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22] ‘품격있는 섹시함’ 조선백자

[서동철 기자의 문화유산이야기 22] ‘품격있는 섹시함’ 조선백자

입력 2015-09-25 09:11
수정 2015-09-25 09: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건강한 소녀의 가슴을 형상화한 조선백자 기름받이(개인소장)
건강한 소녀의 가슴을 형상화한 조선백자 기름받이(개인소장)
 고려를 무너뜨리고 일어선 조선의 지배층에게 화려한 고려청자는 과거의 소수 귀족이 자행한 부패의 증거로 낙인찍기 좋았을 것이다. 조선 왕실과 사대부가 앞장서 장려한 백자에는 구시대를 답습하지 않겠다는 백성들에 대한 정치적 약속이 담겨 있었다.

 장식을 배제하고 절제와 품격을 드러내는 조선백자는 성리학을 이념으로 하는 ‘새로운 시대’를 상징하기에 모자람이 없었다. 이렇듯 국가 이념을 형상화한 것이 백자라지만 조선 중·후기가 되면 서민적인 생명력이 다양하게 투영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미지 확대
기름받이에 노끈을 꿰어 놓은 모습(국립민속박물관 소장)
기름받이에 노끈을 꿰어 놓은 모습(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이미지 확대
쇠뿔형 기름받이가 걸려있는 옛 등잔대(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쇠뿔형 기름받이가 걸려있는 옛 등잔대(국립민속박물관 소장)
 때로는 소탈하고 재미있다는 것이 조선 후기 백자가 가진 특징의 하나라고 한다. 그런데 기름받이는 그런 단계를 훨씬 뛰어넘어 매우 섹시하다. 여성의 신체곡선과 가장 닮았다는 고려청자 매병(梅甁)의 풍만한 어깨선조차 상징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지만, 기름받이는 건강한 젊은 여인의 가슴을 놀랍도록 사실적으로 재현했다.

 기름받이란 글자그대로 등잔 아래 걸어 심지에서 떨어지는 기름 찌꺼기를 받는 데 쓴 그릇이다. 노끈을 달아 등잔대에 매달 수 있도록 앙쪽 가장자리에 두 개의 구멍을 뚫었다. 쇠뿔을 자른 뒤 속을 파낸 기름받이도 썼지만 기름 얼룩이 지워지지 않는 단점이 있는데다, 지방에도 자기가마가 늘어나면서 백자로 만든 것이 유행했다. 끝이 뽀족해 뒤집어 구울 수 밖에 없는 만큼 입 부분에는 모래받침 흔적이 남아있기 마련이다.

 백자 기름받이는 침을 뱉는 그릇과 비슷한 모양의 타구형(唾具形)도 있었지만, 유방형(乳房形)이 널리 쓰였다. 가슴 모양의 기름받이는 등잔대에 제대로 걸어 두었을 때는 그저 특정한 용도를 가진 그릇일 뿐이다. 뒤집어 보아야 비로소 그 사실성이 제대로 드러난다는데 묘미가 있다, 점잖은 선비의 사랑방이나, 마당 깊은 안채에서도 자연스러운 인간미를 잃지 말라는 도공의 재치있고도 속깊은 충고는 아닌지 모르겠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