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초소형 인공위성의 시대/김경민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열린세상] 초소형 인공위성의 시대/김경민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입력 2019-04-11 17:26
업데이트 2019-04-12 04: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경민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김경민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서울신문에 3년 가까이 시론을 집필하면서 필자의 주된 시론의 방향은 늘 한국의 다음 세대를 위한 주제를 택하려고 애를 써 왔다. 그러기에 여타의 필진보다 ‘우주 분야’를 많이 다루어 왔다. 오늘은 우주 분야의 초소형 인공위성을 주제로 글을 써 보려 한다. 지금뿐만 아니라 미래의 후손들은 마치 자동차나 CCTV의 기술과 같이 우주 기술과 정보가 일상의 생활 속에 꼭 필요한 시대를 살아 가야 할 것이다.

우주는 미국이나 러시아와 같은 우주 개척국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유럽국가, 중국과 일본, 인도 등 웬만한 국력을 가진 나라들은 모두 다 우주 개발에 국력을 쏟아붓고 있다. 중국만 하더라도 향후 10년 내에 크고 작은 인공위성 1500기를 쏘아 올려 국가안보와 경제 그리고 국민의 생활에 우주정보가 활용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중국이나 우주 선진국들도 마찬가지이지만 지금까지는 4~5톤이 넘는 대형 위성 위주로 우주 개발을 해 오며 우주공간에서 촬영한 데이터를 국가안보와 날씨 등 각종 분야의 정보로 활용해 왔는데, 그 전략은 유지하면서 초소형 인공위성을 더 많이 쏘아 올린다는 계획이다.

중국은 대기권과 우주공간의 경계선인 고도 100킬로미터를 살짝 넘는 높이의 저궤도에 초소형 인공위성을 많이 쏘아 올려 특정 지역 작물 재배의 상황이나 특정 항구의 선박 출입 데이터를 모으고 빅데이터화해 경제 상황을 판단한다는 것이다. 초대형 인공위성의 제작은 예산이 수천억원이 필요하고 제작 기간이 5년에서 10년이 걸리지만, 초소형 인공위성은 수억에서 수십억원이면 되고 6개월 정도면 제작이 완료된다. 무게가 100킬로그램 미만짜리를 초소형 인공위성이라 하는데, 일본 도쿄대가 제작한 ‘다스키’ 무게가 3킬로그램이고 운반은 여행용 가방에 넣어 신칸센을 타고 로켓 발사장이 있는 가고시마로 이동했을 만큼 세계는 이미 초소형 인공위성 시대로 가고 있다. 이 인공위성을 쏘아 올린 로켓은 전신주 사이즈인 길이 9.5미터, 직경 52센티미터의 ‘SS520’ 로켓이었다.

전자부품이 많은 인공위성의 경우 반도체 기술의 진화로 위성의 저비용화, 소형화의 진척이 대단히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미국의 통계 전문회사의 데이터에 따르면 무게 1~50킬로그램의 위성이 현시점에서 약 250여기 존재하고, 2022년에는 460기로 약 2배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일본의 우주 벤처회사인 ‘액셀 스페이스’는 소형 위성을 향후 약 50기를 쏘아 올려 지구 상의 특정 지점을 촬영한 데이터를 빠른 속도로 지방자치단체와 민간 기업에 제공할 예정이다. 대형 위성의 경우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한 이후 약 1개월 뒤에나 관측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데, 소형 위성은 몇 시간 이후부터 가능해 특정 지역의 관측에는 초소형 위성이 훨씬 유리하다.

그러면 한국은 어떻게 해야 할까? 필요한 수만큼의 대형 위성, 즉 기상위성이나 첩보위성은 유지하되 조속히 초소형 위성 사업을 진척시켜 미래를 대비해 나가야 한다.

초소형 인공사업 추진을 가장 잘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는 참고할 만하다. 우주 개발이니 인공위성이란 말만 들어도 아직 실감이 나지 않는 국민이 많기 때문에 일본은 대학교 이름을 붙인 초소형 인공위성, 혹은 지자체의 특정 도시나 군(郡) 이름을 딴 초소형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며 국민 지지의 저변 확대를 꾀하며 거창한 국가사업이란 이미지를 벗겨 내렸다. 그러다 보니 특정 지역을 이름을 딴 지역 주민들이 관심을 갖게 되고, 그 위성에서 보낸 데이터로 자신들이 사는 숲의 상황이라든가, 항구라면 어느 배가 몇 시에 들어 왔는가를 안방에서 알 수 있게 돼 문자 그대로 ‘우주가 우리 곁에’ 와 있다는 체감을 하게 되니 우주 개발이 생경한 분야가 아니라는 점이 인식되고 있다.

한국도 예를 들어 어떤 대학교 동아리팀이 개발한 초소형 인공위성에 그 대학교 이름이나 동아리 이름을 붙여 쏘아 올리게 되면 그 대학의 구성원 모두가 관심을 갖게 돼 초소형 인공위성을 대량 추진하는 우주 선진국들을 바짝 따라붙을 수 있을 것이다. 지금 세대가 미래 세대를 위한 초소형 위성시대를 준비해 주어야 하겠다.
2019-04-12 30면
많이 본 뉴스
고령 운전자 사고를 줄이려면
‘서울 시청역 역주행 사고’ 이후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음 중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대책은 무엇일까요?
고령자 실기 적성검사 도입 
면허증 자진 반납제도 강화
고령자 안전교육 강화
운행시간 등 조건부 면허 도입
고령자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