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은 ‘이미지 세상’ 선구자였다

고종은 ‘이미지 세상’ 선구자였다

함혜리 기자
입력 2015-12-04 17:30
수정 2015-12-04 17: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와 권력/권행가 지음/돌베개/336쪽/2만 3000원

이미지 확대
고종(1852~1919)이 통치한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는 전통미술이 지속되는 가운데 유화나 사진 같은 새로운 매체들이 도입되면서 시각문화에 변동이 일어나던 시기였다. 이런 매체를 누구보다 먼저 접할 수 있었던 고종은 전통 양식의 초상화인 어진(御眞)부터 유화, 사진, 삽화, 판화에 이르기까지 역대 왕 중 가장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를 남겼다. 조선왕조 내내 진전에 봉안되어 아무나 볼 수 없었던 왕의 초상이 아무나 볼 수 있는 이미지가 된 것이다.

‘이미지와 권력’에서 저자는 “고종이 통치하던 시기는 일본과 서양 제국주의 압력 속에서 근대 국가 체제를 갖춰 가야 했던 전환기였다”며 “고종은 왕조의 정통성을 강화하기 위해 궁중 화가가 그린 어진 전통을 활용했을 뿐 아니라 자신의 모습을 대내외에 가시화하기 위해 새로운 시각매체를 적극 활용했다”고 주장한다.

고종은 미국과 수호통상조약을 맺은 지 2년 뒤인 1884년 서양인 퍼시벌 로웰의 카메라 앞에 서게 된다. 시대적 상황에서 외교적, 정치적 행위로 외국인에게 자신의 모습을 재현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촬영된 고종의 초상은 1894년 청일전쟁 무렵부터 프랑스의 ‘르 프티 파리지앵’을 비롯한 서구의 대중매체를 통해 본격적으로 유포되기 시작했다. 아마추어 화가이자 여행가인 헨리 새비지 랜도어가 1895년 출간한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에 왕의 이미지를 소개했고 휴벗 보스, 조세프 드라 네지에르 등에 의해 그림이나 삽화로 만들어졌으며 이러한 이미지는 엽서나 기념품으로도 제작됐다.

고종은 이미지를 통해 서양인들에게 조선의 왕으로서 자신이 갖는 다양한 위엄과 상징의 의미를 전달하려 애썼다. 명성황후 시해 이후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했을 땐 상복을 입은 모습을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 명성황후 시해 사건을 알리고 국왕의 건재를 알리려 했다. 하지만 당시 서구 열강의 다양한 매체에 반복되어 등장한 조선의 왕은 무능하거나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왕비는 팜 파탈의 이미지로 재현됐으며 이는 조선을 바라보는 서구의 시선이기도 했다.

저자는 시간이 지나면서 고종과 순종뿐 아니라 황실 이미지의 생산과 유포의 주도권이 전적으로 일본인의 손으로 넘어갔다고 말한다. “고종의 초상 만들기는 실패로 끝났다”면서도 “국내의 이미지 활용 역사에서 고종의 초상은 그 기원의 자리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함혜리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lotus@seoul.co.kr
2015-12-0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