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억 인구 인도, 日·獨 제치고 ‘빅3’ 될 것
제조업 넘어 문화·연구 등 협력 확대해야
전략적 관계 빨리 판단 내려 교류 속도를
송경진 전 세계경제연구원장
다행히 윤석열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주요 7개국(G7)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두 차례 양자회담을 통해 여러 합의 사항을 도출했다. 합의 사항 이행이 신속히 이뤄져야 두 정상의 만남과 리더십이 평가받을 수 있다. 대통령의 신년사에 인도뿐 아니라 주요국과의 합의 사항 이행 의지가 피력되길 바란다.
남아시아 지역 패권국으로 인식해 온 인도는 높아진 전략적 가치와 경제적 위상에 걸맞은 글로벌 영향력 확대에 대한 열망이 있다. 올해 14억명이 넘는 세계 최대 인구국이 됐다. 여러 나라가 인도ㆍ태평양 지역의 핵심국인 인도와 전략적 양자·다자 협력을 추진하려 한다. 아프리카 55개국 모임인 아프리카연합을 G20 회원으로 가입시키면서 글로벌 사우스의 대변자로도 위상을 공고히 했다. 세계 5위 인도 경제는 2030년 일본, 독일을 제치고 미국, 중국에 이어 세계 3대 경제국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통화기금은 올해 6.3%로 예상되는 인도의 경제성장률이 2028년까지 6.3%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본다. 주요 경제국 중 최고의 성장률이다. 다만 과거 한국, 중국과 같은 고속 성장을 달성하려면 최소 연 8% 이상의 성장이 필요하다. 그래서 인도는 인도 제조(Make in India), 생산연계인센티브(PLI) 등을 통해 투자 유치와 제조업 강화에 사활을 건다. 인도가 우리와 전기전자, 자동차, 배터리, 항공우주, 방위산업 등 제조업 협력을 강조하는 이유다.
우리의 11위 교역국인 인도에 대한 투자는 전체 해외 직접투자 대비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2022년 대인도 투자는 역대 최대치인 2018년 대비 65%인 3억 7000만 달러에 그쳤다. 양국 협력 강화를 위해 지난 9월 뉴델리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한·인도 산업협력위원회와 민간 경제단체 협력 네트워크를 신속히 출범시켜 구체적 협력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 조세, 무역장벽 등 여러 실용적 논의 추진이 시급하다.
상대국 대중의 관심은 상호협력에 크게 도움이 된다. 인도 젊은층을 중심으로 한국 문화에 관한 관심과 소비가 늘고 있다. 그러나 문화 수요에 대한 서비스 제공은 비대칭적 상황이다. 주인도 델리 한국문화원만으로는 한류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 고조된 관심에 상응하는 서비스 없이는 지속되기 어렵다. 첸나이, 뭄바이 등 우리 기업 진출이 활발한 지역과 대도시에 한국문화원 추가 설치는 필수다.
한·인도 학계 및 연구계에 대한 우리 정부의 지원도 재정비와 확대가 절실하다. 경제·산업·기술과 외교·안보 분야에 관한 학술 지원 및 연구 협력 확대가 현장의 목소리다. 특히 역내 주요 외교 및 경제 이슈에 관한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할 한·인 그리고 한·인·미 연구 네트워크 설립이 중요하다. 인도에는 협력할 수 있는 다양한 민간 연구기관이 존재한다. 인도도 이를 바란다.
아울러 국내 인도 연구자에 관한 인식과 관심, 처우를 개선하는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 소수의 연구자가 고군분투하는 국내 인도 연구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들의 연구가 한층 심화되도록 정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씨만 뿌려서는 싹을 맺을 수 없다. 물을 줘야 한다.
인도는 우리를 포함한 다양한 국가와의 향후 전략적 관계 수준을 가늠하는 판단의 시기에 있다. 이 시기는 길지 않을 것이다. 이런 판단의 시간은 우리에게도 필요하다. 인도에 관한 정확한 정보와 데이터에 기반한 분석과 이해 확대가 우선이다. 이를 통해 우리의 글로벌 전략 지도에 인도의 위치를 신속히 결정해야 한·인도 협력 수준과 우선순위 분야가 명확해질 것이다.
2023-12-27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