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경영을 바라보는 두 시선/정권택 등 지음/삼성경제연구소/298쪽/1만 5000원
A:변하지 않으면 안 될 상황에 처하기 전에 먼저 변하라. 성장할 사람과 떠나야 할 사람을 구분하는 것이 인사의 핵심이다.
B:기업의 경쟁력은 상품이나 서비스 자체가 아니라 궁극적으로 사람에게서 나온다. 고용 안정에서 기업의 경쟁력이 나온다.
고래로 인사가 만사라고 했다. 인사관리는 기업경영의 핵심 분야다. 위 두 사람은 기업의 인사 문제를 놓고 간접적인 논리 대결을 펼쳤다.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역설한 A는 제너럴일렉트릭(GE)의 최연소 최고경영자 잭 웰치다. 40만명의 직원으로 250억 달러 매출을 올리던 GE는 웰치가 온 뒤 30만명의 직원이 1300억 달러 매출을 올리는 기업으로 변신했다. 반면 B는 고용안정이 기업의 중·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경쟁력을 가져온다며 웰치를 비판했다. B는 조직 행동론 및 리더십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제프리 페퍼 스탠퍼드 경영대학원 교수다. 구조조정은 직원들의 불안감을 부추길 뿐이며 오히려 핵심 인재가 유출되는 손실을 낳는다고 주장한다. 이른바 ‘노동개혁’의 이름으로 기업에 쉬운 해고를 보장해주고 싶어하는 2015년 한국 상황에서 충분히 고민해 볼 만한 주제다.
산업화 이후 만들어진 인사관리와 관련한 경영학적 숱한 논쟁의 이론, 그리고 현장에서 잦은 실험과 실패를 거듭해오며 제기된 질문들을 ‘20문 40답’으로 빼곡히 넣었다. ‘과학적 관리론 vs 인간관계론’, ‘대리인 이론 vs 청지기 이론’, ‘인사관리에 대한 보편론 vs 상황론’ 등 경영학의 고전 이론부터 개인의 보상과 집단보상에 대한 각기 다른 생각, 긍정성을 강조할 것인가 부정성을 제거할 것인가에 대한 딜레마적 상황, 수평적 조직과 수직적 조직의 우월성 비교 등 경영 현장에서 맞닥뜨리는 꽤 많은 난처한 과제들을 망라하고 있다.
기업 현장에서 제기되는 모든 질문은 절실하고, 돌아오는 상반된 논쟁적 대답은 학문적이면서도 다분히 계급적이다. 어떤 것이든 참고할 순 있어도 무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없는 노릇임을 알려주는 대목이다. 정답이 없기 때문이다. 상반된 이론의 어느 한쪽에 무턱대고 휩쓸리느니 기업마다 각기 다를 수밖에 없는 처지와 실정을 정확히 파악하는 게 우선이며, 그 위에서 세계적 석학 및 경영 대가의 이론을 참고해서 ‘우리 회사 만의 인사 이론’을 개발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한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A:변하지 않으면 안 될 상황에 처하기 전에 먼저 변하라. 성장할 사람과 떠나야 할 사람을 구분하는 것이 인사의 핵심이다.
B:기업의 경쟁력은 상품이나 서비스 자체가 아니라 궁극적으로 사람에게서 나온다. 고용 안정에서 기업의 경쟁력이 나온다.
고래로 인사가 만사라고 했다. 인사관리는 기업경영의 핵심 분야다. 위 두 사람은 기업의 인사 문제를 놓고 간접적인 논리 대결을 펼쳤다.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역설한 A는 제너럴일렉트릭(GE)의 최연소 최고경영자 잭 웰치다. 40만명의 직원으로 250억 달러 매출을 올리던 GE는 웰치가 온 뒤 30만명의 직원이 1300억 달러 매출을 올리는 기업으로 변신했다. 반면 B는 고용안정이 기업의 중·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경쟁력을 가져온다며 웰치를 비판했다. B는 조직 행동론 및 리더십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제프리 페퍼 스탠퍼드 경영대학원 교수다. 구조조정은 직원들의 불안감을 부추길 뿐이며 오히려 핵심 인재가 유출되는 손실을 낳는다고 주장한다. 이른바 ‘노동개혁’의 이름으로 기업에 쉬운 해고를 보장해주고 싶어하는 2015년 한국 상황에서 충분히 고민해 볼 만한 주제다.
산업화 이후 만들어진 인사관리와 관련한 경영학적 숱한 논쟁의 이론, 그리고 현장에서 잦은 실험과 실패를 거듭해오며 제기된 질문들을 ‘20문 40답’으로 빼곡히 넣었다. ‘과학적 관리론 vs 인간관계론’, ‘대리인 이론 vs 청지기 이론’, ‘인사관리에 대한 보편론 vs 상황론’ 등 경영학의 고전 이론부터 개인의 보상과 집단보상에 대한 각기 다른 생각, 긍정성을 강조할 것인가 부정성을 제거할 것인가에 대한 딜레마적 상황, 수평적 조직과 수직적 조직의 우월성 비교 등 경영 현장에서 맞닥뜨리는 꽤 많은 난처한 과제들을 망라하고 있다.
기업 현장에서 제기되는 모든 질문은 절실하고, 돌아오는 상반된 논쟁적 대답은 학문적이면서도 다분히 계급적이다. 어떤 것이든 참고할 순 있어도 무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없는 노릇임을 알려주는 대목이다. 정답이 없기 때문이다. 상반된 이론의 어느 한쪽에 무턱대고 휩쓸리느니 기업마다 각기 다를 수밖에 없는 처지와 실정을 정확히 파악하는 게 우선이며, 그 위에서 세계적 석학 및 경영 대가의 이론을 참고해서 ‘우리 회사 만의 인사 이론’을 개발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한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5-10-2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