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표절 논문, 지도교수는 어디에 있는가?/조이한 아트에세이스트

[열린세상] 표절 논문, 지도교수는 어디에 있는가?/조이한 아트에세이스트

입력 2021-01-24 17:26
수정 2021-01-25 03: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조이한 아트에세이스트
조이한 아트에세이스트
15년을 시간강사로 살았다. 내 밥벌이의 근간이긴 하지만, 이 일은 순전히 자본주의적으로 생각하기도 뭣하고, 그렇다고 교육자의 사명이니 뭐니 갖다 붙이기도 낯뜨거운 애증의 정체성이다. 짧지 않은 시간 여러 대학을 전전하며 강사를 하다 보니 갖가지 일을 겪었다. 강사 생활 초기에 한 대학에서 전화가 왔다. 논문 심사를 해 달라고 했다. 잘못 들은 줄 알았다. 착각하신 모양인데 나는 교수가 아니라 할 수 없다고 했더니 관행이란다. 학생수에 비해 교수가 너무 적고 이론 담당 교수가 없어서 관행적으로 강사들이 심사를 했다고 한다. 그깟 관행은 내가 알 바 아니고, 논문 심사는 그 논문에 대한 책임을 진다는 뜻인데, 교수도 아닌 석사 출신 시간강사가 그 논문에 책임을 질 수 있는 문제인지 물었다. 교수가 부족하면 교수를 더 뽑던가, 학생이 많으면 학생수를 줄이라고 말했다. 그 후로 더이상 그런 부탁(?)은 받지 않았지만 다른 강사가 바로 그 일을 맡았다. 나는 ‘말도 안 된다고 생각하는 그 일’을 누군가는 군말 없이 했다. 그러니 그런 ‘관행’이 없어졌을지는 의문이다.

상당히 오랫동안 학생들 과제를 받아서 일일이 코멘트 적어 피드백을 해 주곤 했다. 처음에는 하도 답답해서 미술사 수업에서 논문 쓰는 법을 따로 강의하기도 했다. 남의 글을 어떻게 가져와야 하는지를 학생들이 정말 하나도 몰랐기 때문이다. 대학에 글쓰기 강의가 없는 건 아니지만(그마저도 강사법 실행 이후 거의 없어졌다), 그런 강의 한 번으로 제대로 쓸 줄 알게 되는 건 아니다. 리포트 쓸 때마다 코멘트를 해 줘야 한다. 하지만 교수는 적고, 대부분 시간강사들이 수업을 맡고 있는데, 강사수당은 잘 알다시피 너무나 적고, 최소 생계비라도 벌려면 여기저기 ‘보따리’ 들고 유랑을 해야 하는지라 그렇게까지 학생들을 일일이 살피라고 강제할 수가 없다(하지만 지금도 학생 과제물에 코멘트를 달아 주는 수많은 강사를 알고 있다). 교수들은 교수들대로 가르치는 일 말고도 온갖 행정 일부터 자기 논문과 업적 챙기기까지 할 일이 많아 할 수가 없다고 변명하겠지만 말이다. 그렇다면 누가 그 일을 해야 하는 것일까?

유명인이 어쩌면 가장 많이 걸려 넘어지는 부분이 논문 표절일지 모르겠다. 그들은 하나같이 ‘논문 쓰는 법을 잘 몰라서’라고 말한다. 그 말은 사실일지 모른다. 배운 적이 없다. 그래서 그냥 남의 글도 자기 것처럼 여기저기서 갖다 써도 된다고 생각한다(이 대목에서 갸웃. 이걸 꼭 배워야 아나?). 아니, 그나마 여기저기서 짜깁기라도 하는 건 성의가 있는 것이겠다. 아예 통째로 갖다 쓰기도 한다. 논문만 그런 건 아니다. 남이 쓴 시도, 소설도 가져다 자기 이름으로 낸다. 심지어 그걸로 상도 탄다. 그것도 여러 번. 잊어 버릴 만하면 국회의원, 장관 후보, 교수, 의사, 잘나가는 일타 강사, 연예인이 논문을 표절해서 잘나가던 경력에 치명타를 입는다. 한순간에 경력이 끝날 정도로 중요한 일인데 왜 우리는 그 중요한 ‘논문 쓰는 법’, ‘글 쓰는 법’을 가르치지 않는 것일까?

이런 일이 터질 때마다 드는 또 하나의 의문이 있다. 논문 표절이 그 논문을 쓴 당사자만의 잘못일까 하는 점이다. 내가 대학 논문 심사를 거절한 이유는 하나의 논문 검토에 드는 시간 대비 비용이 형편없이 적어서만은 아니다. 그 논문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통과 결정을 내릴 책임을 질 수 있는 자리에 있지 않으며 자격이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다시 말하면 그 논문에 책임을 지는 자리가 있다는 뜻이다.

그런데 사건이 터질 때마다 신문·방송을 유심히 봤지만, 누구도 그 문제를 건드리지 않았다. 언론도 하나같이 논문을 표절한 당사자만 문제 삼았지 그 논문을 읽고 통과시킨 교수들, 논문 표지에 지도교수로 이름이 올라가 있는 사람이 누군지에 대해서는 침묵했다. 그들은 어디에 있는가? 우리는 어쩌면 논문 심사가 언제나 ‘관행’적으로 그럭저럭 형식만 갖춰 넘어간다는 사실을 알고 용인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석사나 박사 논문도 그렇게 대충 넘어가는데 학사 논문이나 학기 리포트는 깐깐하게 하겠는가.

학생들은 점수를 짜게 주거나 표절 문제 따위를 따지는 수업에 안 들어오고, 인기 없는 수업의 강사는 잘리므로 강사도 타협한다. 배울 기회를 구조적으로 막는 셈이다. 지도와 책임의 의무를 질 교수에게 책임을 묻는 일, 우리는 그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2021-01-2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