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대통령이 독서하는 사진이 모 일간지 일면에 크게 실렸다. 망중한의 대통령을 홍보하기 위한 사진 같았는데 나는 그 사진을 보는 순간 이게 아닌데 하는 생각이 들었다. 왜냐하면 다른 사람은 몰라도 대통령처럼 한국에서 제일 바쁜 사람은 책 볼 시간이 있으면 다른 사람들을 만나 이야기 듣는 게 훨씬 낫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 바쁜 시간에 책 한 권에 매달리지 말고 여러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이야기 듣는 게 더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내 경험으로 가장 좋은 독서법은 그 책의 저자를 만나 직접 강의를 듣고 토론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1시간 안에 웬만한 책은 다 뗄 수 있다. 굳이 시간을 많이 들여 책을 읽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사실 어떤 책이든 한 문장 혹은 몇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아무리 어려운 책도 그 핵심만 추리면 한 문장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일례로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 같은 어려운 고전도 ‘꿈은 소망 충족의 발현’이라는 간단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특정한 주제에 대해 알고 싶으면 대통령은 책을 읽을 필요 없이 그 분야의 저자들을 만나 강의를 듣고 토론하면 된다. 그게 훨씬 효율적이다. 우리 평민(?)들은 그렇게 할 수 없으니 책 한 권을 다 읽는 것이다. 우리는 대통령을 철인(哲人)으로 만들어야 한다. 좋은 대통령으로 만들어야 국민이 편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통령이 책 한 권에 매달리는 것은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이다.
물론 내가 책 읽는 것을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나는 ‘책 속에 길이 있다’고 믿는 고지식한 사람이다. 그런데 책에 대한 오해가 상당히 많다. 앞의 대통령 독서와 관계해 말한다면 조용히 앉아서 숙독해야 하는 책은 종교 경전이나 고전, 혹은 어려운 전문서 정도밖에 없다. 다른 책들은 굳이 정신을 집중해 읽을 필요가 없다. 물론 소설이나 시 같은 문학작품 같은 것은 예외다.
그다음은 가장 잘못된 독서에 대한 정보다. 가끔 보면 “반드시 읽어야 할 교양서 백선(百選)”과 같은 기사가 신문에 난다. 그 목록을 보면 ‘논어’나 ‘자본론’ 등 과거 인류의 휘황찬란한 책들이 망라돼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정말로 잘못된 것이다. 이 목록은 사람들에게 공연한 열등감만 갖게 한다. 이 목록을 본 사람이 ‘나는 저 100권의 책을 읽지 못했으니 교양인이 아니구나’ 하는 생각을 갖게 될 터이니 말이다.
이런 식의 제안은 철폐돼야 마땅하다. 왜냐하면 책은 편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두루 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책은 자기가 정말로 좋아하는 분야 것만 보면 되지 그 외의 책은 볼 필요가 없다. 자기가 관심 없는 분야의 책은 그게 교양 100선에 있다고 해도 읽을 필요가 없다. 자기가 좋아한다면 그게 만화책이든 철학책이든 관계없다. 책은 일단 재미있어야 한다. 그래서 책을 읽을 때 뒤에 남은 부분이 얇아지는 게 아쉬운 그런 책을 읽어야 한다.
그렇다고 좋아하는 책에만 안주하라는 것은 아니다. 그다음 작업은 자기가 좋아하는 작가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작가로 그 지평을 넓히는 것이다. 편식을 넘어서는 것이다. 일례로 나는 대학 시절 에리히 프롬을 아주 좋아해 그의 책을 다 읽었는데 그가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은 사람은 프로이트와 칼 마르크스, 스피노자였다. 이 중에 나는 뒤의 두 사람은 제치고 프로이트만 팠다. 그렇게 가다가 보니 켄 윌버까지 오게 됐다.
그다음은 절대 ‘베스트셀러 읽지 마라’는 것이다. 아무리 베스트셀러라도 내 관심 영역이 아니면 전혀 볼 필요가 없다. 그런 것은 읽어 보아도 이해할 수 없다. 이해가 안 되는 책은 보아서는 안 된다. 하나도 안 남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남에게 휘둘리지 말고 자신의 노선을 굳건히 지키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꼭 당부하고 싶은 것은 ‘어려운 책 보지 마라’는 것이다. 책을 어렵게 쓰는 사람은 대부분 자아도취에 빠진 사람이다. 자기가 쓰려는 내용을 확실하게 아는 사람은 어떤 주제든 쉽게 쓸 수 있다. 어려운 책은 과감히 집어던져도 된다. 그걸 이해 못한다고 열등감 가질 필요 없다. 지금 나에게 맞는 책은 항상 있으니 그것부터 읽기 시작하면 된다.
