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플랫폼 vs 은행: 관전 포인트는/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열린세상] 플랫폼 vs 은행: 관전 포인트는/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입력 2021-12-02 20:20
수정 2021-12-03 02: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최근 빠르게 발전하는 디지털 경제에서 플랫폼의 중요성이 커지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네이버, 카카오 등 대규모 플랫폼 업체들이 골목상권을 침해하는 문제가 논쟁거리가 된 바 있다. 일각에서는 심판의 역할을 하는 플랫폼이 선수로 뛰면 안 된다는 소위 ‘플산분리’를 주장하기도 한다.

플랫폼들로부터 상권을 위협받는 곳은 골목만이 아니다. 은행 등 금융회사들도 플랫폼으로부터 강력한 경쟁 압박을 받고 있는데 대부분 중소기업이 아니니 특별히 보호할 이유가 없다. 이들의 주식 가치를 비교해 보면 향후 경쟁 양상도 다소 짐작할 수 있다. 주가에는 미래 성장성이나 수익성에 대한 기대가 반영돼 있는데 대규모 플랫폼의 주식 가치가 대형 금융그룹들을 앞선 지 오래다.

금융업에 갓 진출한 플랫폼들이 빠르게 경쟁력을 높인 것은 새로운 기술뿐 아니라 규모의 경제 및 범위의 경제를 잘 활용한 데 있다. 고객을 많이 확보할수록 가치가 커지는 게 플랫폼의 속성이다. 여기에 메신저, 검색 포털, 전자상거래 등 생활서비스를 금융서비스와 연계한 것도 주효했다.

은행들이 디지털 전환에 게을렀다고 보기는 어렵다. 여러 은행들이 디지털 금융, 특히 모바일 금융으로의 전환을 화두로 삼고 새로운 서비스와 상품들을 연이어 쏟아냈다. 외부의 비금융 생활서비스 플랫폼과 제휴해 종합플랫폼 서비스를 시작한 은행도 있다. 최근에는 은행들이 플랫폼 사업에 직접 진출하려 한다는 소식도 들린다.

은행이 종합 플랫폼을 새로 구축하더라도 기존 대규모 플랫폼 업체들과의 경쟁이 쉽지는 않다. 이미 거대한 네트워크를 구축한 플랫폼으로부터 고객을 빼앗아 오는 것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다만 이 승부의 승패를 예측하는 것보다는 경쟁의 양상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아마도 소수만이 경쟁에서 승리해 금융과 비금융이 결합된 커다란 시장을 독과점할 가능성이 높다. 플랫폼 간 경쟁에 작용하는 규모의 경제, 범위의 경제 때문이다.

특히 각종 생활서비스, 금융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은 막강한 경쟁력의 원천이 된다. 미국이나 유럽연합(EU)에서 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등 대규모 플랫폼의 데이터 독과점을 해소하려고 하는 배경이다. 금융 업무에서도 데이터 확보는 중요하다. 금융, 비금융 데이터를 결합한 빅데이터를 이용하면 신용평가가 훨씬 더 정확해진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플랫폼에 모인 데이터가 소비자 고객에 대해서만 쓰이는 것도 아니다. 플랫폼에 속하거나 제휴를 맺은 기업의 금융, 비금융 거래 내역 데이터를 통해 기업 사정을 훤히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플랫폼을 통해 영업하는 기업이 대출 상환을 하지 않으면 다른 비금융 영업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입을 수 있다. 소비자나 다른 기업이 대출을 연체한 기업과 거래하지 않으려는 것은 항상 있는 일이다. 그런데 같은 플랫폼 안에서는 대출연체 정보가 더 빠르고 넓게 공유될 수 있다. 이러한 압박을 받는 기업 입장에서는 대출을 성실하게 상환하려 할 테니 결국 금융 업무의 효율성이 제고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흐름과 역할은 은행 예금 정보의 그것과 유사하다. 그동안 은행이 특별하다는 이론이 인용됐는데 주로 은행 대출이 특별하다는 것이다. 은행 대출에는 다른 업종의 금융회사나 금융시장의 채무계약에 없는 정보가 포함돼 있는데 대표적인 게 예금 거래 정보다. 플랫폼 내에서 데이터가 만들어지고 이용된다면 굳이 은행 예금을 통하지 않아도 된다. 새로운 디지털 지급 수단이나 암호화폐 등이 그 역할을 대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여러 금융 업무의 상대적 지위가 바뀔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는다.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는 예금, 대출, 투자, 보험 등 금융상품의 제공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지급결제는 상대적으로 하위 기능이었다. 그러나 플랫폼 중심 경제에서는 지급결제가 오히려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돼 관계가 전도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들은 플랫폼 경제를 둘러싼 법제를 어떻게 정비하느냐와도 긴밀히 연결돼 있다. 사회 전체의 관점에서 현명한 선택을 하는 것이 절실히 중요해지는 때다.
2021-12-0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