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게다가 한국은 성이 너무 적다. 인구 5000만명에 성이 300개도 안 된다. 본관이 있다지만 이름에 표시되는 게 아니니 별 의미가 없다. 일본이나 중국은 성이 수천 내지 수십만 개나 되는 것에 비해 한국은 너무 적다. 게다가 김(金)씨나 박(朴)씨와 같은 큰 성의 비율이 너무 크다. 그러니 이름이 다양할 수 없다.
한국인의 이름이 이렇게 겹치게 된 데에는 중국의 이름 체제를 본뜬 데에서도 이유를 찾을 수 있다. 한국인들은 자신들의 이름이 한국 고유의 것이라고 여기지만,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중국의 것을 그대로 따르기 때문이다. 전 세계에서 중국인의 이름 체제, 즉 대체로 성이 한 글자이고 이름이 두 글자인 체제를 따르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 일본은 같은 한자를 쓰지만, 체제는 우리와 많이 다르다.
게다가 우리는 주자학적인 종법 질서를 따르느라 돌림자를 쓴다. 항렬을 구분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특히 남자는 태어나면 이름 세 글자 가운데 두 글자가 결정된다. 나는 태어나면서 이미 성인 ‘최’와 돌림자인 ‘식’ 자가 정해졌기 때문에 가운데 한 글자만 선택할 수 있었다. 그래서 가운데에 ‘준’ 자를 썼는데, 비슷한 사정이 많다 보니 한국에 ‘최준식’이라는 이름의 사람이 굉장히 많아졌다. 그러니 비슷한 이름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
한국인의 이름이 변별력이 없는 또 하나의 이유는 갈수록 떨어지는 한국인들의 한문 실력 때문일 것이다. 본인들은 이름에 좋은 한자를 가져다 쓰는데, 그냥 읽어서는 그 뜻을 알 수 없는 이름이 많다. 사실 이름은 뜻으로 읽어서는 안 되고, 그냥 읽기만 해도 그 뜻을 알아야 한다.
그런데 한자로 이름을 지으면 이게 안 된다. 예를 들어 아들의 이름을 세상의 보배가 되라는 의미에서 ‘세상 세(世)’ 자에 ‘보배 진(珍)’ 자를 써서 세진으로 지었다고 하자. 그런데 세진은 읽어 봐야 그 뜻을 알 수 없다. 게다가 마지막 진 자를 먼지 진(塵)으로 쓰면 이 이름의 뜻은 세상의 먼지가 된다. 그러니 세진이라는 이름은 의미가 없게 된다.
이에 비해 중국인들은 한자가 자신들의 문자라 상상력을 발휘해 아주 다양한 이름을 만들어 냈다. 그들은 그 이름만 읽어도 그 뜻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내 중국 제자 가운데에는 이름이 역심(亦心)이라는 친구가 있었다. 여자아이 이름이 왜 그러냐고 했더니 엄마가 사모할 연(?) 자를 너무 좋아해 이 글자를 파자(破字)해 만들었다는 것이다. 중국인들의 이름을 보면 우리처럼 정형화된 모습은 없다. 아주 다양한 이름을 지어 개인의 변별력을 높이고 있다.
이제부터는 우리도 좀 생각하면서 한글로 다양하게 이름을 짓자. 예를 들어 북미 인디언들의 이름을 보면 ‘구르는 천둥’, ‘늑대와 춤을’ 같은 기상천외한 이름들이 있다. 우리도 한글로 이렇게 그 아이에게 꼭 맞는 이름을 만들어 보자는 것이다. 제발 시내의 작명소 같은 데에 가서 귀한 자식의 이름을 짓지 말자. 원래 이름은 아기와 그 집안의 사정을 잘 아는 집안이나 마을의 어른이 심사숙고해서 지어야 한다.
다행히 요즘에는 순우리말로도 이름을 많이들 짓는데, 상상력이 떨어지는지 또 겹치는 이름이 많다. 예를 들어 ‘나라’니 ‘누리’, ‘아람’ 등이 그것인데, 앞으로는 더 상상력을 동원해 멋있는 이름을 지었으면 좋겠다. 이와 관련해 생각나는 이름은 ‘박차고나온노미새미나’라는 이름인데 ‘모친의 배를 박차고 나와 샘을 낸다’는 뜻인 것 같은데 나는 이런 이름이 멋지다고 생각한다.
나는 딴에는 딸아이의 이름을 멋지게 지어 보겠다고 ‘하늘 별 달 구름 바람’이라 하고 줄여서 ‘하람’으로 불렀다. 자연을 너무 좋아한 나머지 이렇게 지었다, 그런데 아뿔싸, 개신교 아이들의 이름에 ‘하나님 사람’이라는 의미에서 ‘하람’이라는 이름이 있지 뭔가. 이름 짓는 일이 이렇게 힘들다.
2019-03-13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