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질문을 하고 있나? 당신은 이미 철학자”
“그런데, 교수님이 말씀하신 철학과 우리 현실은 다르지 않나요?”전호근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가 지난달 30일 대학 연구실에서 자신의 저서에 담아낸 1300년 한국철학사를 관통하는 키워드인 ‘화해와 포용’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전호근(53)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가 일반인 혹은 대학생들에게 고전철학을 강의할 때면 빈번히 나오는 질문 중 하나다. “그럼 손자병법만 읽으면 될 것 같나?”라고 되묻고 싶지만 꿀꺽 삼킨 뒤 “현답(賢答)이 필요한 질문이네요” 하면서 애써 피해 간다고 한다. 우문(愚問)이라는 뜻의 에두름이다. 물론 전 교수 역시 잘 알고 있다. 좌우 갈등과 대립이 극심한 현실에서 철학은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또한 쉴 새 없이 경쟁에 내몰리고 경제적인 공포와 삶에 대한 불안에 시달리는 사람들에게 철학은 선뜻 다가서기 어려운 대상이다. 하지만 그는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철학을 공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 경희대 연구실에서 만난 전 교수는 “많은 이들이 철학을 골치 아프고 까다로운 개념의 용어투성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서양철학처럼 그 사유 구조와 생성 배경이 우리네 삶과 유리된 것을 철학의 대부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가 최근 ‘한국철학사’(메멘토 펴냄)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이유기도 하다.
‘한국철학사’는 삼국시대 불교철학자 원효(617~686), 의상(625~702)부터 현대철학자 박종홍(1903~1976), 함석헌(1901~1989) 등에 이르기까지 1300년에 걸쳐 대표적인 철학자 35인의 삶과 사상을 통해 한국철학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짚어낸 책이다. 특히 쉬운 입말과 입글로 풀어내 철학에 덧씌워져 있는 ‘딱딱하고 지루하다’는 혐의를 벗어내고자 했다.
그는 “한국이 근대화를 거쳐 갔지만 서양철학 아닌 한국철학만으로도 근대의 각종 현상을 설명하지 못할 부분이 없다”면서 “예컨대 원효의 명저인 ‘대승기신론소’나 퇴계 이황의 이기론은 한국 사회의 각종 모순 및 개인의 욕망과 도덕 문제 등에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철학 자체가 ‘지금, 여기’에 놓인 과제를 풀 수 있는 수단임을 말하는 동시에 한국철학이 서양철학에 의해 타자화되고 위계화되는 현상에 대한 지적이다.
특히 성리학 전공자답게 조선시대 지배계급의 사상이며 봉건시대의 이데올로기쯤으로 폄하되던 성리학에 대해 그가 펼치는 변론도 흥미롭다. 성리학은 유가의 계승이지만 공자, 맹자, 순자류뿐 아니라 도가의 우주론, 불교의 인식론이 종합된 이론으로 자리매김된다. 고리타분한 당대의 지배 이데올로기가 아니라 새로운 세계관을 포용하고 수용한 철학이라는 설명이다. 퇴계 이황, 율곡 이이는 물론 화담 서경덕(1489~1546) 등을 통해 이를 입증한다.
전 교수가 한 줄로 정리하는 1300년 한국철학의 정수는 ‘극단의 대립에 대한 화해와 통합, 타자에 대한 포용’에 있다. 현대불교 및 한국 사회에서도 끊임없이 강조되는 원효의 ‘화쟁(和諍)사상’을 비롯해 생명철학자 장일순(1928~1994)에 이르기까지 대립과 갈등 속에서 평화로운 공존 및 포용을 지향해 왔다. 그렇기에 한국 현대철학의 거인이면서 마지막 삶을 군사정권의 이데올로그로 살았던 박종홍과 끊임없이 권력과 맞서 싸워 왔던 함석헌, 유영모, 그리고 일제강점기 마르크스주의 철학자 신남철(1903~?), 박치우(1909~1949)를 현대철학의 대표 지성으로 내세운 부분이 설명된다. 책과 강의를 통해 한국철학이 강조하는 화쟁을 실천하는 것이다. 그는 “철학은 어려운 것이 아니다”라면서 “당신의 삶에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있다면 이미 철학을 할 준비를 끝낸 것”이라고 말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5-10-0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