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사실 어떤 책이든 한 문장 혹은 몇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아무리 어려운 책도 그 핵심만 추리면 한 문장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일례로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 같은 어려운 고전도 ‘꿈은 소망 충족의 발현’이라는 간단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특정한 주제에 대해 알고 싶으면 대통령은 책을 읽을 필요 없이 그 분야의 저자들을 만나 강의를 듣고 토론하면 된다. 그게 훨씬 효율적이다. 우리 평민(?)들은 그렇게 할 수 없으니 책 한 권을 다 읽는 것이다. 우리는 대통령을 철인(哲人)으로 만들어야 한다. 좋은 대통령으로 만들어야 국민이 편해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대통령이 책 한 권에 매달리는 것은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이다.
물론 내가 책 읽는 것을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나는 ‘책 속에 길이 있다’고 믿는 고지식한 사람이다. 그런데 책에 대한 오해가 상당히 많다. 앞의 대통령 독서와 관계해 말한다면 조용히 앉아서 숙독해야 하는 책은 종교 경전이나 고전, 혹은 어려운 전문서 정도밖에 없다. 다른 책들은 굳이 정신을 집중해 읽을 필요가 없다. 물론 소설이나 시 같은 문학작품 같은 것은 예외다.
그다음은 가장 잘못된 독서에 대한 정보다. 가끔 보면 “반드시 읽어야 할 교양서 백선(百選)”과 같은 기사가 신문에 난다. 그 목록을 보면 ‘논어’나 ‘자본론’ 등 과거 인류의 휘황찬란한 책들이 망라돼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정말로 잘못된 것이다. 이 목록은 사람들에게 공연한 열등감만 갖게 한다. 이 목록을 본 사람이 ‘나는 저 100권의 책을 읽지 못했으니 교양인이 아니구나’ 하는 생각을 갖게 될 터이니 말이다.
이런 식의 제안은 철폐돼야 마땅하다. 왜냐하면 책은 편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두루 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책은 자기가 정말로 좋아하는 분야 것만 보면 되지 그 외의 책은 볼 필요가 없다. 자기가 관심 없는 분야의 책은 그게 교양 100선에 있다고 해도 읽을 필요가 없다. 자기가 좋아한다면 그게 만화책이든 철학책이든 관계없다. 책은 일단 재미있어야 한다. 그래서 책을 읽을 때 뒤에 남은 부분이 얇아지는 게 아쉬운 그런 책을 읽어야 한다.
그렇다고 좋아하는 책에만 안주하라는 것은 아니다. 그다음 작업은 자기가 좋아하는 작가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작가로 그 지평을 넓히는 것이다. 편식을 넘어서는 것이다. 일례로 나는 대학 시절 에리히 프롬을 아주 좋아해 그의 책을 다 읽었는데 그가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은 사람은 프로이트와 칼 마르크스, 스피노자였다. 이 중에 나는 뒤의 두 사람은 제치고 프로이트만 팠다. 그렇게 가다가 보니 켄 윌버까지 오게 됐다.
그다음은 절대 ‘베스트셀러 읽지 마라’는 것이다. 아무리 베스트셀러라도 내 관심 영역이 아니면 전혀 볼 필요가 없다. 그런 것은 읽어 보아도 이해할 수 없다. 이해가 안 되는 책은 보아서는 안 된다. 하나도 안 남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남에게 휘둘리지 말고 자신의 노선을 굳건히 지키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꼭 당부하고 싶은 것은 ‘어려운 책 보지 마라’는 것이다. 책을 어렵게 쓰는 사람은 대부분 자아도취에 빠진 사람이다. 자기가 쓰려는 내용을 확실하게 아는 사람은 어떤 주제든 쉽게 쓸 수 있다. 어려운 책은 과감히 집어던져도 된다. 그걸 이해 못한다고 열등감 가질 필요 없다. 지금 나에게 맞는 책은 항상 있으니 그것부터 읽기 시작하면 된다.
2018-08-2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