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문득 맞닥뜨린 질문, 슬픔과 증오… 인간 본성은?

어느 날 문득 맞닥뜨린 질문, 슬픔과 증오… 인간 본성은?

김승훈 기자
입력 2015-09-02 23:34
수정 2015-09-03 02: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설가 정용준 두 번째 작품집 ‘우리는 혈육이 아니냐’ 출간

‘선명한 서사’로 문단에 신선한 충격을 던진 소설가 정용준(34)이 인간 본성을 심도 있게 파고들었다. 2011년 소설집 ‘가나’ 이후 4년 만에 낸 두 번째 소설집 ‘우리는 혈육이 아니냐’(문학동네)에서다.

이미지 확대
인간의 본성을 다각도로 파헤친 두 번째 소설집을 낸 정용준은 “인간은 사회적인 자아가 아니라 솔직한 자아로 살 때 가장 인간답다”며 “그렇게 살 수 없기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슬퍼진다”고 말했다. 백다흠씨 제공
인간의 본성을 다각도로 파헤친 두 번째 소설집을 낸 정용준은 “인간은 사회적인 자아가 아니라 솔직한 자아로 살 때 가장 인간답다”며 “그렇게 살 수 없기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슬퍼진다”고 말했다.
백다흠씨 제공
첫 소설집 출간 이후 3~4년간 쓴 여덟 편의 단편이 실렸다. 표제작 ‘우리는 혈육이 아니냐’를 비롯해 ‘474번’ ‘개들’ ‘안부’ ‘내려’ ‘미드윈터-오늘 죽는 사람처럼’ ‘이국의 소년’ ‘새들에게 물어보는 사람이 있네’ 등이다. 작가는 “몇 년간 뭔가에 시달렸거나 의문을 품었거나 골똘히 집중했던 것들을 썼는데, 인간 본성에 대해 스스로에게 던진 질문이 많았다”고 했다. “본성은 이미 나에게 주어진 것이다. 난 왜 이렇게 태어났을까, 내 피엔 왜 이런 습성이 배어 있는 걸까. 하루하루 최선을 다해 살다가도 어느 날 문득 이런 질문과 맞닥뜨리게 될 때가 있다. 그 질문이 타고난 본성에 대한 회의를 품게 한다. 한 개인이 가장 큰 슬픔을 느끼는 건 본성대로 살 수 없다는 걸 깨닫게 되거나 자신의 본성이 싫어지는 순간이라고 생각한다.”

이미지 확대
작품 곳곳에서 본성 때문에 스스로를 미워하거나 아버지를 증오하는 인물들을 접할 수 있다. 아무런 죄의식 없이 사람을 죽인 살인자의 이야기를 다룬 ‘474번’, 아내를 살해한 죄로 교도소에서 복역하다 불치병에 걸려 출소한 아버지와 아들의 갈등을 그린 ‘우리는 혈육이 아니냐’가 대표적이다. 작가는 “‘우리는 혈육이 아니냐’와 ‘474번’은 같은 계절에 같은 주제로 함께 쓴 작품”이라고 했다. “주인공들은 자신의 이런 점이 너무 싫은데 그것을 그토록 증오했던 아버지에게 물려받았다는 걸 인식하게 되면서 자신들을 미워하게 된다. 자신을 미워하는 것보다 슬픈 게 또 있을까. 그렇게 태어나버린 이들의 슬픔을 이야기하고 싶었다.”

인간의 본성을 가정과 사회, 두 측면에서 접근하기도 했다. “본성은 기본적으로 부모에게 물려받는다. 부모에게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일차적인 슬픔은 가정에서 일어난다. 사회 구성원으로 살 때는 본성을 더더욱 통제받는다. 게으르게 살지도 못하고, 아무것도 하기 싫은데 그렇게 하지 못하고. 인간 본성은 극복해야 하는 문제라고 압박을 받는다. 사회의 모든 제도 안에서 개인은 억압을 받고 그 제도들과 싸우면 싸울수록 더욱 상처를 받을 뿐이다.”

군 의문사를 다룬 ‘안부’도 인상적이다. 작품 속 어머니는 아들의 억울한 죽음을 규명하기 위해 장례를 치르지 않고 아들의 시신을 6~7년간 냉동실에 보관한다. “아무리 큰 사건·사고일지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본질은 퇴색하고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진다. ‘세월호 참사’도 1년이 지났을 뿐인데 관심 밖으로 밀려났다. 자녀를 잃은 부모들은 그대로인데, 본질은 하나도 변한 게 없는데, 사람들은 이제 그 이야기를 꺼내는 걸 지겹다고 여긴다. 이런 남겨진 이들의 슬픔과 쓸쓸함을 다루고 싶었다.”

2009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작가는 “소설이 좋다”고 했다. “아무 힘도 없는 문장 한 줄과 허구의 이야기가 나를 지키고 보호한다는 환상,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인물이 내 곁에 서서 말을 들어주고 종종 대화도 나눈다고 믿는 망상과 어리석음, 이 모든 것들이 좋다. 소설이 세계를 바꿀 수는 없지만 사람은 바꾼다. 쓰는 자도 읽는 자도 바뀐다. 경험으로 깨달은 유일한 믿음이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5-09-03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