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꾼 이봉근이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3주기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가수 나훈아의 ‘엄니’를 헌정곡으로 부르고 있다.
뉴스1
뉴스1
지금까지 알려진 내용을 정리하면 이 곡의 탄생 배경은 아래와 같다. 나훈아는 군부의 무자비한 진압에 목숨을 잃은 무수한 젊은이들을 잃은 어머니들을 위로하기 위해 곡을 썼다. 가사는 영령이 된 젊은이들이 자신을 잃은 슬픔을 달래는 어머니들에게 힘내시라고 위로하는 내용이었다. 1987년의 일이었다. 나훈아는 음반을 만들려 했는데 정보기관들이 집요하게 방해해 나오지 못했다.
나훈아는 카세트테이프 2000개를 만들어 광주 MBC에 보내 5·18 유가족들에게 전달하려 했으나 역시 방해 책동으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죄책감과 미안함에 경상도 출신인 나훈아는 광주에 들를 일이 있으면 남몰래 망월동 묘역을 다녀갔다. 광주 MBC에서 PD로 일했던 소수옥 씨의 증언이다.
곡을 쓴 지 무려 33년 만인 2020년 나훈아는 전라도 출신 지인에게 사투리로 가사를 고쳐 달라고 해 정식 앨범에 수록했다. 노래는 당연히 공전의 히트를 했고, 노래방에서도 많은 이들이 즐겨 부르게 됐다. 보통 산 자가 세상을 떠난 이를 그리워하는 것으로 가사를 쓰게 되는데 이 노래는 특이하게도 망자가 어렵사리 아들을 잃은 슬픔을 견뎌내며 세상을 살아가는 어머니를 위로하는 내용이라 더욱 애틋함을 자아내기 때문이다.
김상봉 전남대 철학과 교수는 2021년 9월쯤부터 “내년 5·18 기념식에서 이 노래를 부르자”고 주장했는데 이제야 그의 뜻이 이뤄졌다.
김 교수는 당시 나훈아가 인간 보편의 순수한 감정을 공유해 이 노래를 작곡하게 됐을 것이라며 “많은 분들이 (그 사연을) 아실 법한 노래인데도 우리들 사이에서 거의 알려져 있지 못한 것에 부끄럽고 미안한 마음이 든다. 그런 의미에서 저는 나훈아 씨가 이 노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와 별개로 광주의 5·18을 상징하는 또 다른 노래로 함께 불리길 바란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