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소녀의 가슴을 형상화한 조선백자 기름받이(개인소장)
장식을 배제하고 절제와 품격을 드러내는 조선백자는 성리학을 이념으로 하는 ‘새로운 시대’를 상징하기에 모자람이 없었다. 이렇듯 국가 이념을 형상화한 것이 백자라지만 조선 중·후기가 되면 서민적인 생명력이 다양하게 투영되는 모습을 보인다.
기름받이에 노끈을 꿰어 놓은 모습(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쇠뿔형 기름받이가 걸려있는 옛 등잔대(국립민속박물관 소장)
기름받이란 글자그대로 등잔 아래 걸어 심지에서 떨어지는 기름 찌꺼기를 받는 데 쓴 그릇이다. 노끈을 달아 등잔대에 매달 수 있도록 앙쪽 가장자리에 두 개의 구멍을 뚫었다. 쇠뿔을 자른 뒤 속을 파낸 기름받이도 썼지만 기름 얼룩이 지워지지 않는 단점이 있는데다, 지방에도 자기가마가 늘어나면서 백자로 만든 것이 유행했다. 끝이 뽀족해 뒤집어 구울 수 밖에 없는 만큼 입 부분에는 모래받침 흔적이 남아있기 마련이다.
백자 기름받이는 침을 뱉는 그릇과 비슷한 모양의 타구형(唾具形)도 있었지만, 유방형(乳房形)이 널리 쓰였다. 가슴 모양의 기름받이는 등잔대에 제대로 걸어 두었을 때는 그저 특정한 용도를 가진 그릇일 뿐이다. 뒤집어 보아야 비로소 그 사실성이 제대로 드러난다는데 묘미가 있다, 점잖은 선비의 사랑방이나, 마당 깊은 안채에서도 자연스러운 인간미를 잃지 말라는 도공의 재치있고도 속깊은 충고는 아닌지 모르겠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