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앞으로 인간의 고유성이 위협받을 것이라는 많은 예측은 대개 교육의 중요성으로 끝을 맺는다. 복잡한 패턴을 인식하거나, 주어진 조건에서 정해진 목적을 위한 최적의 계획을 세우는 일은 인공지능이 우릴 앞서기 때문에 기계가 넘볼 수 없는 인간 고유의 창의성을 키우도록 교육해야 한다는 식이다. 하지만 이 창의성이 과연 무엇인지, 그 창의성이 교육을 통해 어떻게 함양될 수 있는지는 사실 가늠하기 쉽지 않다.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에서 인문학을 가르치는 입장에서 이런 질문들을 외면할 수 없어 고민 끝에 지난 학기에 실험적인 과목을 만들었다. ‘비판적 디자인’이라는 이름의 융합형 과목에서 학생들은 단순하지만, 새로운 가치를 지닌 기술을 창의적으로 설계하는 과제를 수행했다. 첫 4주 동안 학생들은 과학기술학과 장애학 등 비판적 인문학들을 공부하고 장애와 기술의 관계를 생각했다. 기술자들은 사용자가 어떤 몸을 가졌는지 가정하고 원하는 결과를 상상하며 기술로 구현한다. 이 과정에서 상업성과 효율성이 우선적 가치가 되면 장애인과 같은 다른 몸을 가진 소수자들은 예외로서 배제된다.
평소 장애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거의 없는 학생들은 장애란 장애인의 몸이 아니라 물질적 환경과 사회적 규범으로 만들어진다는 급진적 주장을 접했을 때 다소 혼란스러워했지만, 주위의 시설과 환경이 장애의 몸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는 잘 수긍했다. 장애의 몸을 비장애인의 규범에 억지로 맞추려 하기보다 장애인의 몸 자체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면서 통합할 수 있는 과학기술이 필요하다는 주장에는 공감했지만, 이것이 어떻게 가능할지 궁금해했다.
이후 학생들은 디자인 전공 강사들의 도움을 받아 가며 장애인이 사용할 기술들을 직접 설계해 나갔다. 장애 경험을 상상하는 것조차 어렵다는 점을 절감하면서도 특강이나 장애인과의 만남을 통해 이들의 몸과 시선에서 기술을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처음엔 아이디어를 스케치하고 스티로폼, 종이, 찰흙 등으로 거친 시제품을 만들었다. 실험에 익숙한 이공계 학생들이지만, 대부분 이런 ‘원초적인’ 만들기 경험은 초등학생 시절 이후 처음이라는 반응이었다.
복잡한 프로그래밍에는 능숙해도 단순한 스티로폼을 자르고 붙이고 구멍 내는 일은 서툴렀다. 인간의 뇌와 사고가 손의 사용으로 진화했다고 하지만, 우리의 고등 교육은 두 손을 묶어 둔 채 창의성을 독려해 온 것이 아닌가 싶었다. 일부 학생들은 장애인의 요리를 돕는 기술을 구상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는 장애인의 경험을 상상하는 어려움만큼이나 요리 경험의 부족에서 오는 것이었다. 이들은 대체로 지금까지 간단한 물건을 고치거나 스스로 식사를 준비하는 일상에 익숙하지 않았던 것이다.
힘든 노력 끝에 학생들은 3D 프린팅으로 정교한 시제품을 훌륭히 완성해 냈다. 시각장애 아동이 쓸 안전하고 정확도 높은 가위, 시각장애인의 과학실험을 도와줄 마이크로 피펫 보조 장치, 지체장애인이 현관문에 부착할 도어 스토퍼 조절 장치, 시각장애인이 사용할 조리용 골무와 계량컵이 이렇게 탄생했다.
학내 전시회까지 마치고 난 뒤 만난 학생들은 자신들이 터득한 통찰들을 들려주었다. 첨단 기술이 주목받는 시대에 골무와 가위를 설계하는 의미를 물었을 때 새로움이나 복잡성이 기술의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와 목적에 맞는 기술이 가장 가치 있다고 답했다. 오히려 주류의 기술들은 제품에 인간을 맞추도록 한다며 소수자들이 과학기술 개발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자신들의 작업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고자 하는 뜻도 밝혔다.
