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사구시·시민사회… 10년 뒤 우리 사회 키워드 될까?

실사구시·시민사회… 10년 뒤 우리 사회 키워드 될까?

박록삼 기자
입력 2015-10-26 18:16
수정 2015-10-26 18: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진보·보수 등 각계 전문가 36명 진단

진보와 중도, 보수 등 사회의 이념적 스펙트럼을 아우르는 각계 전문가 36명이 통일, 시민과 개인, 다문화사회, 저출산 고령화사회, 리더십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10년 뒤 한국 사회의 모습과 과제를 짚은 책을 내놓았다.

이미지 확대
박태준미래전략연구총서 시리즈의 하나로 출간된 ‘10년 후 한국사회’(아시아 펴냄)가 미래학 트렌드를 담은 여느 책들과 다른 점은 전문가들이 분야를 나눠 기계적으로 정리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10년 후 한국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와 과제, 미래상은 무엇이냐’는 공통된 질문을 던졌을 따름이다. 그럼에도 각자가 저마다 풀어낸 조각들을 하나씩 맞춰 보면 10년 뒤 우리 사회의 총체적인 얼개가 내다보인다. 실제로 전문가들이 내놓은 36가지의 제언을 들여다보면 기획 의도는 더욱 명확해진다. 때로는 보수의 언어와 현실 인식이 과격할 정도로 급진적인 반면 진보의 언어는 진중하고 현실적이다. 그럼에도 그들이 만나는 공간은 분명하게 존재한다.

원로 보수학자인 송복 연세대 명예교수는 ‘관료망국’을 거세게 비판했다. 한 예로 공무원연금 개혁안에 대해 그는 ‘개혁이 아닌 개악 중의 개악’이라면서 ‘차라리 현재 그대로 둬서 가능한 한 빠른 시일 내에 모두가 밑바닥까지 내려가도록 내버려두는 것이 낫지 않은가’라고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역사문제연구소장 등을 지낸 정태헌 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는 통일 분야에 대한 전망을 통해 ‘북한을 비난하는 것만으로는 한국에 돌아오는 실익은 없다’면서 ‘감정적 반북론을 넘어 남북 관계를 국익의 잣대에서 보는 사회적 관성이 필요하다’고 인식의 전환을 촉구했다. 중도보수 논객으로 자리매김된 송호근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영화 ‘국제시장’ 속 개인에 대해 ‘국가의 목적이 개인의 성취로 연결됐으니 자부심을 느낄 만하다. 그런데 시민성이 통째로 빠졌다’고 지적했다.

이대환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 연구위원은 26일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고 10년 뒤를 내다보며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실사구시적으로 한국 사회를 진단하는 프로젝트 결과물”이라면서 “관심 연구 분야, 이념적 성향 등을 떠나 실사구시, 실용성, 시민사회 등이 필진이 공통으로 주목하는 키워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5-10-2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