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신 건설 인프라엔지니어
이렇게 단순한 기능의 프로그램이 갑자기 주목받게 된 이유는 작년부터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의 확산 때문이다. 보통 오프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던 회의가 사라지며 대체수단으로 인식됐기 때문이다. 물론 이는 팀스뿐만 아니라 슬랙(Slack), 카카오워크 등의 다른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에도 존재하는 기능이며 화상회의는 줌(Zoom)이나 웨벡스(Webex)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서도 할 수 있다. 다만 굳이 팀스가 이들 프로그램보다 더 많이 사용되는 까닭은 전 세계적인 범용성에 있다.
나는 본래 업이 외국 회사와 협업할 일이 많아 해외 출장을 자주 다니며 외국 엔지니어들과 교류를 했지만, 코로나 상황 때문에 지난 1년간은 인천 공항 밖을 나선 적이 없다. 처음엔 커뮤니케이션의 감소로 인해 업무 생산성이 급격하게 떨어지지 않을까 하고 많이 걱정했다. 하지만 이런 걱정은 기우였던 게 각국의 많은 엔지니어가 각자 자기 집에서, 창고에서, 공장에서, 사무실에서 이 플랫폼을 통해 접속하며 일을 해 나가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플랫폼 덕택에 미팅 횟수가 이전보다 많아지고 심지어 어떤 면에서는 이전보다 더 효율적으로 변화됐다는 점이다.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이 비행기를 타고 이동해 직접 만나는 것에 비해 효율적인 점은 생각보다 많이 있다.
예컨대 미국에 있는 설계 업체와 영국에 있는 시공 업체, 그리고 싱가포르에 있는 장비 업체와 일을 하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이 경우 모든 참여자들이 한 장소에서 만나 회의를 진행하는 일은 계약을 하고 최소 수천만원의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서는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다. 하지만 미팅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서로에게 크게 부담되지 않으니 손쉽게 다 같이 모일 수 있게 된다. 미팅을 위한 교통비도 필요 없고, 회의 장소 예약도 필요 없어 불필요한 회의 비용도 필요 없기 때문이다.
요즘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수준은 1년 전에 비해서도 엄청난 향상을 보여 주고 있는데, 화면을 공유하고 그 화면 위에 필기를 하거나, 클라우드 서버 안에서 같이 수정하며 협업하는 일도 가능하다. 심지어 인공지능 기술의 향상으로 화자의 발언을 그대로 받아 적는 라이브 캡션 기능도 탁월한데, 이쯤 되면 외국인과 직접 대화를 하는 것보다 미팅 프로그램을 통해 대화하는 편이 어떤 면에서는 더 효율적이게 된다. 귀로 한 번 듣고 눈으로 재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화상회의 수를 세어 보니 보통 하루에 네다섯 개, 많게는 10개까지 되더라. 10개면 30분씩만 잡아도 5시간인데, 이게 가능할 수 있는 이유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내에서 서로의 일정을 확인하고 약속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동시간도 없어지니 15분, 30분 단위의 짧은 미팅도 가능하다. 이렇다 보니 외국의 최신 기술 보유 회사와 협업하는 일도 이제는 많은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도 가능한 일이 됐다.
계약도 굳이 수백, 수천 장의 계약서를 출력하지 않고 다큐사인과 같은 플랫폼을 기반으로 비대면으로 충분히 실시할 수 있다. 나스닥에 상장된 이 회사의 시가총액은 코로나 이전에 10조원 내외였는데, 현재 현대자동차를 넘어선 50조원가량으로 거래되고 있다. 아마도 코로나 시대가 종결되더라도 계약은 이전의 서면으로 회귀하지 않고 비대면으로 계속하게 될 것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이런 비대면의 시대에 우리는 일상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고, 코로나 상황이 종식되더라도 결코 과거로 회귀하지 않을 것이다. 이전보다 빨라진 변화의 속도, 이에 따른 가치관 변화에 우리는 얼마나 빠르게 적응해 가고 있을까. 한 번쯤 그 비가역적인 변화에 대해 고민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2021-04-19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