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략 배경부터 일제 잔재까지…식민지배 다시보기

침략 배경부터 일제 잔재까지…식민지배 다시보기

김성호 기자
입력 2015-08-14 17:40
수정 2015-08-14 19: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광복 70년 의미와 역사 되짚는 책들

광복 70년을 맞아 출판계에 관련 서적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이들 출판물은 근현대사의 그늘에 초점을 맞춰 일제 침략 배경과 조선의 무능, 그리고 여전히 후유증이 큰 일제 잔재의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들춰 눈길을 끈다.


‘매국의 역사학, 어디까지 왔나’(이덕일 지음, 만권당 펴냄)는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독도 도발 등 주변국 역사왜곡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진 동북아재단 동북아역사지도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짚었다. 고조선과 한사군, 위만조선, 임나일본부, 독도 사료 등을 토대로 지도의 오류와 그에 얽힌 식민사관을 고발한다. 지도에 고구려와 한나라 국경선이 세로로 무 자르듯 뚝 잘려 있어 독도가 증발한 사실을 지적했다. 그런가 하면 4세기를 나타낸 지도에 신라·백제가 빠진 사실도 밝혀냈다. 저자는 “식민사관을 가진 역사학자들이 대단히 치밀하게 의도적으로 이 같은 지도를 만들어냈다”고 밝히고 있다.

‘조선정벌’(이상각 지음, 유리창 펴냄)과 ‘근대조선과 일본’(조경달 지음, 열린책들 펴냄)은 일제 강점의 부당함과 조선의 나약함을 지적하고 있다. 이 가운데 ‘조선정벌’은 일본이 조선을 식민지배하려는 야욕에 시동을 걸었던 1854년부터 1945년 해방까지 한국 근대사를 다뤘다. 한반도를 침탈한 일본의 불법성을 짚었지만 그보다는 조선이 왜 허무하게, 제대로 저항도 못한 채 무너졌는지에 비중을 뒀다. 그 이유는 무력하고 허약한 왕과 사대주의에 찌든 고위관리, 매국세력 등으로 집약된다. 저자는 “지금의 모습이 1854년 개항 이후 정한론과 동아시아 건설을 이야기하던 메이지 시대와 닮았다”며 “성찰하지 않고 대비하지 않는 민족에게는 미래가 없다”고 경고한다.

‘근대 조선과 일본’은 “근대 조·일 관계사는 일본의 조선침략사”라는 전제 아래 개항부터 대한제국 멸망까지 반세기에 걸친 통한의 역사를 보여준다. 일본과 조선의 운명이 엇갈린 이유를 조명한 게 특징이다. 일본은 서구와 접촉하며 국민국가로 연착륙했지만 조선은 기존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이유를 정치문화의 차이로 지목한다. 일본은 유교적 민본주의를 통치수단으로만 받아들인 반면 조선은 국가를 지배하는 원리적 수준까지 끌어올렸다. 유교적 민본주의를 토대로 한 새로운 국가 건설은 좌절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한편 ‘해방후 3년’(조한성 지음, 생각정원 펴냄)은 해방정국에서 민족 지도자 7인이 민족의 완전독립과 신국가 수립을 둘러싸고 벌인 최후의 결전을 담았다. 여운형, 박헌영, 송진우, 김일성, 이승만, 김구, 김규식 등이 주인공이다. 민중을 위한 민주주의, 민중을 위한 개혁을 주창했던 그들을 움직인 건 민족과 혁명, 권력이었다. 그들의 궤적 성찰을 통해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오늘날의 지도자나 대중은 다시 한번 ‘우리가 바꿀 수 있는 역사’를 꿈꾸고 실행해야 한다.”

김성호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2015-08-1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