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째 이어온 동양학총서… 63번째는 ‘회남자’

30년째 이어온 동양학총서… 63번째는 ‘회남자’

박록삼 기자
입력 2015-08-05 23:34
수정 2015-08-06 02: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준영 소장, 일반인도 읽기 쉽게 해역

출판사 자유문고는 1986년 당태종의 치세 내용을 담은 ‘정관정요’를 펴냈다. 야심차게 시작한 동양학총서 100권 발행 대장정의 시작이었다. 그동안 익히 알려진 시경, 서경, 역경 사서삼경과 노자, 장자 등은 물론, 대중에게는 낯설고 어렵던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를 비롯해 ‘음즐록’, ‘시자’(尸子) 등을 펴내며 상업성과 거리를 둔 채 시리즈를 이어갔다. 이렇게 30년째 우직하게 이어온 동양학총서 시리즈는 최근 발간된 ‘회남자’로 63권째에 이르렀다. 이준영 동양문화사상연구소장이 해역(解譯)한 ‘회남자’(淮南子)는 2권에 나눠서 전문 연구자가 아닌 일반인들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풀어썼다. 또한 글 말미에 원문을 실어 관심 있는 이들은 직접 공부할 수 있도록 했다.

한(漢) 고조의 손자이자 지방제후였던 회남왕 유안(劉安)은 수천 명의 문사, 사상가들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회남자’를 편찬했다. 이 철학서는 제자백가의 한 유파를 이루지는 못했다. 하지만 도가를 중심으로 유가, 법가, 명가, 음양가 등 당대 사상의 흐름을 모두 아우르는 통섭의 철학서로서 여전히 의미를 담고 있다. 그뿐 아니라 사람들이 익히 알고 있는 당랑거철, 새옹지마 등 고사성어의 유래를 풀어서 알려준다. 특히 권력이 집중된 중앙의 시선이 아닌, 제후국의 빈객으로 지내는 문사들의 시선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를 둘 수 있다.

박록삼 기자 youngtan@seoul.co.kr

2015-08-0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