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하늘 라이스앤컴퍼니 대표
영화 ‘미나리’는 정이삭 감독이 어린 시절 아칸소에서 듣고 본 80여 가지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다. 자전적 이야기를 바탕으로 특출난 보편성을 획득한다. 감독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한 만큼 그리고 싶은 그림과 늘어놓을 말이 많았을 것이다. 하지만 영화는 그로부터 한 발치 멀어지는 것을 택한다. 리얼의 관여를 줄이고 자기 연민에 빠지지 않는다.
인물들은 개척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할리우드 영화처럼 비루하게 꼿꼿하다. 하지만 오직 순자(윤여정)만이 예외다. 다른 인물들이 ‘미국화’를 지향하는 동안 그녀는 홀로 한국이라는 이방의 할머니를 연기한다. 그녀라는 중심 바깥의 인물은 개척시대 영화의 인물들과 궤를 달리한다. 선과 악, 약자와 강자의 이분법 밖에 있다. 상투적인 도백도, 도식화된 울분도 없다. 영화는 그저 관객과 거리 두기를 충실히 해내되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동일시의 항해를 한다. 모든 장면을 허투루 쓰지 않고 꾸준히 나아간다.
영화를 보는 내내 그때의 내가 떠올랐다. 우물 안의 나는 정말이지 정처 없고 척박했다. 나를 불쾌하게 하는 것은 모두 부조리한 것이라 여기며 세상에 대한 불만과 부정을 과잉 생산하며 세상을 반으로 쪼개서 바라보았다. 정신은 날로 허약해지고 무너져 내렸다. 갈증과 갈등, 조바심과 조급증은 부지런히 나를 갉아먹었다. 성실한 자기 위로는 삶의 진전에 완벽하게 무용했다. 사지의 온 힘을 다해 우물에서 빠져나온 날 저 멀리 무너진 싱크홀을 바라보곤 불현듯 인생을 잘 다루고 싶어졌다. 스스로를 구원하고 싶어졌다.
찰리 채플린은 말했다. ‘인생은 가까이 보면 비극, 멀리 보면 희극’이라고. 역으로 생각해 본다. 처한 상황에서 한 발치 물러나 감정의 몰두와 신경의 관여를 줄였어도 나의 고민들은 그리 무겁지 않았으리라. 모든 비극을 희극으로 치환할 수 있었으리라. 모두가 고통받는 ‘미나리’의 인물 중 순자만이 예외였듯.
순자는 우물을 파거나 땅을 갈아엎어 농사를 짓는 제이컵(스티븐 연)과 달리 개울가에 미나리 씨앗을 뿌린다. 그저 미나리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에 미나리 씨앗을 뿌린다. 미나리는 따로 돌보지 않아도 알아서 잘 자란다. 그리고 그녀는 그 풍성함을 만끽하며 이렇게 흥얼거린다.
“미나리가 잘 자라네. 미나리가 얼마나 좋은 건데. 잡초처럼 아무 데서나 막 자라니까 누구든지 다 뽑아 먹을 수 있어. 부자든 가난한 사람이든 다 뽑아 먹고 건강해질 수 있어. 김치에도 넣고, 찌개에도 넣고, 국에도 넣고, 아플 땐 약도 되고, 미나리는 원더풀 원더풀이란다.”
맞다. 미나리는 ‘원더풀’이다. 맑은 물에서나 오물 근처에서나 잘 자란다. 서식지의 물 또한 정화한다. 제이컵이 식수를 농수로 끌어다 쓴 탓에 수도가 끊겼을 때에도 순자는 미나리밭에서 물을 길어다 쓰며 식구들을 구원했다. 순자는 그들의 구원자였으며, 미나리는 구원의 씨앗이자 간절한 기도이리라.
지난날의 나를 생각해 본다. 내게 의존하는 딸, 나를 배척하는 손자, 무작정 호출된 이국의 삶, 그 안에서 순자처럼 살았다면. 한국이든 미국이든 어디에서든 환경에 개의치 않고 쑥쑥 자라는 미나리처럼 살았으면 어땠을까. 나 자신에게 갇혀 자위하는 대신 스스로를 구원했으리라. 작은 우물 속에 숨어 두려움을 감추는 대신 자기 연민을 거두고 삶을 마주했으리라. ‘보이는 게 안 보이는 것보다 나은 거니까.’
2021-03-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