 진영의 싸움과 협상에 따라 우리의 역사책은 ‘별떡 달떡’으로 뜯어먹혀 얄팍해지고 결국에는 사료도 없고 밑도 끝도 없는 고대사만 덜렁 남아 우리의 신화마저 모진 학대를 당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리고 그 결말은 이렇게 맺어진다. “수많은 사람이 피를 흘리고 사회가 불안정했던 근본 원인은 우리 사회의 분해, 공동체의 붕괴에 있었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6-12-2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