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용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바꿀 것 중의 하나는 ‘하던 대로, 시키는 대로’ 하는 대신 알아서 미리 준비할 수 있게 더 많은 자율성을 부여하면서 공부하고 일하게 하는 것이다. 수업을 위해 학생이 준비하도록 해야 한다. 예습을 하면서 잘 이해하지 못한 부분을 수업에서 해결하게 할 수 있다. 학생들이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한 상태에서 수업에 들어오면 강의로 수업 시간을 지루하게 만들지 않아도 된다. 그 대신 그 시간을 토론에 할애할 수 있다. 학생들에게 토론을 시키면 잘 못한다고 불평하는 분들은 예습을 하게 한 다음 토론할 기회를 주는 시도를 꼭 한번 해 보시라. 학생들은 토론 시간을 더 달라고 아우성칠 것이다. 강의보다 토론이 효과적인데, 예습으로 배경 지식을 갖출 때 더 생산적인 토론이 이루어진다. 주는 것만 받아 먹는 교육에서는 학생이 교사의 수준을 넘을 수 없을지 모르지만, 학생이 더 잘할 것을 믿고 맡기는 교육에서는 그런 제약이 사라진다. 학생이 교사보다 더 좋은 생각을 해낼 수도 있는 것이다.
조직에서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인 회의도 준비를 통해 바꾸어야 한다. 100개 기업에서 근무하는 4만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담은 대한상공회의소·매킨지의 보고서(2016)는 우리나라 기업에서의 회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일단 다 불러’서 ‘리더만 일방적으로 발언’하다가 ‘결론 없이 끝’난다.
이런 회의로는 기업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없다. 회의를 최소화하고 효과적으로 해야 한다. 회의 전에 안건에 대해 미리 생각하고 각자의 생각을 글로 제시하게 하면 회의를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모든 회의를 다 이렇게 할 필요는 없다. 다양한 아이디어가 필요하거나 여러 사람이 다양한 관점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을 때만 그렇게 하면 된다. 중요한 아이디어나 관점을 제시한 구성원에게는 약간의 보상을 제시하면 될 것이다. 각자에게 생각할 기회를 제공하고 좋은 생각을 해냈을 때는 인정해 주는 것만으로도 일할 의욕을 높일 수 있다. 혹자는 시키는 것도 못하는데 어떻게 생각하게 하느냐고 물을 수 있다. 필자의 답변은 못하는 게 아니라 시키기만 하기 때문에 안 하는 것일 수 있다는 것이다.
자율적인 준비를 강조하는 것은 자율성이 우리 삶의 질을 높이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이다. 방향만 정해 주고 나머지는 알아서 하게 맡길 때 일반적으로 성과는 물론 일하는 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 또한 준비하는 사람에게는 우연적 발견이라는 엄청난 행운이 덤으로 따라올 수도 있다. 과학계에서 이룬 성취 가운데에는 우연한 발견이 적지 않다. 예를 들면 심리학자 올즈는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미세 전극을 너무 깊숙이 삽입하는 실수 덕분에 쥐의 뇌에서 쾌락을 담당하는 부위를 발견했다. 아무나 이런 발견을 하는 게 아니다. 파스퇴르의 말처럼 우연은 준비된 자에게만 미소 짓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의 여러 영역에 걸쳐 책임이 따르는 자율성이 확대돼야 한다. 행복을 가르치는 것보다 훨씬 더 구체적인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능동적으로 준비하는 사람이 많아질 때, 우연한 돌파구를 찾는 행운도 많아진다. 우리에게는 이런 행운이 절실하다. 복수는 복수를 낳는 악순환을 일으킨다. 이러한 악순환을 벗어나는 길은 우리에게 준 모욕을 감사로 갚는 것이다. 이번 일을 벌인 아베에게, 우리에게 정말 좋은 일을 했다고 감사할 날이 빨리 오도록 각자의 자리에서 준비를 하자. 그렇지만 일본이 우리에게 지금 하고 있는 일과 과거에 했던 일을 결코 잊지 말자.
2019-08-09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