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달 25일까지 ‘기념비적 몸의 풍경’전
다중의 역사적 경험·동시대의 현실‘몸’이라는 물질적인 매개체로 풀어
한국 민중미술 대표작가 신학철의 작품 ´ 한국현대사- 광장´. 그로테스크하게 뒤엉킨 몸이 강렬한 시각적 충격을 준다.
학고재갤러리 제공
학고재갤러리 제공
팡뤼쥔 작품 ´2014 여름´.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대머리 인물들은 사회구조 속에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개인의 무력함을 상징한다.
학고재갤러리 제공
학고재갤러리 제공
두 작가는 다중의 역사적 경험과 동시대에 마주하는 현실을 ‘몸’이라는 물질적인 매개체를 사용해 풀어낸다. 각자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지닌 두 예술가의 작품 10여점씩이 한자리에서 만나서 뿜어내는 에너지가 대단하다.
학고재 우찬규 대표는 “그들 각자의 고유한 미술세계 사이에서 소통의 지점을 탐색해 보고 아시아 미술사의 흐름이라는 보다 넓은 관점에서 한국 민중미술과 중국의 냉소적 사실주의의 태동과 흐름, 역사적 의의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고 전시 기획취지를 밝혔다.
신학철은 민중의 삶의 역사와 동시대의 현실을 형성하고 변화시키는 힘과 구조를 몸의 유기체적 총체로 표현한다. 민중의 애환과 희망을 강렬하게 상승하는 에너지 덩어리와 포토몽타주를 활용해 표현함으로써 역사를 관념이 아닌 구체적 실체로 파악하고 형상화한다. 그는 1980년대 ‘한국 근대사’ 시리즈, 90년대 ‘한국 현대사’ 시리즈로 우리 민족이 겪은 수난의 역사를 표현했고, 2000년대에는 시골출신 갑돌이와 갑순이의 상경기를 통해 우리 근대사를 표현한 ‘갑돌이와 갑순이’ 연작에 몰두했다.
이번 전시에 출품된 작품 가운데 세월호 희생자 추모 집회를 담은 ‘한국 현대사-광장’에는 군중이 촛불을 들고 있는 가운데에 남녀의 신체 덩어리가 그려져 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희생자들을 위무하기 위한 작품 ‘초혼-잠들지 못하는 남도’의 한가운데에는 일그러진 채 한 덩어리가 된 신체의 부위들이 적나라하게 그려져 있다.
팡리쥔은 장샤오강, 쩡판즈, 웨민쥔 등과 더불어 중국 현대미술의 ‘4대 천왕’으로 꼽힌다. 그는 인간과 자연을 이질적인 감각적 환경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인간 존재의 근본적인 부유성(浮遊性)을 드러내고 이를 시대적 맥락에서 살펴본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대머리 인물들은 언제나 아무 목적성 없는 듯한 모호한 표정으로 앉거나 걷거나 물에 떠 있다. 불안정한 사회구조 속에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대인의 무력함을 냉소적으로 보여 준다.
작품 ‘2014 여름’은 적황토색의 인물들이 하늘을 향해 무엇인가 우러러보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대머리를 하고 있는 다중들은 언뜻 마오 시대의 열광하는 인민의 이미지와 유사해 보이지만 주변의 맥락에서 자세히 보면 뭔가 불안하고 근거 없이 떠 있는 존재, 뿌리 없는 존재로 나타난다. 전시는 9월 25일까지.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6-08-2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