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든 앞둔 황동규, 열 여섯번째 시집 ‘연옥의 봄’ 내놓다
여든을 앞둔 노시인이 썼다. ‘죽고 사는 일보다 감각 잃는 게 더 못 견디겠는 저녁’이라고. ‘시를 못 쓰는 게 죽기보다 더 싫다는 말로 들린다’고 하자 시인은 “바로 봤다”며 담뿍 반겼다. “정신의 싱싱함이요, 삶의 싱싱함의 약속인 감각의 싱싱함”을 지녔다는 평(김우창 평론가)을 받은 시인다운 토로다. 최근 열 여섯 번째 시집 ‘연옥의 봄’(문학과지성사)을 펴낸 황동규(78) 시인이다.요즘 젊은 시인들의 시를 흥미롭게 읽고 있다는 황동규 시인은 “부분 부분의 힘과 아름다움, 적극성을 넘어 전체적으로 형상화될 수 있는 시를 쓴다면 귀한 시인들이 될 것”이라고 축복했다.
문학과지성사 제공
문학과지성사 제공
1957년 고 3 때 쓴 등단작 ‘즐거운 편지’로 국민 시인이 된 그는 60여년이 흐른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소설가 황순원의 아들로 서울대 영문학과를 나오고 그곳에서 교편을 잡아온 그는 은퇴한 뒤부터 외려 시 쓰기와의 사투가 편해졌다고 했다.
“대학교수란 예술가에겐 무덤이에요. 예술은 보여져야지, 가르치면 안 되거든요. 자가당착의 세계에 빠지게 되니까요. 은퇴하고 나니 싸움이 더 편해졌어요. 표현도 더 자유로워지고 힘도 더 생기고요.”
새 시집에서는 절친했던 고(故) 김치수 문학평론가와 동료, 심지어 제자 등 일상처럼 날아드는 부고들이 켜켜이 쌓여 있다. 가까운 사람의 죽음이란 감정을 한껏 휘저어놓는 비극일 텐데, 이 세계 너머를 응시하는 시인의 시선에는 유머와 순전함이 감돈다. 죽음으로 침잠할 때 가지고 간다는 것은 사소하고 보잘것없는 것들이다. 그래서 생의 찬란함과 귀함을 더 극대화하는.
‘휴대폰은 주머니에 넣은 채 갈 거다./마음 데리고 다닌 세상 곳곳에 널어뒀던 추억들/생각나는 대로 거둬 들고 갈 거다./개펄에서 결사적으로 손가락에 매달렸던 게, 그 조그맣고 예리했던 아픔 되살려 갖고 갈 거다.’(연옥의 봄)
“가까운 사람들의 죽음을 맞는다는 건 위기죠. 하지만 살아가려면 위기를 극복해야 하잖아요. 때문에 제 시는 죽음을 이기는, 위기 극복의 시라 할 수 있죠. 이번 시집이 밝은 이유예요. 결국 모든 문학이란 위기를 극복한 기록이니까요.”
매주 화요일 서교동에서 저녁을 함께하는 오랜 벗들과의 만남에서는 가로금처럼 걷던 이들이 경계 너머 다시 함께할 날을 담담히 미리 건너다본다.
‘지평선인가 수평선인가 그냥 가로금인가/위아래 검붉은 색채 속으로 번져 지워지고/하늘과 땅이 하나가 된다./언젠가 나와 친구들이 가로금처럼 걷다가/하나가 된 검붉은 땅 검붉은 하늘로 스며들어가/하나가 되리라는 이 느낌!/흉치만은 않으이.’(서교동에서)
새삼스러울 것도 없는 미물에게서도 삶의 진리를 길어 올리는 시어들을 짚어가다 보면 “앞으로도 마른 데 진 데 가리지 않고 두근거리겠다”는 시인의 다짐이 단단한 의지임을 확인하게 된다.
‘슬그머니 승용차 하나가 앞을 막아선다./바퀴 바로 앞의 오체투지!/달팽이가 더듬이 조심조심 내저으며 침착히 기어 바퀴 폭을 벗어난다./볼 것 다 봤다는 몸짓을 하며 나도 자리를 뜬다./볼 것 다 보았다니?/그래, 살아 있는 것들 하나같이 열심히 피고 열고 기고 있는 곳에서/더 이상 볼 게 없다는 거짓말 없이 어떻게 자리 뜰 수 있겠는가?’(오체투지·五體投地)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12-0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