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지영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맥락을 잘 알지 못한다면 겨우 26개를 가지고 웬 호들갑이냐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영어권 이외의 지역에서 기원한 단어가 옥스퍼드 사전에 한꺼번에 이렇게 많이 새말로 등재되는 것은 흔한 일이 아니다. 옥스퍼드 사전이 2021년 9월 새로고침 내용을 발표하면서 한국어 기원 단어의 대거 등재를 보도자료로 만들어 전 세계에 배포한 것도 바로 이런 맥락에서였다. 하지만 이보다 먼저 알아야 할 것이 있다. 그 전에 옥스퍼드 사전에 올라간 한국어 기원 단어가 총 24개뿐이었다는 사실이다. 초판이 나온 이후 약 100년간 올라간 것보다 더 많은 한국어 기원 표제어가 한꺼번에 등재된 것이니 흥분하지 않을 수 없다.
등재된 단어의 면면도 흥미롭다. 언어는 문화를 타고 스며드는 특성이 있음을 잘 보여 준다. 한류의 영향력을 대표하듯 ‘한류’와 ‘Korean wave’가 동시에 등재됐고 그 물결을 만든 ‘케이드라마’, ‘만화’, ‘먹방’, ‘트로트’는 물론 한국 문화를 상징하는 ‘케이-’도 사전에 올랐다. ‘치맥’과 ‘피시방’이 한류의 물결을 타고 퍼졌으며 ‘애교’, ‘누나’, ‘오빠’, ‘언니’가 케이팝 팬들을 통해 국제어가 됐음을 알 수 있다. ‘반찬’, ‘불고기’, ‘동치미’, ‘갈비’, ‘잡채’, ‘김밥’, ‘삼겹살’과 ‘한복’을 통해 한국 문화가 영어권에 스며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콩글리시’가 영어 단어가 됐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그간 콩글리시라고 업신여김을 받았던 ‘스킨십’과 ‘파이팅’도 당당히 영어 단어로 인정받았다. 게다가 이제는 놀라움을 영어로 ‘대박!’이라고 표현해도 되는 때가 왔다. 정말 대박이다!
그런데 이번에 올라간 단어들이 최소 10년 전에 등장해서 살아남은 것들임을 고려한다면 26개의 등재는 시작에 불과하다. 한국 문화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 더 많은 단어들이 속속 등재될 것이다. 한국어와 한국 문화의 세계적 영향력을 확인하며 자부심을 느낀다. 하지만 우리의 생각이 거기서 멈춰서는 안 된다. 두 가지를 더 생각해 봐야 한다.
첫째는 정작 한국어 사전에는 ‘먹방’과 ‘치맥’이 없고 ‘대박’의 감탄사 용법도 찾을 수 없다는 점이다. 한국어 사용자들이 생생하게 사용하고 있는 단어이고 용법인데도 그 존재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단어의 등재 가치는 사용자의 사용 여부에 있는 것이지 사전 편찬자들의 가치판단에 달린 것이 아닌데도 말이다.
둘째는 영어의 외래어가 된 한국어를 보며 외래어 수용에 대해 더 입체적인 생각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외래어에 대한 교조주의적인 배척과 무비판적인 수용의 극단적 모습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닌가 성찰이 필요하다. 교조주의적 배척은 다양성을 해치고 어휘 체계를 빈약하게 만든다. 무비판적인 수용은 언어를 어렵게 만들어서 언어 사용자들 사이에 정보 격차가 생기게 한다. 더욱이 새말을 만드는 고유 기제를 위축시킴으로써 한국어 확장성을 훼손하고 그로 인해 종속이 고착되는 악순환을 가져온다. 옥스퍼드 사전에 오른 한국어를 보며 한국어 미래에 대해 깊이 있는 생각을 할 때다.
2022-01-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