내 몸을 써서 무언가를 만들고 고치는 일상을 살아가기, 온전히 이해될 순 없는 걸 알지만 타인의 삶을 상상하기, 더 나은 기술을 만들어 내기 위해 소수자들을 참여시키는 연대의 마음. 이번 실험은 이렇게 창의성의 주요 자원들을 보여 주었다. 어쩌면 소수자를 위한 과학기술이 이렇게 창의성 교육과 만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하대청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학부 교수
평소 장애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거의 없는 학생들은 장애란 장애인의 몸이 아니라 물질적 환경과 사회적 규범으로 만들어진다는 급진적 주장을 접했을 때 다소 혼란스러워했지만, 주위의 시설과 환경이 장애의 몸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는 잘 수긍했다. 장애의 몸을 비장애인의 규범에 억지로 맞추려 하기보다 장애인의 몸 자체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면서 통합할 수 있는 과학기술이 필요하다는 주장에는 공감했지만, 이것이 어떻게 가능할지 궁금해했다.
이후 학생들은 디자인 전공 강사들의 도움을 받아 가며 장애인이 사용할 기술들을 직접 설계해 나갔다. 장애 경험을 상상하는 것조차 어렵다는 점을 절감하면서도 특강이나 장애인과의 만남을 통해 이들의 몸과 시선에서 기술을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처음엔 아이디어를 스케치하고 스티로폼, 종이, 찰흙 등으로 거친 시제품을 만들었다. 실험에 익숙한 이공계 학생들이지만, 대부분 이런 ‘원초적인’ 만들기 경험은 초등학생 시절 이후 처음이라는 반응이었다.
복잡한 프로그래밍에는 능숙해도 단순한 스티로폼을 자르고 붙이고 구멍 내는 일은 서툴렀다. 인간의 뇌와 사고가 손의 사용으로 진화했다고 하지만, 우리의 고등 교육은 두 손을 묶어 둔 채 창의성을 독려해 온 것이 아닌가 싶었다. 일부 학생들은 장애인의 요리를 돕는 기술을 구상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는데, 이는 장애인의 경험을 상상하는 어려움만큼이나 요리 경험의 부족에서 오는 것이었다. 이들은 대체로 지금까지 간단한 물건을 고치거나 스스로 식사를 준비하는 일상에 익숙하지 않았던 것이다.
힘든 노력 끝에 학생들은 3D 프린팅으로 정교한 시제품을 훌륭히 완성해 냈다. 시각장애 아동이 쓸 안전하고 정확도 높은 가위, 시각장애인의 과학실험을 도와줄 마이크로 피펫 보조 장치, 지체장애인이 현관문에 부착할 도어 스토퍼 조절 장치, 시각장애인이 사용할 조리용 골무와 계량컵이 이렇게 탄생했다.
학내 전시회까지 마치고 난 뒤 만난 학생들은 자신들이 터득한 통찰들을 들려주었다. 첨단 기술이 주목받는 시대에 골무와 가위를 설계하는 의미를 물었을 때 새로움이나 복잡성이 기술의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와 목적에 맞는 기술이 가장 가치 있다고 답했다. 오히려 주류의 기술들은 제품에 인간을 맞추도록 한다며 소수자들이 과학기술 개발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자신들의 작업을 오픈소스로 공개하고자 하는 뜻도 밝혔다.
내 몸을 써서 무언가를 만들고 고치는 일상을 살아가기, 온전히 이해될 순 없는 걸 알지만 타인의 삶을 상상하기, 더 나은 기술을 만들어 내기 위해 소수자들을 참여시키는 연대의 마음. 이번 실험은 이렇게 창의성의 주요 자원들을 보여 주었다. 어쩌면 소수자를 위한 과학기술이 이렇게 창의성 교육과 만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2019-01-02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