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캠퍼스 혁신이 왜 중요한가/이창원 한성대 총장ㆍ한국행정개혁학회 이사장

[열린세상] 캠퍼스 혁신이 왜 중요한가/이창원 한성대 총장ㆍ한국행정개혁학회 이사장

입력 2023-11-22 02:29
수정 2023-11-22 02: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도시와 대학 구분 美 뚜렷, 유럽 모호
학과·학부 경계 허물듯 공간도 변해야
대학·지역·산업 성공시대 열 핵심 열쇠

이미지 확대
이창원 한성대 총장ㆍ한국행정개혁학회 이사장
이창원 한성대 총장ㆍ한국행정개혁학회 이사장
우리나라 대학들은 대부분 별도의 교정, 즉 캠퍼스를 갖고 있다. 전통적인 학문 분야를 기반으로 학과 및 학부 중심의 교육이 대학교육 체계의 특징이었다면 대학의 교문과 담장을 경계로 한 캠퍼스는 대학과 세상을 구분하는 공간적 특징이었다. 캠퍼스가 제공하는 안락함을 기반으로 대학의 교육과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치열한 경쟁과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으로부터 괴리돼 있기도 했다.

캠퍼스는 라틴어로 들판을 의미하는 ‘캄푸스’에서 유래한 말이라고 하는데, 미국의 대학들이 주로 들판과 같은 넓은 부지에 자리잡고 있다는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별도의 녹지에 교육용 강의실, 도서관, 연구실, 기숙사, 편의시설, 공원 등이 한데 모여 있고, 담벼락을 사이에 두고 대학과 그 밖의 지역이 경계를 형성한다. 반면 유럽이나 영국의 일부 대학 건물은 도시 특정 지역에 산재해 있고 도시와 대학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도 많다.

오늘날 대학교육의 패러다임은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속도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전통적 학문을 중심으로 상아탑 안에서만 이루어지던 학과 및 학부 중심 교육의 경계는 허물어지고, 지역·산업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 현장 중심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다. 지난 6월 교육부가 ‘고등교육법 시행령’을 개정해 학과·학부 설치 의무 조항을 폐지해 통합선발과 융합전공을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연한 대학교육 체계로의 전환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기술 혁신에 기반한 온라인 교육은 캠퍼스 혁신의 출발점이다. K-MOOC를 비롯해 대학의 자체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이용해 수많은 콘텐츠가 개발되고 물리적 경계를 넘어 시공간의 제약 없이 대학교육에 접근할 수 있게 됐다. 교육부의 사전 승인 없이 일반대학도 온라인 학위 과정을 자율적으로 개설할 수 있게 되면서 디지털 혁신에 기반한 캠퍼스 혁신은 이미 본궤도에 들어섰다.

대학의 캠퍼스 혁신은 교육 및 연구 공간의 혁신을 통해 완성된다. 지역과 기업의 현장은 대학의 교육과 연구를 위한 캠퍼스가 되고, 대학의 캠퍼스는 지역과 기업의 현장이 돼야 한다는 것이다. 디지털 기술 혁신 기반의 온라인 교육만으로는 실험·실습 장비를 활용한 현장 중심 교육을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기업과 지역사회에 더 가깝게 다가가기 위한 교육·연구 공간의 혁신은 필수적이다.

대학이 지역과 산업으로 스며들기 위해 캠퍼스를 넘어 대학의 교육·연구 공간의 외연을 확장해 접점을 넓힐 필요도 있다.

마침 지난 9월 교육부는‘대학 설립·운영 규정’을 개정해 교사 확보율 기준 100%를 충족한 대학은 교지·교사를 임차해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지역·산업과의 교육·연구 협력을 위한 공간을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지역·산업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고 이를 기반으로 지역·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캠퍼스를 벗어나 지역 거점으로 대학이 들어갈 수 있어야 한다. 지역별로 특화된 산업이 있다면 이에 발맞춰 도심에 캠퍼스를 운영하면서 맞춤형 인재를 육성하는 데 기여할 수도 있다.

여러 대학이 밀집한 지역에서 교육·연구 시설의 공동 운영을 위한 캠퍼스 혁신도 가능하다. 미래 기술을 교육하고 연구하며 기업과 협력하기 위해서는 최첨단 교육연구 장비가 필요하다. 강의실과 실험실습실을 공유하면서 공동 학위과정을 운영한다면 중복투자로 인한 비효율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대학 간, 대학과 지역·산업 간 교류는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대학의 미래는 대학만의 미래가 아니다. 이제 대학의 미래는 지역ㆍ산업과의 협력에 달려 있다. 캠퍼스 혁신으로 대학, 지역, 산업 모두의 성공시대를 열어 가야 할 때다.
2023-11-2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