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꾸민 정원은 자연에 대한 환상…야생보존 노력의 부작용 등 경고
잃어버린 야생을 찾아서/제임스 매키넌 지음/윤미연 옮김/한길사/296쪽/1만 9000원2001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북동쪽 해상에서 폭발에 따른 화재로 붕괴된 석유시추선. 인간의 자연계에 대한 무분별한 개입은 종종 대형 참사로 이어진다. 서울신문 DB
지난 8월 한국수자원공사가 녹조 등 수질 악화를 해소하려고 경남 창녕 함안보 수문을 열어 물을 쏟아내는 모습. 서울신문 DB
대구 금호강 하중도에 조성된 유채꽃밭. ‘도심 속 섬’이자 생태보전지역으로 드물게 친환경 공간을 유지하고 있다. 서울신문 DB
잘 꾸민 정원과 울긋불긋한 꽃·나무가 우거진 수목원. 많은 사람들은 이런 모습을 보면서 아름다운 자연을 말한다. 그런가 하면 자연체험을 위해 농가나 해변, 갯벌여행을 떠난다. 그 자연을 바라보는 인식의 바탕은 인간 손길이 많이 미치지 않는 천연의 동식물이 있는 곳이다. 그 자연관은 맞는 것일까. 캐나다 출신 작가가 쓴 이 책은 보편적인 자연관을 보기 좋게 뒤집어 “야생을 회복하자”고 강조한다.
자연환경을 되살리려는 노력은 20세기부터 지속되어 현재 세계 125개국, 10만 군데 이상의 보호구역이 존재한다. 사람들은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을 구하려 애쓰고 있고 마지막 남은 야생삼림지대를 보존하기 위해 투쟁하고 있다. 그러나 저자는 이런 야생삼림지대는 자연과 연결되지 않은 섬일 뿐이라고 말한다. 실제로 지상보호구역의 60%는 10㎢가 넘지 않는 작은 공간이다. 그 면적에 비례해 생물 개체 수도 변한다. 최근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립공원과 삼림지대 사이에 동물들이 이동할 수 있는 생태통로를 만들고 넓은 공간을 보존하려 노력하지만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우리가 자연이라 부르는 것의 모습은 우리 사회가 다각적으로 만들어 낸 환상일 뿐이다.” 이 지론은 다양하게 풀어진다. 그 모순의 대표 사례는 남극해 고래와 크릴새우의 관계다. 남극해의 대형 고래들이 거의 전멸했을 때 사람들은 크릴새우의 개체 수가 많이 증가할 것으로 여겼지만 결과는 정반대였다. 크릴새우가 원래 개체 수의 80%까지 감소했다. 고래들은 크릴새우를 먹기만 하는 게 아니라 크릴새우가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준다. 결국 더 많은 수의 크릴새우는 고래의 개체 수 증가로 이어지는 것이다.
저자는 150여년 전 환경운동의 기틀을 세운 조지 마시가 ‘인간과 자연’을 내놨을 때도 사람들은 야생의 의미를 잘못 이해하고 있었다고 말한다. 인류는 이곳저곳에 국립공원이나 보호구역을 만들어 야생을 보존하려 노력했으나 그곳은 야생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자연계에 대한 무분별한 개입 사례는 수두룩하다. 도도새의 멸종, 대서양 대구어업의 몰락, 아마존 열대우림지대의 벌목…. 자연 파괴와 동물 학살 사례는 워낙 많아 일일이 기록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북아메리카에서는 백인들이 원주민을 삶의 터전에서 내쫓기 위해 사슴이나 들소를 무자비하게 사냥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그런데도 얼마나 많은 동물이 어떻게 죽었는지는 아무도 알지 못한다.
책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대목은 자연과 인간의 분리이다. 사람들은 자연과 비(非)자연이 대립하는 것으로 인식한다는 주장이다. “두 가지를 분리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자연을 보존할지 아니면 비자연에 자리를 내어줄지를 고민한다. 즉 우리는 인간이 아닌 것, 인간과 반대되는 것이라면 모두 자연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면서 그나마 인간의 흔적을 찾아볼 수 없는 순수한 자연으로 ‘바다’를 꼽으면서 이렇게 경고한다. “태평양에 떠 있는 외딴 섬에서도 생태계 먹이사슬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결국 저자는 잃어버린 야생을 회복하기 위해 ‘재야생화’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물론 이미 많은 사람이 오랫동안 자연과 떨어져 살았기 때문에 과거 상태로 돌아가는 건 불가능하다. 하지만 희망적인 말을 빼놓지 않고 있다. “우리는 대부분 새로 태어난 올빼미의 서투른 동작이나 한 송이 꽃의 복잡한 생김새에 여전히 기쁨을 느낄 수 있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6-10-2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