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의 탄생/래리 시덴톱 지음/정명진 옮김/부글/588쪽/2만 5000원
지금 서양에서는 많은 이들이 정기적으로 교회에 나가지 않거나 기독교 교리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조차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로 한 조사에 따르면 스스로를 기독교인으로 인식하는 성인 수는 지난 7년간 8%나 급감했다. 비종교화와 종교 썰물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양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을 기독교인이라 여기며 살아간다. 그런 간극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영국 정치철학자가 쓴 이 책은 바로 그 의문에 답을 제시하고 있다. 기독교 사회인 서구 정체성의 핵심, 즉 자유주의 전통을 고대로부터 무려 2000년의 긴 시간을 샅샅이 훑어 풀어내 흥미롭다. 서양에서 도덕적 신념의 근본적인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고, 어떤 험난한 과정을 거쳐 오늘날의 ‘개인’을 탄생시켰는지를 깊이 들여다본다.
현대 민주주의 사회는 ‘개인’을 단위로 한다.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뚜렷이 구분한 채 개인의 양심과 선택의 역할을 강조하는 사회이다. 저자는 그 개인 개념,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한 양심이나 자유는 서구 2000년 역사의 ‘발명품’이라고 명쾌하게 주장한다. 있던 것을 찾아낸 ‘발견’이 아니라 없던 것을 만들어낸 ‘발명’이라는 것이다. 그 지론대로 책에서는 개인의 도덕적 힘이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또 광범위한 법적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는 결실을 이루기까지의 역사를 세밀하게 풀어헤친다. 그리고 그 이야기 풀어내기의 중심에 기독교적 신념을 두고 있다.
책에는 통념을 뒤집는 역사 새로 쓰기의 노력들이 수두룩하다. 우선 고대사회를 보자. 고대사회는 흔히 자유롭고 세속적인 정신이 지배했던 시대로 알려졌다. 하지만 저자는 그 가설을 보기 좋게 뒤집는다. 고대의 가족은 구성원들을 터무니없을 만큼 강하게 억압했던 ‘하나의 교회’였다는 것이다. 이 대목에서 저자는 “모든 조상들을 대표하는 아버지는 한 사람의 예비 신”이었다고 쓰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아버지는 성직자이자 치안판사였다. 그리고 재산은 한 개인 남자의 것이 아니라 가족의 소유였다.
저자는 기독교 사도 바오로가 그런 흐름을 뒤집었다고 힘주어 말한다. 기독교에서 신과의 관계는 모든 인간이 평등한 도덕적 지위를 요구하도록 했고 그 요구를 정당화했다는 저자는 “기독교의 보편성이 개인의 도덕적 신분과 기본적인 사회적 역할이 존재할 바탕을 제공했다”고 딱 부러지게 말한다.
르네상스에 대해서도 “르네상스가 ‘중세’의 종말이라는 견해는 틀렸다”며 색다른 주장을 편다. 개인이 가족과 계급의 사슬로부터 풀려나 우뚝 설 바탕은 12~15세기 신학자 등에 의해 다져졌다는 것이다. 흔히 르네상스는 개인적 자유의 과정에서 결정적인 걸음을 뗀 전환점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르네상스 인본주의자들은 고대의 불평등 사회에 대한 이해 없이 미학적으로 고대를 찬양하고 원천으로 삼았다고 저자는 꼬집는다.
저자에 따르면 고대 가족 중심에서 이뤄진 대로 공통의 조상을 인정하고 공통의 신앙을 구축하면서 부족으로, 다시 고대 도시로 확장됐다. 행정과 군사는 단지 왕의 종교적 권위의 부속물이었으며, 법률은 당연히 종교적 신념의 결과물이었던 시기엔 현대적 의미의 주권은 전혀 없었다. 하지만 BC 6세기부터 세상이 바뀐다. 근본적으로 성직 중심이었던 사회가 낮은 계급들로부터 공격받기 시작한 것이다. 이 시기부터 로마제국의 출현까지 도시 국가들의 역사는 계급 갈등으로 점철됐고 사회구조에 본질적인 변화가 일어나면서 장자상속권이 무너지고 예속 평민들은 자유민이 됐다고 한다.
