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실에서 22일부터 진행되는 ‘메소포타미아, 저 기록의 땅’ 전시에서는 메소포타미아 건축을 통틀어 가장 잘 알려진 이쉬타르 문에서 비트 아키투까지 이어지는 행렬 길을 장식했던 ‘사자 벽돌 패널’을 볼 수 있다.
인류 최초의 문자가 발견된 메소포타미아 문명(기원전 4000년~기원전 600년)의 사람들은 일상의 많은 것을 기록으로 남겼다. 채무 변제 증서는 물론 처방전, 가축 용어 목록, 곱셈표, 판결문 등 기록만 따지면 복잡한 현대 사회를 살아간 사람들 같다. 메소포타미아 문자 기록을 보면 이들에게는 기록을 남기는 것이 놀이였고 기록을 위해 일부러 생활의 사건들을 만든 게 아닐까 싶은 착각이 든다.
메소포타미아인들의 기록은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3층에 들어선 ‘메소포타미아실’에서 22일부터 2024년 1월 28일까지 볼 수 있다. ‘메소포타미아, 저 기록의 땅’이란 제목의 이번 전시는 국내에서 메소포타미아 문화유산을 다룬 첫 상설 전시로, 미국 메트로폴리탄박물관과 공동 기획했다. 총 66점을 선보인다.
메소포타미아 쐐기 문자가 찍힌 점토판이 전시된 모습. 류재민 기자
전시는 1부 ‘문화 혁신’, 2부 ‘예술과 정체성’, 3부 ‘제국의 시대’로 구성됐다. 전시관 내부는 사각형의 벽돌을 쌓았던 메소포타미아인들에게 영감을 받아 곳곳이 사각형 구조로 이뤄졌다.
이들이 문자 기록을 많이 남길 수 있었던 데는 환경이 큰 영향을 끼쳤다. 양희정 학예연구사는 “메소포타미아는 오늘날 이라크 주변 지역인데, 고온의 날씨라 점토판에 찍어 바깥에 말리면 금방 문서가 완성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쉽게 기록물을 남길 수 있다 보니 메소포타미아인들은 개인 인장을 만들어 일상적으로 쓰기도 했다.
메소포타미아인의 인장과 그것을 점토판에 찍은 모습. 류재민 기자
2부에서는 문자가 점토판을 넘어 왕의 조각상처럼 더 수준 높은 곳에 활용된 것을 볼 수 있다. 2부에 있는 구데아왕(기원전 2150~2125년 재위)의 상에는 관련 정보가 문자로 찍혀 있었다. 당시 오른팔이 튼실해야 왕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던 문화 때문에 구데아왕이 오른쪽 어깨를 노출한 것을 보는 재미도 있다.
구데아왕의 상.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이번 전시는 한국고대근동학회와 협력해 통상적으로 알려진 지명과 인명 대신 당시 통용된 원어 발음에 최대한 가깝게 표현했다. 전시는 무료이며 전시 설명은 8월 16일부터 주중 하루 2회(오후 1시·3시), 주말 3회(오전 11시·오후 1시 30분·3시) 진행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