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의 연금술/토머스 헤이거 지음/홍경탁 옮김/반니/380쪽/1만 8000원
질소는 대기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독일 과학자 프리츠 하버(1868~1934)와 카를 보슈(1874~1940)는 오랜 연구 끝에 공기 중 질소를 암모니아로 변환해 질소비료를 만드는 법을 발견하고 이를 실용화했다. 세계의 식량 공급이 인구 증가를 따라가지 못해 대기근이 발생하리라 예측되던 시대였다.
하지만 인류를 구원하게 됐다는 기쁨도 잠시, 두 차례의 세계대전 속에서 질소는 독가스와 폭탄 제조에 사용되면서 이들은 명예와 비난을 동시에 짊어지게 된다.
‘공기의 연금술’은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발견을 이뤄 낸 두 과학자의 삶과 그들의 과학적 발견을 드라마틱하게 펼친다. 하버는 암모니아 합성법으로 1918년 노벨화학상을 받으며 ‘공기로 빵을 만든 과학자’라는 칭송을 받았지만 이후 ‘독가스전의 아버지’로 비난받기도 했다. 1차 대전 종전 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독일에 부과된 엄청난 전쟁 배상금을 벌기 위해 바닷물에서 금을 추출하는 실험을 하는 등 조국에 헌신했음에도 불구하고 하버는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버림받았고, ‘전쟁 중에나 평화로울 때나 조국이 허락하는 한 조국에 봉사했다’는 묘비명을 남겨 달라는 유언조차 이뤄지지 못했다.
독일의 화학회사 바스프의 화학자였던 보슈는 고정 질소로 암모니아 생성에 성공한 하버의 기계를 실용화하는 데 성공해 ‘하버보슈 공정’을 완성했고 그 공로로 1931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바스프의 대표가 된 뒤 회사를 지키기 위해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 정권에 협력했지만 결국 홀로 남아 쓸쓸한 말년을 보냈다.
저자는 머리말에서 “인류를 이롭게 하기 위한 과학적 이타심이 정치와 권력, 돈, 개인적 욕망과 맞닥뜨렸을 때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보여 주고 싶었다”며 “그것이 진짜 과학의 세계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과학의 양면선을 이야기하는 책은 시대적 숙명 속에서 과학자에게 윤리란 무엇인지. 과학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한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질소는 대기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독일 과학자 프리츠 하버(1868~1934)와 카를 보슈(1874~1940)는 오랜 연구 끝에 공기 중 질소를 암모니아로 변환해 질소비료를 만드는 법을 발견하고 이를 실용화했다. 세계의 식량 공급이 인구 증가를 따라가지 못해 대기근이 발생하리라 예측되던 시대였다.
하지만 인류를 구원하게 됐다는 기쁨도 잠시, 두 차례의 세계대전 속에서 질소는 독가스와 폭탄 제조에 사용되면서 이들은 명예와 비난을 동시에 짊어지게 된다.
‘공기의 연금술’은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발견을 이뤄 낸 두 과학자의 삶과 그들의 과학적 발견을 드라마틱하게 펼친다. 하버는 암모니아 합성법으로 1918년 노벨화학상을 받으며 ‘공기로 빵을 만든 과학자’라는 칭송을 받았지만 이후 ‘독가스전의 아버지’로 비난받기도 했다. 1차 대전 종전 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독일에 부과된 엄청난 전쟁 배상금을 벌기 위해 바닷물에서 금을 추출하는 실험을 하는 등 조국에 헌신했음에도 불구하고 하버는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버림받았고, ‘전쟁 중에나 평화로울 때나 조국이 허락하는 한 조국에 봉사했다’는 묘비명을 남겨 달라는 유언조차 이뤄지지 못했다.
독일의 화학회사 바스프의 화학자였던 보슈는 고정 질소로 암모니아 생성에 성공한 하버의 기계를 실용화하는 데 성공해 ‘하버보슈 공정’을 완성했고 그 공로로 1931년 노벨 화학상을 받았다.
바스프의 대표가 된 뒤 회사를 지키기 위해 제2차 세계대전 중 나치 정권에 협력했지만 결국 홀로 남아 쓸쓸한 말년을 보냈다.
저자는 머리말에서 “인류를 이롭게 하기 위한 과학적 이타심이 정치와 권력, 돈, 개인적 욕망과 맞닥뜨렸을 때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보여 주고 싶었다”며 “그것이 진짜 과학의 세계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과학의 양면선을 이야기하는 책은 시대적 숙명 속에서 과학자에게 윤리란 무엇인지. 과학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한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09-1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