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산호 번역가
드디어 신호등 맞은편에 24시간 하는 동물병원이 보였다. 이제 살았다 싶어 잠시 안도하며 신호가 어서 바뀌길 기다리는데, 그런 해피와 내 옆에서 어떤 할아버지가 자전거 위에 앉아 있다가 해피를 보고 물었다.
“거 무슨 종이요?” 나는 어서 가고 싶어 초조한 와중에도 최대한 공손하게 대답했다. “시바라고 해요.” 마스크를 써서 내 말이 잘 안 들렸을까? 그건 아니었을 것이다. 그는 이렇게 대꾸했으니까. “시바인지 뭔지는 잘 모르겠는데. 거 개새끼가 고린내 한 번 지독하네.” 깜짝 놀라 그의 눈을 바라봤다. 그는 내가 뭐 못할 말을 했냐는 눈빛으로 나를 당당하게 바라봤고, 여기에 어떻게 응수해야 하나 고민하던 순간 신호등이 바뀌었다. 나는 욱하는 마음을 다잡고 해피와 같이 달렸다.
그렇게 병원에 도착해 울타리 문을 열려던 순간 갑자기 어떤 남자가 튀어나와 밖으로 돌진하다 내 어깨를 치고 갔다. 좀 전의 그 무례한 노인 때문에 마음 상해서 잔뜩 날이 서 있던 나는 순간 화를 낼 뻔했다. 날은 한없이 뜨겁고 마스크 때문에 숨이 막힐 것 같고, 아픈 해피가 모욕까지 당하고 보니 정신이 반쯤 나갈 것 같았다. 하지만 해피를 생각해 다시 꾹 참고 병원으로 들어갔다.
시원한 병원으로 들어가자 해피는 다소 기운을 차렸다. 접수하고 대기실의 벤치에 앉아 해피를 쓰다듬고 있는데 좀 전의 그 남자가 다시 들어왔다. 조명이 밝은 곳에서 보니 앳된 청년이었다. 그때 하얀 가운을 입은 의사가 나와 그에게 뭔가 설명했다. 듣고 보니 그가 키우던 강아지의 다리가 부러져서 온 모양이었다.
심각한 얼굴로 의사가 하는 말을 듣고 있던 그는 생명엔 지장이 없다는 말을 듣자 그 자리에서 펑펑 울었다. 그 모습을 보니 좀 전에 그에게 화를 냈더라면 어땠을까 싶어 아득해졌고, 울고 있는 그 마음이 너무나도 공감돼 나도 순간 울컥했다.
의사의 제안대로 반나절 입원해서 수액을 맞고 한결 상태가 나아진 해피를 데리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문득 오래전 어떤 책에서 읽은 이야기가 떠올랐다. 지하철에 한 남자와 아이 셋이 들어왔다. 그가 빈자리에 털썩 주저앉아 두 손으로 머리를 감싸 쥐고 있는 동안 세 아이는 남들이 보기에도 좀 지나치다 싶을 만큼 큰 소리로 떠들면서 장난을 쳤다. 허나 아이들이 갈수록 더 시끄럽게 구는데도 전혀 신경쓰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남자에게 승객들 모두 짜증과 분노의 눈빛을 보내고 있을 때 그가 일어나 말했다. “여러분, 죄송합니다. 좀 전에 아내가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 지금 병원으로 가는 길입니다. 제 아이들은 엄마가 죽었다는 소식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몰라 이러고 있습니다. 저도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승객들은 모두 할 말을 잃었다.
우리는 타인을 모른다. 그날 밤 그 신호등 앞에 선 할아버지는 해피가 열흘 동안이나 설사가 멎지 않는 데다 열까지 올라 탈진 상태였고, 혈액검사 결과 해피가 위중하다는 말을 들어 내가 실성할 것 같은 상태였다는 걸 몰랐다. 그걸 알았다면 그렇게 잔인한 말은 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마찬가지로 내 어깨를 치고 간 청년의 사연을 나는 몰랐다. 다만 내 화를 참는 데 급급해 그에게도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을 거란 생각은 미처 하지 못했다. 실은 그런 순간에, 아무것도 모르는 순간에 상상력을 발휘해 볼 수도 있었을 텐데.
지하철에서 저절로 눈살이 찌푸려지게 떠드는 아이들을 보며 뭔가 이유가 있지 않을까, 내 어깨를 치고 달려가는 사람에게 무슨 급한 사정이 있지 않을까 상상해 보기. 살다 보면 도무지 알 수 없기에, 짐작할 수 없기에 조금 더 인내심을 가지고 상상력을 발휘해 타인을 이해해 보려는 마음이 소중해지는 순간이 찾아온다.
2021-08-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