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한 아트에세이스트
상당히 오랫동안 학생들 과제를 받아서 일일이 코멘트 적어 피드백을 해 주곤 했다. 처음에는 하도 답답해서 미술사 수업에서 논문 쓰는 법을 따로 강의하기도 했다. 남의 글을 어떻게 가져와야 하는지를 학생들이 정말 하나도 몰랐기 때문이다. 대학에 글쓰기 강의가 없는 건 아니지만(그마저도 강사법 실행 이후 거의 없어졌다), 그런 강의 한 번으로 제대로 쓸 줄 알게 되는 건 아니다. 리포트 쓸 때마다 코멘트를 해 줘야 한다. 하지만 교수는 적고, 대부분 시간강사들이 수업을 맡고 있는데, 강사수당은 잘 알다시피 너무나 적고, 최소 생계비라도 벌려면 여기저기 ‘보따리’ 들고 유랑을 해야 하는지라 그렇게까지 학생들을 일일이 살피라고 강제할 수가 없다(하지만 지금도 학생 과제물에 코멘트를 달아 주는 수많은 강사를 알고 있다). 교수들은 교수들대로 가르치는 일 말고도 온갖 행정 일부터 자기 논문과 업적 챙기기까지 할 일이 많아 할 수가 없다고 변명하겠지만 말이다. 그렇다면 누가 그 일을 해야 하는 것일까?
유명인이 어쩌면 가장 많이 걸려 넘어지는 부분이 논문 표절일지 모르겠다. 그들은 하나같이 ‘논문 쓰는 법을 잘 몰라서’라고 말한다. 그 말은 사실일지 모른다. 배운 적이 없다. 그래서 그냥 남의 글도 자기 것처럼 여기저기서 갖다 써도 된다고 생각한다(이 대목에서 갸웃. 이걸 꼭 배워야 아나?). 아니, 그나마 여기저기서 짜깁기라도 하는 건 성의가 있는 것이겠다. 아예 통째로 갖다 쓰기도 한다. 논문만 그런 건 아니다. 남이 쓴 시도, 소설도 가져다 자기 이름으로 낸다. 심지어 그걸로 상도 탄다. 그것도 여러 번. 잊어 버릴 만하면 국회의원, 장관 후보, 교수, 의사, 잘나가는 일타 강사, 연예인이 논문을 표절해서 잘나가던 경력에 치명타를 입는다. 한순간에 경력이 끝날 정도로 중요한 일인데 왜 우리는 그 중요한 ‘논문 쓰는 법’, ‘글 쓰는 법’을 가르치지 않는 것일까?
이런 일이 터질 때마다 드는 또 하나의 의문이 있다. 논문 표절이 그 논문을 쓴 당사자만의 잘못일까 하는 점이다. 내가 대학 논문 심사를 거절한 이유는 하나의 논문 검토에 드는 시간 대비 비용이 형편없이 적어서만은 아니다. 그 논문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통과 결정을 내릴 책임을 질 수 있는 자리에 있지 않으며 자격이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다시 말하면 그 논문에 책임을 지는 자리가 있다는 뜻이다.
그런데 사건이 터질 때마다 신문·방송을 유심히 봤지만, 누구도 그 문제를 건드리지 않았다. 언론도 하나같이 논문을 표절한 당사자만 문제 삼았지 그 논문을 읽고 통과시킨 교수들, 논문 표지에 지도교수로 이름이 올라가 있는 사람이 누군지에 대해서는 침묵했다. 그들은 어디에 있는가? 우리는 어쩌면 논문 심사가 언제나 ‘관행’적으로 그럭저럭 형식만 갖춰 넘어간다는 사실을 알고 용인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석사나 박사 논문도 그렇게 대충 넘어가는데 학사 논문이나 학기 리포트는 깐깐하게 하겠는가.
학생들은 점수를 짜게 주거나 표절 문제 따위를 따지는 수업에 안 들어오고, 인기 없는 수업의 강사는 잘리므로 강사도 타협한다. 배울 기회를 구조적으로 막는 셈이다. 지도와 책임의 의무를 질 교수에게 책임을 묻는 일, 우리는 그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2021-01-2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