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불경’으로 유학자 꼬집은 세종

‘우리말 불경’으로 유학자 꼬집은 세종

함혜리 기자
입력 2015-08-21 17:52
수정 2015-08-21 18: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왜 세종은 불교 책을 읽었을까/오윤희 지음/불광출판사/392쪽/2만원

성리학 엘리트가 설계한 유교사회 조선에서 불교는 이단(異端)이었다. 그런데 세종은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불교 책을 탐독하고 쉬운 우리말로 옮겨 널리 보급하고자 했다. 그렇게 탄생한 우리말 불교책이 언해불전이다. 15세기 조선시대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출간된 우리말 불경들, 즉 언해불전은 세종 때부터 시작된 불경 번역 사업의 산물이다. 세종이 유업으로 남긴 이 작업은 문종과 세조가 물려받았고 성종 때까지 이어졌다.

이미지 확대
신간 ‘왜 세종은 불교 책을 읽었을까’는 유학 군주 세종이 성리학의 가르침에 반하는 이단의 책이었던 불교 경전을 읽고, 억불과 숭불의 극단을 오가게 됐는지를 분석한다. 성리학 이념에 따라 건국한 조선에서 이념의 정점이자 상징이었던 임금이 이단의 책을 읽었다는 것 자체가 위험한 사건이 되던 시절이었다. 세종은 문자를 손수 만들었고 그 문자를 가지고 불교책을 우리말로 손수 번역했다. 아들과 마주 앉아 진지하게 불교 책을 읽고, 소헌왕후의 천도를 위해 ‘석보상절’의 석가모니의 일과 말을 찬양하는 ‘월인천강지곡’을 지었으며 불전 번역작업을 계속하도록 유훈을 남겼다. 이에 세조는 간경도감을 설치하고 1462년(세조 8년)부터 ‘능엄경언해’, ‘법화경언해’, ‘아미타경언해’, ‘금강경언해’, ‘원각경언해’ 등을 펼쳐냈다. 언해불전 다수의 핵심 내용은 ‘누구나 보아 살펴 사랑하면, 즉 관찰하고 사유하면 똑바로 보고 똑바로 생각할 수 있으며 그렇게 제대로 헤아리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하늘이 신분을 결정한다는 당시 유교사회의 원리에 배치되는 것이었다. 저자는 “서민들이 불경을 쉽게 읽게 하려고 우리말 불경을 만들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지만 우리말 불경 주석에 유학자들에 대한 불평이 담긴 것으로 미뤄 이 책의 1차 타깃은 유학자들”이라는 주장을 편다. 언해불전이 종교책이라기보다는 사상서로 조선의 지적·사상적 지형도의 단서가 들어 있으며 지배층의 특권을 허물려는 이념투쟁, 계급투쟁의 도구였다는 견해가 눈길을 끈다.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5-08-22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