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영 소장, 일반인도 읽기 쉽게 해역
한(漢) 고조의 손자이자 지방제후였던 회남왕 유안(劉安)은 수천 명의 문사, 사상가들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회남자’를 편찬했다. 이 철학서는 제자백가의 한 유파를 이루지는 못했다. 하지만 도가를 중심으로 유가, 법가, 명가, 음양가 등 당대 사상의 흐름을 모두 아우르는 통섭의 철학서로서 여전히 의미를 담고 있다. 그뿐 아니라 사람들이 익히 알고 있는 당랑거철, 새옹지마 등 고사성어의 유래를 풀어서 알려준다. 특히 권력이 집중된 중앙의 시선이 아닌, 제후국의 빈객으로 지내는 문사들의 시선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를 둘 수 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5-08-0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