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언론 개혁, 포털만의 문제인가/이상일 호원대 초빙교수·언론인

[열린세상] 언론 개혁, 포털만의 문제인가/이상일 호원대 초빙교수·언론인

입력 2015-09-10 18:00
수정 2015-09-10 18: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근 광고주협회가 사이비 언론을 퇴출시켜 달라고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 사이트에 요청했다. 이는 소규모 언론사들이 포털 사이트에 기사를 노출함으로써 영향력을 높여 기업에 악의적인 기사를 유포시키지 못하도록 하려는 것이다. ‘악의적’이란 기업과 오너에 부정적인 기사를 반복 생산하면서 광고나 협찬 등 금전적인 대가를 요구하는 것이다. 광고주들이 언론 정화를 요청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어찌 보면 언론사나 언론인으로서는 입에 올리고 싶지 않은 사건이다. 그만큼 한국 언론의 치부를 드러내는 현상의 일단이다.

이미지 확대
이상일 언론인
이상일 언론인
사실 1인이나 적은 인원으로 창립한 소규모 언론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것은 2000년대 인터넷 시대부터 나타난 전 세계적인 공통 현상이다. 그래서 ‘미디어버블’이란 말까지 나왔다. 작은 언론사는 다양하게 등장한 포털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수단을 통해 영향력이 급증하고 빠르게 번져 나간다. 이 역시 전 세계적인 현상이고 한국이라고 예외일 수는 없다.

그런데도 광고주협회가 포털 사이트에서 소규모 악성 언론사를 퇴출시켜 달라고 요청한 것은 너무도 ‘한국적’이다. 무엇보다 한국 기업들은 약점이 적지 않고 특히 기업주들은 기업 공격에 예민한 탓도 있을 것이다. 기업들이 더 정정당당하게 기업 활동을 하고 오너들이 보다 느긋하게 대응한다면 기업들이 사이비 언론에 돈 주고 포털 사이트에 대응책을 요청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그렇다고 해도 광고주들의 지적은 일리가 있을 정도로 현재 한국 언론은 적지 않은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구독자와 시청자 수가 줄고 수익을 올리기 위해 너도나도 무리한 행사를 벌이며 광고로 도배를 한 섹션을 낭비적으로 발행한다.

이는 소규모 사이비 언론, 인터넷 언론의 문제만은 아니다. 이른바 일부 신문, 방송사 등 주류 언론사들의 경우도 적지 않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기업들도 잘 안다. 특히 수년 전부터 일부 언론사들이 주최하는 ‘포럼’이 홍수를 이룬다. 포럼을 개최할 명분과 효과가 있고 내용이 다 부실한 것은 아니지만 과도한 측면이 있다. 한국기자협회 조사로는 7개 메이저 언론사가 치른 이 같은 행사가 지난 1년간 (2014. 6~2015. 5) 184개에 이른다고 한다. 1사당 평균 15개 행사다.

포럼과 세미나의 경우 메이저 언론사는 물론 인터넷 언론사들도 너도나도 뛰어들어 서울 시내 주요 호텔과 대형 컨벤션 장소가 하루나 이삼일 정도의 이런 행사들로 장소 품귀 현상까지 빚어지는 실정이다.

외국의 이름깨나 있는 유명 인사들은 이런 포럼과 세미나의 1~2시간 행사 참석에 억대 참석료를 받고 온다. 한심한 외화 낭비에 후진적인 한국의 ‘봉’ 역할만 돋보이게 할 뿐이다. 그 비용은 대부분 기업들의 협찬으로 메워져 등골이 휘어질 것이다. 이런 포럼과 세미나를 이유로 거둬들이는 언론사 1사당 수십억원씩의 수입이 없다면 일부 언론사는 적자를 낼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아마 광고주들에게는 일부 소규모 사이비 언론보다 메이저 언론사의 포럼 등 대형 행사 협찬 요구가 더 버거울 것이다. 이 역시 누구도 견제하지 못하고 언론사도 자율정화 기능을 상실한 영역이다.

또 언론사들이 잇따라 건설회사나 제조업체 등 일반 기업에 인수되는 것도 한국 언론사의 슬픈 현실 중 하나다. 기업이나 기업주들의 방패막이로 이용되거나 계열 기업 오너가 언론사 회장과 사장을 겸하면서 언론사의 공정성이 침해받는 것이다.

제5공화국 초기 전두환 정권이 주도한 언론사 강제 통합 같은 초법적인 조치가 재도입될 수는 없다. 그러나 언론사를 누가 운영해야 하고 그 운영이 합법적, 합리적으로 운영돼야 한다는 사회적인 합의는 필요하다. 광고주들이 인터넷 언론사 규제를 요청하니 정부는 최근 인터넷 언론사가 정규직 5인 이상을 채용해야 한다는 규제를 발동했다. 이런 규제를 놓고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지만 먼저 기성 메이저 언론사부터 언론 환경 정화에 나서야 한다. 기업들의 불만을 사는 무리한 행사는 철수하겠다는 정도의 용기가 언론사 경영진에게 필요하다. 언론이 도매금으로 국민들에게 욕을 먹어서는 언론의 사회 목탁 기능도 약화될까 우려된다.
2015-09-1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