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새로운 시대의 도시계획 무함마드의 더 라인/양동신 건설 인프라엔지니어

[열린세상] 새로운 시대의 도시계획 무함마드의 더 라인/양동신 건설 인프라엔지니어

입력 2022-11-21 20:24
수정 2022-11-22 0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양동신 건설 인프라엔지니어
양동신 건설 인프라엔지니어
현대의 도시계획이 과거와 가장 차이 나는 지점은 입체성에 있다. 조선시대 경복궁 앞 육조거리에는 단층 건물밖에 없었지만 현재는 높은 비즈니스 빌딩들이 즐비하다. 육조거리 맨 앞 단에 위치한 정부서울청사는 22층의 철골ㆍ철근콘크리트 건물인데, 조선시대 드넓게 면적을 차지하던 육조 관청은 이 건물의 연면적 하나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제한된 건축면적 위에 더 많은 연면적을 가지고 싶어 하는 서울에서는 오늘도 끊임없이 용적률 게임이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이는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19세기 말 유럽과 미국은 일찍이 엄청난 도시 용적률 게임을 경험했고 덕분에 용도지역제, 도로후퇴, 일조권 등의 규정이 마련됐다.

우리나라는 용도지역에 따라 용적률 제한을 두고 있는데, 용적률 제한 완화는 늘 논쟁거리가 된다. 한정된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사람에게 용적률 제한을 풀어 주는 것은 더 많은 땅을 토지주에게 주는 혜택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구밀도가 높은 서울에서 용적률 완화는 부동산 가격의 안정화를 위해 때로 필요한 도구다.

용적률 완화가 꼭 지주에게만 유리한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 1인당 주거면적은 2006년 26.2㎡에서 2020년 33.9㎡로 30%가량 상승했고, 이는 임차인이 전보다 더 넓은 면적을 사용할 수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이렇게 인류가 용적률을 높일 수 있었던 이유는 100여년 전부터 철골 및 철근콘크리트를 활발히 적용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초고밀도 도시가 해결하지 못한 부분이 있으니 바로 환경 문제다.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70년간 지구온도 상승분은 약 1.3℃로, 지난 10만년간 지구 역사 중 가장 따뜻하다. 이에 각국 정부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이루겠다는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 목표가 실제로 가능할지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든다. 실제로 올해 천연가스 가격 폭등으로 인해 석탄발전 비중이 늘어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도시계획 측면에서도 무언가 혁신적인 해법이 필요해 보인다.

최근 한국을 방문한 사우디의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제시한 더 라인(The line)이라는 도시계획은 이런 측면에서 매우 혁신적이다. 더 라인은 길이 170㎞, 너비 200m, 높이 500m의 전에 본 적 없는 새로운 형태의 도시계획이다. 900만명이 거주할 이 도시의 면적은 34㎢인데, 이는 서울 면적인 605㎢의 약 18분의1 수준이다. 그러니까 서울의 모든 건물을 한 선으로 밀집시켜 위로 차곡차곡 쌓은 것이라고 보면 된다.

이런 수직도시의 장점은 자연 훼손을 최소화하고 지하 철도교통망을 통해 자동차를 도시에서 없앨 수 있다는 점이다. 일례로 수평도시인 세종시에서 드넓게 펼쳐진 정부청사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사용이 필수적이다. 에너지 효율 관점에서 보자면 세종시는 결코 효율적이라 볼 수 없다. 2021년 세종시의 1인당 자동차 등록대수는 0.5대인데, 이는 서울시의 0.3대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아무리 전기차를 이용한다 해도 화력발전 비중이 높은 현재 상황에서 탄소배출을 저감하기는 요원하다. 그런 차원에서 보자면 더 라인이 가져올 혁신은 주목할 만하다.

물론 아직 비판받는 부분은 여러 가지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부분은 건설을 해 나가며 차근차근 해결해 나가면 될 것이다. 진정 에너지 자립을 이룰 수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의 실험 측면에서 더 라인이라는 도시의 건설은 매우 매력적이다.

우리네 도시계획도 수평에서 수직으로 관점을 달리해 보면 어떨까 싶다. 물론 수평에서 수직으로 이동하며 덜어진 면적은 자연에 양보해 녹지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2022-11-22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