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심심한 사과가 던지는 자극적인 질문/신지영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열린세상] 심심한 사과가 던지는 자극적인 질문/신지영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입력 2022-09-12 19:58
수정 2022-09-13 03: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신지영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신지영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지난달 끝자락을 ‘심심한 사과’가 뜨겁게 달궜다. 웹툰 작가 사인회를 준비하던 서울의 한 카페가 행사 예약 시스템 오류를 사과하며 트위터에 올린 ‘심심한 사과 말씀’ 말이다. 카페 측의 사과문에 쓰인 ‘심심한 사과’에 대해 ‘심심하다’를 ‘지루하고 재미없다’는 뜻으로 생각해 ‘하나도 안 심심하다’는 댓글이 달리기 시작했다. 트윗에 리트윗이 이어지며 트위터 트렌드 실시간 상위권에 오른 덕에 인터넷을 통해 급속히 퍼지게 된 것이다.

논란이 생기고 얼마 되지 않아 한 기자가 전화를 했다. 지금 인터넷에서 ‘심심한 사과’ 논란이 있는데 이에 대한 의견을 듣고 싶다고 했다. 기자의 전화를 받았을 때는 논란의 내용을 꼼꼼히 따져 볼 여유가 없었다. 그런데 며칠 후 라디오 방송에서 관련 내용으로 인터뷰를 하자는 요청이 들어왔다. 라디오든 텔레비전이든 방송 인터뷰는 최소한 하루나 이틀 정도 준비할 시간이 주어진다. 덕분에 ‘심심한 사과’ 논란을 아주 꼼꼼히 따라가 보았다. 관련 기사를 추적해 읽으면서 유사한 담론이 지난 십여 년간 도돌이표가 찍힌 악보처럼 반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란의 대상이 된 단어와 진앙지만 다를 뿐이었다.

기사의 틀은 이미 짜여 있었다. 논란의 내용이 소개된 다음 이런 기초적인 단어도 모르다니 요즘 애들의 어휘력이 문제라는 개탄의 목소리가 담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자 교육을 강화할 것과 책을 많이 읽힐 것을 제안하며 기사는 마무리된다. 이 과정에서 위기감을 자극하기 위해 자주 등장하는 수치가 바로 ‘실질문맹률 75%’다. 글자를 읽지 못하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문제는 문장의 뜻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즉 문해력에 문제가 있는 사람이 우리 국민의 75%라는 것이다.

75%라니 너무 충격적이다. 도대체 이게 어떻게 나온 수치인지 직접 확인하고 싶었다. 자료를 찾아 그 수치의 실체를 확인하고는 정말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무려 21년 전인 2001년 조사 결과라는 점도 충격적이지만 75%는 문해력 전체를 대표할 수 없는 수치였다. 문해력의 세 하위 영역 중 한 하위 영역의 결과와만 관련된 수치였기 때문이다. 일부 결과를 전체 결과인 양 오도한 것이다.

오랜 시간 동안 심각한 수치로 받아들여 왔던 실질문맹률 75%는 해당 조사에서 문해력을 구성하는 세 가지 영역, 즉 산문 문해력, 문서 문해력, 수량 문해력 중 한 영역인 문서 문해력과만 관련이 있다. 그런데 여기서 문서 문해력이란 다양한 형태의 문서(구직원서, 급여 양식, 대중교통 시간표, 지도, 표, 그래프)에 포함된 정보를 찾고 사용할 수 있는 문해력을 말한다. 글(텍스트)을 읽고 이해하는 것과 관련된 문해력을 해당 조사는 ‘산문 문해력’이라고 칭했다.

이 조사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성인 문해력 조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됐고 애초부터 OECD 국가와의 비교를 염두에 두었다. 우리의 산문 문해력은 OECD 중간 수준, 수량 문해력은 중상 수준이었다. 유일하게 하위의 점수를 보여 문제가 된 것은 문서 문해력뿐이었다. 그런데 한국교육개발원은 2004년 12월에 펴낸 ‘2004 한국의 교육ㆍ인적자원지표’에 문해력 관련 항목을 넣으면서 문서 문해력의 국제 비교 결과만을 담았다. 그리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전 국민의 75%가 일상문서 해독 능력이 매우 떨어진다’는 기사가 작성됐고 ‘실질문맹률 75%’라는 근거가 희박한 표현이 만들어진 것이다.

이처럼 ‘실질문맹률 75%’는 위기감을 자극하기 위해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으로 만들어진 침소봉대의 전형이다. ‘실질문맹률 75%’가 만들어지고 유통되는 과정을 보며 우리는 누구의 문해력이 문제인가를 묻게 된다. 심심한 사과가 자극적인 질문을 우리에게 던진다.
2022-09-13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