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시대 생존법… 그래픽·사진 위주 ‘EBS 지식채널형’ 책 출간

영상시대 생존법… 그래픽·사진 위주 ‘EBS 지식채널형’ 책 출간

박록삼 기자
입력 2015-11-17 23:34
수정 2015-11-18 01: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젊은 층 타깃 ‘우리가 사는 세계’ 출간

스마트폰을 손에서 떼지 않는 젊은 층은 책과 거리가 멀다. 지식과 정보를 얻는 수단도 스마트폰 혹은 TV가 대부분이다. 출판계로서는 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위기감은 물론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절박함이 클 수밖에 없다. 최근 나온 ‘우리가 사는 세계’(천년의상상 펴냄)는 이러한 출판계의 절박함이 반영된 결과물이다.

이미지 확대
텍스트 형식 면에서 보면 마치 모바일용으로 제작한 카드뉴스 같기도 하고, EBS TV ‘지식채널’ 같기도 하다. 복잡한 인문학의 사유 체계를 간명하면서도 통찰력 있는 문장에 그림, 사진, 그래픽 등을 덧붙여 담아냈다.

예컨대 18세기 후반 프랑스혁명의 실패 이후 마지막 계몽철학자로 남은 콩도르세(1743~1794)가 감옥에서 쓴 ‘인간정신의 진보에 관한 역사적 개요’에 대한 설명에서는 그의 논리를 도표와 함께 설명한 뒤 ‘교육이 평등해지면 재산의 평등도 커진다’, ‘평등이 가능해진 사회에서는 자유도 확대된다’는 식의 책 내용의 정수를 아포리즘 같은 한 줄로 정리하고 있다.

짧게 끊어 가는 호흡의 형식에도 불구하고 담고 있는 책 텍스트의 정보량과 사고의 깊이는 만만치 않다.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가 강의 교재로 쓰는 ‘문명 전개의 지구적 문맥’을 고스란히 옮긴 덕이다. 후마니타스칼리지 핵심 교양의 한 축인 ‘세계에 대한 이해’를 위해 근현대 400년을 짚어냈다. 코페르니쿠스의 과학혁명으로부터 시작해 사상혁명, 정치혁명, 경제혁명, 개인의 탄생, 근대 도시의 탄생 등으로 짚은 뒤 서양의 근대적 가치가 동아시아와 어떻게 조우했는지, 한국의 전통사회와 만나 어떤 문제와 과제를 남기며 변화·발전했는지를 담은 기초인문교양 텍스트로 거듭났다.

선완규 천년의상상 대표는 “향후 인문서 출판 경향은 기존의 텍스트를 강화하는 축과 젊은 층이 익숙한 뉴미디어적 형식을 실험하는 흐름 두 축으로 진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면서 “이번 책으로 첫 실험을 시도해 본 만큼 책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본격적인 인문학 텍스트로 들어가는 다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5-11-1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