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출된 한국인 여성, 경보 무시했을 가능성 있지만 피해자이기도 해

구출된 한국인 여성, 경보 무시했을 가능성 있지만 피해자이기도 해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5-12 10:26
수정 2019-05-12 17: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교부 “건강 이상 없어, 조기 귀국” 발표했지만 불편한 궁금증도

부르키나파소에서 피랍됐다가 프랑스군 특수부대에 의해 구출된 프랑스인 인질 파트릭 피크(왼쪽), 로랑 라시물리아스와 함께 한국인 여성 A씨가 11일 오후 5시(한국시간 12일 오전 1시) 파리 근교 군공항에 도착해 카메라 앞에 서 있다. 파리 로이터 연합뉴스
부르키나파소에서 피랍됐다가 프랑스군 특수부대에 의해 구출된 프랑스인 인질 파트릭 피크(왼쪽), 로랑 라시물리아스와 함께 한국인 여성 A씨가 11일 오후 5시(한국시간 12일 오전 1시) 파리 근교 군공항에 도착해 카메라 앞에 서 있다.
파리 로이터 연합뉴스
11일 밤 영국 BBC를 들여다보다 난감한 느낌에 빠져들었다.

서아프리카 부르키나파소에서 프랑스군에 의해 구출된 뒤 파리로 이송되기 전 부르키나파소 대통령을 예방한 프랑스인 음악교사 두 명과 함께 한국인 40대 여성 A씨의 얼굴이 모자이크 처리도 되지 않은 채 보도된 것이었다. AFP통신이 전송한 이 사진은 밤 10시 무렵만 해도 국내에 외신사진들을 서비스하는 연합뉴스 AP사진과 연합해외사진 카테고리에도 어떤 이유에서인지 게재되지 않았다.(이 사진들은 밤 11시 30분을 넘겨 게재됐다.)

신원이나 개인 정보는 물론 여행의 목적,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무장세력에게 피랍됐는지 알려지지 않은 A씨는 우리 정부의 해외여행 경보를 무시하고 위험하기 짝이 없는 사헬(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을 여행한 귀책 사유도 어느 정도 갖고 있지만 애꿎게 무장세력에 납치돼 28일 동안 신변에 위해가 있을지 모르는 공포를 견뎌온 피해자이기도 했다. 그 두려움에서 벗어난 지 얼마 안된 피해여성에게 귀책 사유를 들이미는 일부 누리꾼도 있지만 그 얼굴을 성급히 보도하는 일은 2차 피해가 될 수도 있겠다는 판단이었다. 당사자의 의사를 확인할 길도 없고 상식적으로 가족들도 심각한 정신적 충격을 받을 수 있겠다는 생각에도 미쳤다.

이런 상황에 외교부 당국자는 12일 “A씨가 부르키나파소에서 남쪽에 있는 베냉으로 이동하던 중 ‘체크 포인트’ 인근에서 미국 여성과 함께 무장세력에 납치된 것으로 보인다고 프랑스 측으로부터 통보받았다”고 말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아직 우리 외교부가 직접 A씨로부터 피랍 경위에 대한 진술을 듣지는 않았다.

하지만 이 통보대로라면 A씨는 정부가 여행을 자제하라고 발령한 것을 무시하고 부르키나파소 남부를 여행하다 횡액을 당한 것이 된다. 정부는 원래 부르키나파소 전역에 ‘적색 경보’(철수 권고)를 발령했다가 2015년 6월 정세가 어느 정도 안정되면서 말리·니제르 접경인 북부 4개주를 제외하고는 ‘황색 경보’(여행 자제)로 낮췄다.

만약 프랑스인 인질 두 명처럼 피랍된 곳이 베냉이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우리 정부가 베냉에는 여행경보를 발령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외교부는 부르키나파소의 여행 경보를 상향하는 것은 물론 베냉에 경보를 발령하는 것까지 검토하고 있다고 연합뉴스는 12일 전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프랑스 군병원 측은 전날(현지시간) A씨에 대해 기본 건강검진을 한 결과 특별한 이상은 없다고 진단했으며, 심리치료 및 경과를 지켜본 후 퇴원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앞서 프랑스군 특수부대가 부르키나파소의 무장세력과 교전 끝에 이들에게 납치된 A씨와 프랑스인 두 명, 미국인 여성 등 4명을 구조했으며, A씨와 프랑스인 2명은 전용기 편으로 11일 오후 5시(한국시간 12일 오전 1시) 파리 근교 군공항에 도착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A씨는 공항에서 한국의 가족들과 전화 통화를 했으며, 건강상 특별한 이상이 없을 경우 조속히 귀국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종문 주프랑스 대사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에게 문재인 대통령의 감사 및 (교전 중 희생된 프랑스 특수부대 상사 두 명에 대한) 애도 메시지를 전했으며, 마크롱 대통령은 이에 사의를 표하며 두 나라가 계속해서 국제무대에서 협력을 강화하자고 언급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외교부와 주프랑스대사관은 A씨가 프랑스 군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을 때 통역을 지원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필요한 영사조력을 계속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대목에서 불편한 궁금증이 인다. 왜 A씨와 달리 미국인 여성은 곧바로 미국으로 돌아가는 이송 절차에 들어간 것일까? 혹시 한국과 미국 정부의 영사 조력에 어떤 차이점이 존재하는 것은 아닐까?

외교부로선 A씨를 조속히 귀국시켜 심리적 안정을 취할 수 있게 도우면서도 여행 위험지역을 방문하는 일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경종을 울리며, 발령경보 시스템에 허점은 없는지 점검해야 하는 과제를 떠안게 됐다. 아울러 무슬림 지하디스트 세력과 패망했다는 미국의 공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발호하는 이슬람국가(IS) 잔존세력이 활동하는 지역을 여행하는 재외국민이나 국민은 없는지 점검했으면 한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