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찾아온 ‘새우깡’도 못 먹는 고통
먹고 싸는 일상으로 회귀 못한 日 작가
우리가 짐작하는 주위 고통 얼마나 될까
박산호 번역가
그렇게 갑자기 새우깡도 못 먹는 사람이 됐다. 그때는 몰랐다. 음식 알레르기가 생긴다는 것이 얼마나 귀찮고 불편하며 고통스러운지. 얼마 전 조금 이른 여름휴가로 한 리조트를 다녀왔다. 우리 식구는 산속에 덩그러니 있는 리조트 안에서 놀다가 식당에 갔다. 그 안에는 뷔페 식당과 이탈리아 식당 딱 두 개가 있었다. 이탈리아 식당에 들어가 메뉴를 고민하다가 마르게리타 피자를 선택했지만 문제는 파스타였다. 메뉴에 나온 일곱 개의 파스타 중 세 개는 재료에 새우가 들어 있어서 자동 탈락이었다. 나머지 넷 중 하나를 택해야 했는데, 낯선 이름에 재료만 나열돼 있어서 어떤 맛일지 알 수 없었다.
결국 내가 고른 바질 파스타를 딸은 질색했다. 음식에 초록색 소스가 들어가는 건 끔찍하다고. 하는 수 없이 그중 가장 안전하고 무난해 보이는 소고기에 크림소스가 들어간 파스타를 택했다. 딸과 같이 메뉴를 고르며 그래도 가족이라 이 정도로 타협하고 의논할 수 있어 다행이란 생각이 무심코 들었다.
새우 알레르기가 생긴 후로 사람들과 같이 뭔가를 먹을 땐 무의식중에 긴장한다. 새우 알레르기가 생기고 나서야 알게 됐다. 세상에 새우가 들어간 요리가 얼마나 많은지. 그런데 다 같이 맛있는 걸 먹자고 기대에 부풀어 있는 자리에서 내가 새우를 못 먹는다는 비보를 알려야 할 때마다 큰 민폐를 끼치는 것 같아 주눅이 들곤 한다.
새우만 못 먹으면 그나마 나을 텐데. 고수와 양고기도 특유의 향 때문에 못 먹는다. 이렇게 되면 같이 요리를 먹는 사람들의 선택지가 계속 줄어들고, 그만큼 나도 한없이 작아지는 기분이다.
이렇게 친한 사람들이 아니면 뭔가를 같이 먹는 게 굉장히 거북하고 괴로운 일이 돼 버렸다. 그러다 우연히 ‘먹는 것과 싸는 것’이란 책을 만나서 나의 고통은 너무나 사소했다는 걸 알게 됐다. 작가 기시라기 히로키는 스무 살 때 갑자기 설사가 시작됐다가 멈추지 않고 급기야 혈변까지 나왔다. 궤양성 대장염이란 난치병의 시작이었다. 그 후 다시는 평범한 일상, 즉 아무 음식이나 아무렇지 않게 먹고 아무렇지 않게 살 수 있는 일상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증세가 극심할 때 그가 먹을 수 있는 음식은 두부와 반숙란과 닭 가슴살 딱 세 가지였다.
그런 그에게 사람들은 어떻게든 먹이려 애썼다. 까딱 잘못하면 집 밖에 나가지 못할 정도로 설사를 끝없이 하는 병을 안고 사는 걸 알면서도 같이 먹지 않는 그를 은근히 힐난하고, 불편해하고, 배제하려 한다. 같이 음식을 먹지 않는다는 이유로 맡기로 한 일이 사라진 적도 있었다. 작가 기시라기 히로키는 먹고 싼다는 주제로 책을 써 보자는 편집자의 제안에 처음엔 경악했다가 세상엔 이런 고통도 있다는 걸 알리고. 그러니 같이 먹는다는 지극히 사소하지만 중요한 일에 동참할 수 없는 타인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짐작하고 상상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쓰기로 결심했다고 책에 밝혔다.
세상엔 셀 수 없을 만큼 수많은 고통이 존재하지만 우리가 짐작할 수 있는 고통은 과연 얼마나 될까. 인간이 아무리 상상력을 발휘한다고 해도 자신이 겪어 보지 않은 고통을 알기란 지극히 어렵다. 그래서 그런 고통들을 마주칠 때마다 고개가 숙여진다. 뜨거운 여름이 당도했다. 올여름은 타인의 고통을 상상하는 시간을 조금 더 가져 보려 한다.
2022-07-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