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용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학생의 실력을 향상시키려면 내용 지식과 함께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공부법을 가르쳐야 한다. 효과적인 공부법이란 같은 시간 동안 공부했을 때 학습 효과가 더 높은 방법을 가리킨다. ‘분산학습’, ‘지연된 평가’, ‘시험과 퀴즈 활용’, ‘자기 설명’, 그리고 ‘능동적 학습’ 등이 대표적인데, 차례로 살펴보자.
‘분산학습’이란 같은 4시간을 공부하더라도 한꺼번에 다 하는 것보다 한 시간씩 네 번에 나누어서 할 때 더 많이 배운다는 것이다. 집중 코스에서처럼 한꺼번에 몰아서 공부하면 많이 배웠다는 느낌이 들게 한다. 하지만 이렇게 공부하면 상대적으로 빨리 잊어버린다. 적절한 간격을 두고 다른 과목과 섞어서 공부할 때, 그 내용을 더 잘 이해하고 기억할 수 있다. ‘지연된 평가’는 공부를 한 다음 바로 점검하는 것보다는 적어도 한두 시간 지난 다음 점검해야 자신의 이해 수준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용하기 쉽고 효과가 가장 큰 공부법은 ‘시험과 퀴즈 활용’이다. 새로운 내용을 배우기 전에 그 내용과 관련된 질문으로 시작하면 배우는 내용을 더 잘 이해하게 된다. 배운 내용을 복습하는 것보다 시험을 보면 내용을 더 잘 기억할 수 있다. 따라서 수업 시간에 더 많은 질문과 더 잦은 평가가 필요하다.
한편 이해할 때까지 여러 번 설명을 듣는 것보다 학생이 스스로에게 혹은 다른 누군가에게 설명을 해 보면 이해 수준을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기 설명’은 학습자의 능동성을 강조하는 능동적 학습법의 하나다. 능동적 학습에서는 학습자로 하여금 뭔가를 조작하거나, 설명을 하게 하거나, 결과물을 만들어 내거나, 모여서 토론하게 하는 등의 자기 주도적 활동을 중요시한다. 이런 활동이 강의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실증적 증거는 미국 애리조나주립대학의 미셀린 치가 정리한 바 있다.
과학적으로 입증된 위의 방법들과 달리 아직 입증된 적은 없지만 그럴듯하게 들리는 주장도 있다. ‘학습유형’이 그 대표적인 예다. 개인마다 학습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학습유형검사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유형을 찾고, 그에 맞게 배우고 공부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학습유형검사도 많이 개발돼 사용되고 있는데, 효용성을 의심하는 실증적 증거는 있어도 지지하는 증거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마찬가지로 ‘명강의’ 또한 학생의 실력을 향상시킨다는 증거가 없다. 학생들은 유창한 강사를 좋아하지만, 그렇다고 어눌한 강사에게 배울 때보다 시험 점수가 높지 않다. ‘좋다’는 느낌이 실력으로 연결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못하는 사람을 피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가르치는 사람의 스타일이나 명성에 너무 연연할 이유가 없다.
현재로서는 느낌만 좋은 방법들 대신 앞서 언급한 과학적으로 입증된 효과적인 공부법들을 활용하는 게 최선이다. 한국의 설문 결과가 없어서 외국 사례를 들자면 미국 대학생은 수업 시간에 학습법을 배웠다고 반응한 대학생이 20% 정도로 낮았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하면 학생들에게 지금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효과적인 공부법을 알려 줄 필요가 있다. 동시에 수업도 그에 맞게 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수업을 한 번에 다 모는 대신 나누어서 하고, 수업 시간에 많은 질문을 던지거나 던지게 하고 또한 토론을 활성화해야 하며, 자신의 생각을 제시할 수 있는 논술형 문항으로 자주 평가해야 한다.
모두 다 학습 전문가가 될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가르치는 사람들은 지금보다는 학습이나 기억의 원리에 대해 더 해박해져야 한다. 학습에 대한 실증적 연구 결과를 모르면 학생은 물론 가르치는 사람도 느낌에 좌우되기 쉽기 때문이다. 느낌이 실제 효과와 다를 경우 그 느낌을 거부해야 발전이 이루어진다. 우리 교육은 지금 발전이 절실하다.
2019-03-2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