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도 제사 지내던 그 시절… 우리가 몰랐던 조선의 역동성

딸도 제사 지내던 그 시절… 우리가 몰랐던 조선의 역동성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9-12 00:08
수정 2015-09-12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용재총화/성현 지음/김남이·전지원 외 옮김/휴머니스트/744쪽/3만 2000원

“조선(朝鮮) 하면 어떤 이미지가 가장 먼저 떠오르는가.” 이 질문을 접하면 대다수 사람들이 성리학적 가치를 떠받드는 유교 사회, 봉건적 가부장제, 남존여비, 장남 중심의 위계질서 등을 연상한다. 하지만 이런 모습이 조선시대 전체를 관통할까.

이미지 확대
조선 전기 학자이자 문학가였던 성현(1439~1504)이 펴낸 ‘용재총화’는 그런 조선의 이미지를 산산조각 낸다. 인물, 역사, 문학, 제도, 풍속, 설화 등 조선 전기의 온갖 것에 관해 기록한 ‘용재총화’는 우리가 몰랐던 조선 전기의 생생한 모습을 담고 있다. 성리학과 가부장제로 대변되는 조선 후기가 아닌, 새로운 문명의 활기와 자유분방함이 넘치며 호방한 사람들이 살아 숨 쉬는 조선 전기의 모습을 보여 준다.

책을 번역한 김남이 부산대 한문학과 교수는 “조선 전기는 다양성과 역동성을 지닌 문명의 전환기였다”고 설명했다. “성리학이 강력한 권위와 체계를 갖추게 된 건 17세기 즈음이다. 그 전엔 아들과 딸이 돌아가면서 제사를 맡는 윤회봉사(輪回奉祀), 결혼을 하고서도 여자가 친정에 머물며 사는 남귀여가(男歸女家) 등 우리가 상상하기 어려운 조선시대가 존재했다. ‘성리학 시대’라는 조선 후기 프레임이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이 같은 조선 전기의 본모습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용재총화’는 1950년대 북한 번역본, 1971년 민족문화추진회 ‘대동야승’ 수록본 등 3~4종의 번역본이 있다. 이 책은 기존 번역서의 오류를 바로잡고, 사실과 맥락을 더욱 풍부하게 살필 수 있도록 정리한 새로운 정본이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9-1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