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대청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교수
집의 다양한 역할을 기대하게 되면서 오래된 기술적 상상이던 스마트홈이 부상하고 있다. 다양한 가전과 기기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돼 자동으로 작동하는 집은 디자이너와 엔지니어의 오래된 비전이었지만,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의 발전, 그리고 팬데믹의 등장으로 새로 주목받고 있다. 주요 기업들은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에이전트가 집사가 돼 거주자의 온갖 요구를 실행해 주던 영화 속 장면이 낯선 일이 아니라고 광고하기도 한다.
스마트홈은 커뮤니케이션, 에너지, 보안, 엔터테인먼트 등을 통합하고 이들이 최적으로 작동하도록 통제할 수 있다고 약속한다. 지금은 조명, 음악, 실내온도를 조절하고 전화를 걸고 방문자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집안 공기질을 측정하고 자동으로 공기청정기와 로봇청소기를 실행해 줄 것이라고 장담한다. 이런 약속은 에너지 절감과 건강 추구라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일이면서 동시에 지겨운 가사노동을 덜어 준다는 의미다.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집안일도 늘어난 이들에게 매일 반복되고 힘든 가사노동에서 해방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하지만 스마트홈이 가사노동으로부터 구출해 줄 것인지 좀더 검토해 봐야 할 일이다. 예를 들어 요리법을 제안하고 필요한 재료를 대신 주문해 주는 인공지능 에이전트가 개발된다면 물론 도움이 되겠지만, 이는 요리법에 서툰 이들에게만 해당될 것이다. 요리를 가사로 매일 하는 이에게 요리는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음식을 만들어야 하는 임기응변술이다. 바쁜 시간에 있는 재료를 써서 뭔가 만들어 내야 하는 실제 현실에선 표준화된 방식의 혜택이 크지 않다. 또한 스마트홈이 쇼핑백을 든 이를 위해 조명을 켜 주는 일은 고마운 일이지만, 갓난아기의 기저귀를 갈아 주진 못한다. 기저귀를 갈고, 요리를 하고, 이불 빨래를 하고, 겨울옷을 꺼내고, 화장실을 청소하는 숱한 가사노동에서 조명을 대신 켜 주는 일은 어느 정도의 비중일까?
스마트홈의 비전 자체를 거부한다기보다는 스마트홈이 가사노동을 덜어 줄 것이라는 믿음이 환상이나 과장에 가깝다는 말이다. 20세기 초 미국에서 세탁기 등 가전기기가 가정에 도입됐을 때 예상과 달리 여성들의 가사노동 시간은 거의 줄지 않았다. 세탁기가 근력을 덜어 준 것은 사실이지만 세탁기가 돌아가는 동안 여성들은 대개 다른 가사를 하고 있었다. 위생 관념이 높아진 것이 큰 이유였고, 기계가 빨래한다고 알려지자 가족 전체가 함께 하던 빨래가 주부 혼자 하는 일로 바뀐 탓도 있다.
가사노동에서 벗어나려면 기술적 해결책을 찾기보다는 젠더화된 가사노동의 배분 방식을 먼저 조정해야 한다. 요즈음 남성들은 가사노동을 적극 분담하고 있지만, 현재의 성별 분업은 한계가 있다. 여성들은 요리와 청소 등 루틴한 가사와 아이 양육에 필요한 물리적 돌봄을 주로 담당하는 반면 남성들은 비루틴 가사를 담당한다. 남성은 쓰레기를 버리고 운전하며 아이를 돌볼 때도 대화하고 가르치고 함께 게임을 하는 식으로 거든다. 지금 스마트홈이 해 준다고 하는 일들은 이렇게 여성들이 맡는 ‘먹이고 씻기고 입히는’ 루틴한 일이 아니라 조명, 온도 조절, 보안 등 부수적인 것들이다. 물론 로봇청소기가 청소해 주지만 청소기가 지나다닐 바닥의 장애물을 미리 제거하는 일은 여전히 여성의 몫일 수도 있다.
팬데믹 시대를 지나며 백신과 디지털 기술 의존도가 커졌지만, 동시에 기술이 돌봄과 필수 노동을 결코 대신해 줄 수 없다는 사실도 분명히 인식하게 됐다. 마찬가지로 집의 역할에 대한 고민도 기술적 해결책으로 마무리되기보다는 젠더화된 가사노동의 배분 방식에 대한 새로운 논의로 이어지길 바란다.
2021-10-20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