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의 탄생/함혜리 지음/컬처그라퍼/296쪽/1만 5000원
수준 높은 예술의 정수를 만나 볼 수 있는 박물관과 미술관 기행은 유럽 여행의 백미다. 아예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테마로 정하는 여행객까지 생길 정도로 대중의 관심이 상당히 뜨겁다.
‘미술관의 탄생’은 미술전문기자인 저자가 1년에 걸쳐 유럽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술관 22곳을 돌아본 미술관 건축 기행이다. 건축으로 만나는 유럽 최고의 미술관이라는 부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예술 작품을 품고 있는 건축물에 주목한다. 미술관과 박물관 건축은 그 시대의 예술과 건축의 역사를 대변하며 어떤 건축물은 그 자체가 거대한 예술작품이기 때문이다.
저자가 직접 발품을 들여 쓴 글과 사진을 마주하다 보면 유럽 미술관의 한복판에 있는 것 같은 착각이 든다. 그 속에는 영국박물관이나 루브르 박물관처럼 우리가 익히 아는 유명 박물관도 있지만 테이트 모던이나 졸페라인 복합문화단지처럼 버려진 산업시설을 리모델링한 미술관, 인젤 홈브로이히처럼 자연 속에 자리잡은 생태 미술관 등 건축적으로도 의미 있는 미술관을 만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모더니즘 건축의 거장 미스 반 데어 로에, 영국의 국민 건축가 노먼 포스터 등 이 작업을 주도한 건축가들에 대한 정보도 상세히 실려 있다. 건축이라는 관점에서 미술관을 바라보고 건축가의 숨은 의도와 건물이 자리하게 된 역사와 배경을 짚어 가는 저자의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그 시대의 사회와 문화를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훌륭한 예술작품과 그것을 담아낸 미술관 건축은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회를 풍요롭게 만든다. 천재 건축가 프랭크 게리가 지은 빌바오 구겐하임미술관이 스페인의 쇠퇴한 공업도시 빌바오를 연간 100만명이 찾는 문화관광 도시로 탈바꿈시킨 것이 대표적인 예다.
저자는 미술관 이상의 예술 공간이 된 파울 클레 센터를 소개하면서 “결정권자가 원한다고 괴상한 건물을 시내 한복판에 들여놓는 것과는 달라도 너무 다르다. 우리가 사랑하고 공감하는 공간은 개인의 열정과 철학, 돈만으로는 만들 수 없으며 사회적인 합의를 거쳐 모두의 뜻을 모아 만들어진다”고 말한다. 문화 및 도시 계획 관계자들이 한번쯤 귀 기울여야 할 대목이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수준 높은 예술의 정수를 만나 볼 수 있는 박물관과 미술관 기행은 유럽 여행의 백미다. 아예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테마로 정하는 여행객까지 생길 정도로 대중의 관심이 상당히 뜨겁다.
‘미술관의 탄생’은 미술전문기자인 저자가 1년에 걸쳐 유럽에서 가장 아름다운 미술관 22곳을 돌아본 미술관 건축 기행이다. 건축으로 만나는 유럽 최고의 미술관이라는 부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예술 작품을 품고 있는 건축물에 주목한다. 미술관과 박물관 건축은 그 시대의 예술과 건축의 역사를 대변하며 어떤 건축물은 그 자체가 거대한 예술작품이기 때문이다.
저자가 직접 발품을 들여 쓴 글과 사진을 마주하다 보면 유럽 미술관의 한복판에 있는 것 같은 착각이 든다. 그 속에는 영국박물관이나 루브르 박물관처럼 우리가 익히 아는 유명 박물관도 있지만 테이트 모던이나 졸페라인 복합문화단지처럼 버려진 산업시설을 리모델링한 미술관, 인젤 홈브로이히처럼 자연 속에 자리잡은 생태 미술관 등 건축적으로도 의미 있는 미술관을 만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모더니즘 건축의 거장 미스 반 데어 로에, 영국의 국민 건축가 노먼 포스터 등 이 작업을 주도한 건축가들에 대한 정보도 상세히 실려 있다. 건축이라는 관점에서 미술관을 바라보고 건축가의 숨은 의도와 건물이 자리하게 된 역사와 배경을 짚어 가는 저자의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그 시대의 사회와 문화를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훌륭한 예술작품과 그것을 담아낸 미술관 건축은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회를 풍요롭게 만든다. 천재 건축가 프랭크 게리가 지은 빌바오 구겐하임미술관이 스페인의 쇠퇴한 공업도시 빌바오를 연간 100만명이 찾는 문화관광 도시로 탈바꿈시킨 것이 대표적인 예다.
저자는 미술관 이상의 예술 공간이 된 파울 클레 센터를 소개하면서 “결정권자가 원한다고 괴상한 건물을 시내 한복판에 들여놓는 것과는 달라도 너무 다르다. 우리가 사랑하고 공감하는 공간은 개인의 열정과 철학, 돈만으로는 만들 수 없으며 사회적인 합의를 거쳐 모두의 뜻을 모아 만들어진다”고 말한다. 문화 및 도시 계획 관계자들이 한번쯤 귀 기울여야 할 대목이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5-08-2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