책은 결국 서양에서 사회적 신분이 아니라 개인이 사회를 조직하는 역할을 맡기까지의 긴 여정의 이야기이다. 아무런 구속 없이 스스로의 힘으로 선택할 수 있는 자유주의의 역사 이야기인 셈이다. 긴 여정을 마무리한 저자는 “서양의 역사에서 지금은 이상하게 소란스러운 순간”이라며 이렇게 쓰고 있다. “유럽인들은 자신들의 전통의 뿌리와 연결을 끊은 채 종종 확신을 갖지 못하는 듯 보인다. 대서양의 양쪽 어디에서도 자유주의적 세속주의와 기독교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적절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고대 로마시대의 원형극장인 콜로세움. 흔히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는 자유롭고 세속적인 정신이 지배한 시대로 알려졌지만 사실은 개인의 자리는 없었고 구성원들을 억압했던 ‘하나의 교회’였다고 영국 정치철학자 래리 시덴톱은 주장한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영국 정치철학자가 쓴 이 책은 바로 그 의문에 답을 제시하고 있다. 기독교 사회인 서구 정체성의 핵심, 즉 자유주의 전통을 고대로부터 무려 2000년의 긴 시간을 샅샅이 훑어 풀어내 흥미롭다. 서양에서 도덕적 신념의 근본적인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고, 어떤 험난한 과정을 거쳐 오늘날의 ‘개인’을 탄생시켰는지를 깊이 들여다본다.
현대 민주주의 사회는 ‘개인’을 단위로 한다.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뚜렷이 구분한 채 개인의 양심과 선택의 역할을 강조하는 사회이다. 저자는 그 개인 개념,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한 양심이나 자유는 서구 2000년 역사의 ‘발명품’이라고 명쾌하게 주장한다. 있던 것을 찾아낸 ‘발견’이 아니라 없던 것을 만들어낸 ‘발명’이라는 것이다. 그 지론대로 책에서는 개인의 도덕적 힘이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또 광범위한 법적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는 결실을 이루기까지의 역사를 세밀하게 풀어헤친다. 그리고 그 이야기 풀어내기의 중심에 기독교적 신념을 두고 있다.
책에는 통념을 뒤집는 역사 새로 쓰기의 노력들이 수두룩하다. 우선 고대사회를 보자. 고대사회는 흔히 자유롭고 세속적인 정신이 지배했던 시대로 알려졌다. 하지만 저자는 그 가설을 보기 좋게 뒤집는다. 고대의 가족은 구성원들을 터무니없을 만큼 강하게 억압했던 ‘하나의 교회’였다는 것이다. 이 대목에서 저자는 “모든 조상들을 대표하는 아버지는 한 사람의 예비 신”이었다고 쓰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아버지는 성직자이자 치안판사였다. 그리고 재산은 한 개인 남자의 것이 아니라 가족의 소유였다.
순교자 사도 바오로. 바오로 사도는 신 앞에서의 인간 평등을 강조해 후대 민주주의 사회의 핵심인 개인이 등장할 존재론적 바탕을 세웠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르네상스에 대해서도 “르네상스가 ‘중세’의 종말이라는 견해는 틀렸다”며 색다른 주장을 편다. 개인이 가족과 계급의 사슬로부터 풀려나 우뚝 설 바탕은 12~15세기 신학자 등에 의해 다져졌다는 것이다. 흔히 르네상스는 개인적 자유의 과정에서 결정적인 걸음을 뗀 전환점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르네상스 인본주의자들은 고대의 불평등 사회에 대한 이해 없이 미학적으로 고대를 찬양하고 원천으로 삼았다고 저자는 꼬집는다.
저자에 따르면 고대 가족 중심에서 이뤄진 대로 공통의 조상을 인정하고 공통의 신앙을 구축하면서 부족으로, 다시 고대 도시로 확장됐다. 행정과 군사는 단지 왕의 종교적 권위의 부속물이었으며, 법률은 당연히 종교적 신념의 결과물이었던 시기엔 현대적 의미의 주권은 전혀 없었다. 하지만 BC 6세기부터 세상이 바뀐다. 근본적으로 성직 중심이었던 사회가 낮은 계급들로부터 공격받기 시작한 것이다. 이 시기부터 로마제국의 출현까지 도시 국가들의 역사는 계급 갈등으로 점철됐고 사회구조에 본질적인 변화가 일어나면서 장자상속권이 무너지고 예속 평민들은 자유민이 됐다고 한다.
책은 결국 서양에서 사회적 신분이 아니라 개인이 사회를 조직하는 역할을 맡기까지의 긴 여정의 이야기이다. 아무런 구속 없이 스스로의 힘으로 선택할 수 있는 자유주의의 역사 이야기인 셈이다. 긴 여정을 마무리한 저자는 “서양의 역사에서 지금은 이상하게 소란스러운 순간”이라며 이렇게 쓰고 있다. “유럽인들은 자신들의 전통의 뿌리와 연결을 끊은 채 종종 확신을 갖지 못하는 듯 보인다. 대서양의 양쪽 어디에서도 자유주의적 세속주의와 기독교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적절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6-11-12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