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언어 ‘완전정복’ 유감/김세정 런던 그린우즈 GRM LLP 변호사

[열린세상] 언어 ‘완전정복’ 유감/김세정 런던 그린우즈 GRM LLP 변호사

입력 2019-05-12 17:44
업데이트 2019-05-13 01: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세정 런던 그린우즈 GRM LLP 변호사
김세정 런던 그린우즈 GRM LLP 변호사
‘외국인’이 한국어를 하면 한국인들이 화들짝 놀라거나, 너무 심하게 감탄하는 경우를 본다(여기서 ‘외국인’은 국적과 관계없이 전형적인 한국인의 외모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을 말하기 위해 쓴 단어다). 호의에서 비롯된 반응이라 하더라도 그리 예의 바른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상대의 무능력, 즉 한국어를 못할 것이라는 점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또한 다문화 가정 출신이나 귀화한 사람일 수도 있는데, 이런 경우를 염두에 두지 않는 태도다.

반면 한국인들은 한국인이라면 마땅히 한국어를 잘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그렇지 못하면 훈계하고 꾸짖기조차 하는데 이 역시 부당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남들이 미처 모르는 각자의 상황에 따라 한국어를 잘하지 못하거나 아예 못하는 한국인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매우 많은 한국인이 영어 공부를 열심히 하고, 영어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다. ‘영어 완전정복’이란 한국인에게 일종의 강박관념처럼 보이기조차 한다. 아이들에게도 영어 공부를 강력히 권하는데, 때로는 한국어조차 습득하지 못한 어린아이들에게도 영어를 우선적으로 가르치고자 한다. 물론 영어는 가장 유용하게 통용되는 국제 언어다. 특히 한국인들로서는 프랑스어나 스페인어에 비해 영어 쪽이 배울 기회도 사용할 기회도 많기야 하다. 책이나 영화, 드라마, 음악 같은 콘텐츠를 접하든, 여행을 가서 쓰든, 비즈니스를 하든, 공부를 하든 말이다.

정리해 보자면 한국인들은 한국인이라면 마땅히 한국어를 잘 구사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 스스로는 영어 공부를 매우 열심히 하고 한국어를 잘하는 ‘외국인’은 매우 특이한 존재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라고 하겠다.

여기서 잠시 ‘외국인’의 영어 사용과 관련한 영국인의 태도를 살펴본다면 영국인들은 영어를 잘하는 외국인을 그리 신기해하지도 않지만 어떤 종류의 외국인은 영어를 못할 것이라고 예상하기도 하는 듯하다. 가끔 영국인들로부터 “캔, 유, 스피-크, 잉글리시”(너 영어 할 수 있냐)라는 질문을 대화 앞머리에 받는 일이 있다. 귀가 어두운 사람 대하듯 매우 큰 소리로 또박또박 묻는다. 일종의 배려라고 좋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어쩐지 ‘영어를 못하게 생긴 외국인’이라는 판정을 받은 기분이 들기도 한다.

영국에 살기 시작하면서 신경을 쓰게 된 것은 아이의 한국어 학습이었다. 한국인이라면 당연히 한국어를 잘해야지 하는 믿음에서 자유롭기란 쉽지 않았던 것이다. 그런데 외국에서 ‘한국어 완전정복’ 또한 그리 쉽지 않다는 걸 깨달았다(그 쉽지 않은 일을 해내는 사람들이 있고, 정말 존경한다). 아이는 영어를 사용하는 사회에서 공부도 노는 것도 영어로 하며 산다. 접할 수 있는 콘텐츠도 거의 영어다. 언어는 가정에서 익히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사회적 맥락에서도 배우고 공부를 따로 하기도 해야 잘할 수 있다. 말하자면 한국에서 영어 교육에 공들이는 만큼 공부를 시켜야 한국어를 어지간히 할 수 있을 텐데, 그러려면 한국어 공부에 대한 동인 역시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왜 한국어를 공부하고 시키는가.

한국어를 읽고 쓰고 문화를 익히고 하면서 생각해 보니 진정 바라는 것은 아이와 한국어로 대화하고 그래서 감정을 나누는 데 지장이 없었으면 좋겠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그렇다면 사실 더 중요한 것은 아이와 대화를 많이 하고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관계가 될 것인지 여부다. 어떤 언어로 의사소통을 하는지는 따지고 보면 부차적인 문제고, 목적은 대화이며 돈독한 관계고 언어는 그를 위한 도구일 뿐이다. 도구인 언어를 억지로 가르치느라 관계가 나빠지는 건 그리 바람직한 일은 아닐 것이다.

다시 정리해 보자면 이렇다. 한국인이라고 해서 한국어를 잘 구사하는 것이 당연한 것은 아니다. 한국어를 잘하는 외국인을 칭찬하는 것도 예의에 벗어나지 않게 해야 한다. 영어 공부 부분은 그 목적을 생각해 볼 일이다. 어른의 경우 목적에 따라 다르게 영어 공부를 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어린아이라고 한다면 우선은 함께 시간을 많이 보내고 대화를 자주 나누는 것이 공부를 시키는 것보다 중요할 것이다. 어떤 언어를 사용하든 말이다.

마침 가정의달이다.
2019-05-13 30면
많이 본 뉴스
고령 운전자 사고를 줄이려면
‘서울 시청역 역주행 사고’ 이후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음 중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대책은 무엇일까요?
고령자 실기 적성검사 도입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 강화
고령자 안전교육 강화
운행시간 등 조건부 면허 도입
고령자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