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의 배터리 킹/맥스 알렉산더 지음/박산호 옮김/시공사/529쪽/2만 4000원
아프리카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빈곤의 대륙이다. 수많은 국가와 단체가 도움의 손길을 내밀고는 있지만 빈곤의 굴레를 끊기란 쉽지 않다. 무작정 퍼주기만 해서는 아프리카 스스로 자생력을 갖지 못한다. 근본적으로 가난을 딛고 설 방법을 제시해 줘야 한다. 2007년 빌 게이츠가 다보스세계경제포럼에서 빈곤층을 위한 상품을 개발해 기업과 빈곤층이 상생하는, 이른바 ‘창조적 자본주의’를 실현해 줄 것을 촉구한 것도 그런 맥락이다.
새 책 ‘아프리카의 배터리 킹’은 배터리 대여 사업으로 아프리카 가나에서 ‘창조적 자본주의’를 실현한 형제의 좌충우돌 경험담을 담고 있다. 형제가 만든 기업 ‘부로’가 가나의 대표 배터리 브랜드가 되기까지의 여정을 통해 ‘창조적 자본주의’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하고, 빈곤의 굴레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빈곤층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전하고 있다.
형제가 벌인 사업은 월정액 배터리 서비스다. 전기가 귀한 가나에 싸고 좋은 배터리를 임대한다면 현지인들은 배터리에 쓸 고정 비용을 낮출 수 있고, 배터리를 아끼느라 제한됐던 모든 활동이 가능해진다. 이는 곧 생산성과 수익의 증대 그리고 삶의 질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 분명했다. 형제는 이 사업이 자선 활동과는 다르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공짜로 나눠 주다가 정치적, 경제적 이유로 어느 날 갑자기 철수해 버리는 단체들과 달리 영리를 추구함으로써 빈곤층의 삶을 오랫동안 지지하겠다는 뜻이었다.
물론 난관도 많았다. 찌는 듯한 더위, 어쩌다 한 번 나오는 물, ‘F1보다 더 스릴 넘치는’ 교통 상황, 수많은 원조 탓에 공짜를 당연시하는 문화, 무감각한 시간관념, 관료들의 부정부패 등이 형제를 기다리고 있었다. 난관의 수만큼 그들은 무수한 실패와 좌절을 경험했다. 하지만 그들은 나름의 기지와 유머로 상황을 역전시켰다. 그 과정에서 만난 가나인 개개인에게 얽힌 이야기를 통해 아프리카의 사정을 보다 객관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부로의 초기 경영 형태 또한 처량하기 그지없었다. 부로는 직원이 배터리를 실은 트럭을 타고 비포장도로를 달려 고객들을 직접 찾아다니는 1차원적인 마케팅이 기본이었다.
하지만 이 작은 기업이 가져온 결과는 놀라웠다. 밤새 손전등을 켜 둘 수 있어 가나의 밤이 안전해졌고, 아이들은 밤늦게까지 숙제를 할 수 있게 됐으며 늘 라디오를 들을 수 있기에 고된 노동에도 하루를 즐겁게 보낼 수 있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아프리카는 세계에서 손꼽히는 빈곤의 대륙이다. 수많은 국가와 단체가 도움의 손길을 내밀고는 있지만 빈곤의 굴레를 끊기란 쉽지 않다. 무작정 퍼주기만 해서는 아프리카 스스로 자생력을 갖지 못한다. 근본적으로 가난을 딛고 설 방법을 제시해 줘야 한다. 2007년 빌 게이츠가 다보스세계경제포럼에서 빈곤층을 위한 상품을 개발해 기업과 빈곤층이 상생하는, 이른바 ‘창조적 자본주의’를 실현해 줄 것을 촉구한 것도 그런 맥락이다.
새 책 ‘아프리카의 배터리 킹’은 배터리 대여 사업으로 아프리카 가나에서 ‘창조적 자본주의’를 실현한 형제의 좌충우돌 경험담을 담고 있다. 형제가 만든 기업 ‘부로’가 가나의 대표 배터리 브랜드가 되기까지의 여정을 통해 ‘창조적 자본주의’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하고, 빈곤의 굴레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빈곤층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전하고 있다.
형제가 벌인 사업은 월정액 배터리 서비스다. 전기가 귀한 가나에 싸고 좋은 배터리를 임대한다면 현지인들은 배터리에 쓸 고정 비용을 낮출 수 있고, 배터리를 아끼느라 제한됐던 모든 활동이 가능해진다. 이는 곧 생산성과 수익의 증대 그리고 삶의 질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 분명했다. 형제는 이 사업이 자선 활동과는 다르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공짜로 나눠 주다가 정치적, 경제적 이유로 어느 날 갑자기 철수해 버리는 단체들과 달리 영리를 추구함으로써 빈곤층의 삶을 오랫동안 지지하겠다는 뜻이었다.
물론 난관도 많았다. 찌는 듯한 더위, 어쩌다 한 번 나오는 물, ‘F1보다 더 스릴 넘치는’ 교통 상황, 수많은 원조 탓에 공짜를 당연시하는 문화, 무감각한 시간관념, 관료들의 부정부패 등이 형제를 기다리고 있었다. 난관의 수만큼 그들은 무수한 실패와 좌절을 경험했다. 하지만 그들은 나름의 기지와 유머로 상황을 역전시켰다. 그 과정에서 만난 가나인 개개인에게 얽힌 이야기를 통해 아프리카의 사정을 보다 객관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부로의 초기 경영 형태 또한 처량하기 그지없었다. 부로는 직원이 배터리를 실은 트럭을 타고 비포장도로를 달려 고객들을 직접 찾아다니는 1차원적인 마케팅이 기본이었다.
하지만 이 작은 기업이 가져온 결과는 놀라웠다. 밤새 손전등을 켜 둘 수 있어 가나의 밤이 안전해졌고, 아이들은 밤늦게까지 숙제를 할 수 있게 됐으며 늘 라디오를 들을 수 있기에 고된 노동에도 하루를 즐겁게 보낼 수 있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5-10-3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