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문예지 ‘세계의 문학’ 폐간 운명에 독자에게 외면받고 정부 지원도 줄어
새로운 작가를 발굴하고 작가와 독자의 소통을 담당하는 문예지(계간·격월간지)가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26일 한국잡지협회에 따르면 이달 기준 협회에 등록된 문예지는 158종이다. 하지만 출판 관계자들은 “전국 유통 문예지와 지역 문예지를 합하면 300종 정도의 문예지가 발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 문예지 중 수익을 내는 건 극소수이다. 문학·출판·학계 관계자들은 “계간지 자체로는 수익을 낼 수 없다”고 입을 모았다.
수익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일부에선 편법이 판친다. 복수의 출판사 관계자는 “일부 계간지는 원고료를 주지 않거나 원고료 대신 쌀 한 포대를 주기도 한다. 원고 게재 조건으로 돈을 요구하기도 하고 등단 조건으로 계간지 몇백 부를 사라는 등 장사도 한다”고 털어놨다. 문예지들의 ‘줄폐간’ 징후는 40년 전통의 민음사 문예지 ‘세계의 문학’이 이번 겨울호를 끝으로 폐간될 운명을 맞으면서 도처에서 감지되고 있다.
한 문학평론가는 “‘세계의 문학’은 1970~80년대 ‘창작과비평’, ‘문학과지성(현 문학과사회)’과 함께 한국문학을 지탱했던 3대 문예지였다”며 “‘세계의 문학’ 폐간은 스포츠에 비유하자면 삼성 야구단이 없어지는 것과 같다. 이는 한국 문학시장에서 문예지 유지가 힘들다는 걸 직접적으로 보여 준다”고 지적했다.
정부 지원이 대폭 줄어든 것도 문예지 생존 입지를 더욱 좁혔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올해 우수문예지 발간 지원 대상 문예지를 과거 40~55개에서 14개로 줄였다. 위원회 관계자는 “위원회 사업 개편과 기금 고갈 문제가 겹쳐 지원 규모를 축소했다”고 밝혔다. 정부 지원 삭감으로 25년간 장애인 문학을 대변해 온 계간 ‘솟대문학’은 100호(2015년 겨울호)를 끝으로 폐간된다. ‘솟대문학’ 방귀희 발행인 겸 편집인은 “폐간이라는 말만 들어도 가슴이 너무 아프다”며 “올 들어 계간지의 50% 정도가 지원금을 받지 못하게 됐는데 신생 문예지는 설 땅이 더더욱 없을 것”이라고 안타까워했다.
이경재 숭실대 국문과 교수는 “지금까지 문예지는 평론가 중심의 문학담론이 주였다. 작가와 독자가 직접 소통하는 작가 중심 문예지로 바뀌어야 한다. 미국은 헤밍웨이의 소설이 플레이보이지에도 실렸다고 한다. 문예지가 무겁고 권위적인 이미지를 탈피해 가볍고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시시콜콜한 것들까지 담는 말 그대로 잡지로 바뀌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 출판사 대표도 “계간지는 30~40년 동안 변화가 없었다. 소설, 시, 평론 등 종합 계간지의 편집 형태는 천편일률적이고 판형, 디자인마저도 예전 그대로다. 시대에 맞게 바뀌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민음사는 이런 쇄신 요구에 발빠르게 대응했다. 민음사 관계자는 “‘세계의 문학’이 창비, 문학동네 등 다른 출판사 계간지들과 차이점을 찾을 수 없었다. 한국 문학의 위기 중 하나라고 생각했다. 르포르타주(기록문학) 등 지금까지와는 다른 형식의 소설도 시도하고 에세이 등 좀더 독자지향적인 문예지를 새로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
문학동네도 최근 강태형 대표와 1기 편집위원들이 물러나고 염현숙 신임 대표를 중심으로 2기 편집위원 체제가 출범했다. 복수의 문학평론가는 “아직 결과물이 나온 게 없어 섣불리 판단해선 안 되지만 이들 출판사의 계간지 쇄신 움직임은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10-2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