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 新방정식… “창조적 경험 쌓아라”

경제성장 新방정식… “창조적 경험 쌓아라”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5-09-25 22:34
수정 2015-09-25 23: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축적의 시간/서울대 공과대학 지음/지식노마드/559쪽/2만 8000원

이미지 확대
1970년대 이후 한국의 눈부신 경제성장에 대해서는 새삼 설명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1990년대를 넘어서면서 기업의 수익성 악화와 거시경제 측면에서 잠재성장률의 추세적 악화 현상이 우려되는 현실을 맞고 있다. 산업을 넘어 국가 차원의 개조가 절실한 시점이다. 새 책 ‘축적의 시간’은 26명의 서울대 공대 교수가 각자의 전공에 입각해 우리 산업의 구조적 문제와 주변의 경쟁적 환경, 미래 전략에 대해 심층적인 이야기들을 풀어놓고 있다. 우리 산업계가 처한 현실과 돌파해야 할 과제, 중국의 부상에 대한 대응, 대학의 역할과 산학 협력의 과제, 국가정책의 보완점 등 6가지 화두를 토대로 각자의 세부 영역을 분석하고 실제적 대응방안을 살폈다.

분야에 따라 이 멘토들이 제시하는 원인은 다소 달랐지만, 산업의 종류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현상이 있었다. 창의적이고, 근본적으로 새로운 개념을 제시할 수 있는 역량, 즉 ‘개념설계’ 역량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우리 산업이 압축성장 과정을 거치며 스스로 경험을 축적하기보다 선진국에서 개념을 받아 실행하는 것에 익숙해져 있었던 게 주요한 원인일 터다.

이제 그 모델이 한계 상황에 봉착한 셈인데, 여기서 또 문제가 생긴다. 개념설계 역량이 교과서로는 배울 수 없다는 것이다. 객관식 문제 풀듯 외워서 대처할 수 있는 게 아니라 반드시 오랜 시간의 경험을 통해 축적된 무형의 지식과 노하우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 우리 산업이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축적의 시간을 어떻게 벌어야 하는가가 중요한 키워드가 된다.

우리에겐 선진국처럼 100년 이상 기다리며 경험을 축적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 그렇다고 중국과 같은 거대한 내수시장도 없다.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길은 뭘까. 멘토들은 사회 전반의 인센티브 체계와 문화를 바꾸어 당장의 성공보다는 지식과 기술, 환경에의 적응 양식을 개선하는 노력을 강조한다.

새롭고 도전적인 개념을 자신 있게 이야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실패를 용인하며, 경험지식을 축적하기 위해 애쓰는 조직과 사람에게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종전 우리 산업계와 정책 의사결정자들이 가지고 있었던 성공의 방정식, 즉 짧은 기간에 집중적으로 자원을 동원하고, 항상 정해진 목표를 조기에 초과 달성하던 습관에서 벗어나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시행착오의 과정과 결과를 꼼꼼히 쌓아가는 문화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충고한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5-09-2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