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광복과 분단의 소중한 교훈/정성윤 통일연구원 연구부장

[열린세상] 광복과 분단의 소중한 교훈/정성윤 통일연구원 연구부장

입력 2015-08-14 17:56
수정 2015-08-14 19: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내일은 조국이 광복되고 분단된 지 70년이 되는 날이다. 민족사에서 광복만큼 큰 기쁨은 없었고 분단만큼 큰 아픔도 없었다. 광복을 우리의 힘만으로 쟁취하지 못했기에 큰 아쉬움이 남으며, 분단 또한 우리의 의지와 상관없이 결정됐기에 회한이 밀려든다. 우리는 모두 그렇게 70년을 안타까워하고 뉘우치고 때로는 한탄하며 보냈다.

이미지 확대
정성윤 통일연구원 연구부장
정성윤 통일연구원 연구부장
하지만 비록 조국은 분단됐지만 국가 정통성은 한국에 의해 보존됐다. 더욱이 지난 70년간 한국은 세계사에서 유례없는 고속 성장과 민주화의 발전을 이룩했다. 1648년 근대 국가체제 성립 이후 국가의 평균 수명이 채 20년이 넘지 못하고, 종전 이후 한국만큼 성장한 국가를 찾아볼 수 없다는 점에서 한국의 지난 70년은 경이와 축복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불행히도 우리의 현실은 지난 70년의 기적에 자족하며 안주할 정도로 그리 녹록지 않다. 국가의 성장은 지체되고 있고, 사회적 갈등은 국가의 권능과 제도의 기대를 넘어서고 있다. 심지어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북한의 안보 위협 속에서, 그리고 주변 강대국들과의 치열한 국익 다툼 속에서 때로는 국가의 생존에 대한 의구심이 들 때도 있다.

“역사는 되풀이하지 않는다. 하지만 인간들은 되풀이한다”라는 볼테르의 말처럼 이 땅의 우리가 무엇인가를 잘못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아니면 우리 한국은 올바른 길로 가고 있는가. 아마도 이에 대한 해답은 우리 조국이 걸어온 광복과 분단, 그리고 이후의 70년 역사 속에서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미래를 알고 싶거든 과거를 보라”라는 처칠의 잠언(箴言)처럼 말이다.

첫 번째 교훈은 국가의 최우선적 목표는 바로 생존이라는 점이다. 생존 없이는 번영도 없다. 냉엄한 국제정치 현실에서 국가의 생존은 국력에 달렸다. 구한 말 우리의 조상은 국제정세의 흐름과 우리의 능력을 냉정하게 판단하지 못하고, 오로지 실체 없는 도덕적 이상과 기약 없는 타국의 호의에만 의지했다.

그 결과 1904년 러일전쟁 직후 이토 히로부미가 고종 황제에게 주권 포기를 강요하는 진실의 순간이 찾아오고야 만 것이다. 만약 우리가 일본이 그랬듯이 근대화를 통한 국력 배양에 힘썼더라면, 국가의 생존은 부국강병을 통해 쟁취해 나가는 것이라는 사실을 알았더라면 우리는 패망이라는 역사적 전환점을 비켜 나갔을지 모른다. 또한 광복이라는 단어가 낯선 세상에서 살고 있을지도 모른다.

국력 배양이 생존과 번영의 충분조건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도 소중한 교훈이다. 국가의 능력은 상대적이다. 따라서 국력을 어떻게 활용하는가의 문제가 중요하다. 즉 국가가 선택한 정치체제하에서 지도자가 어떠한 국가 전략을 어떻게 추진해 나가느냐를 통해 국력 운용의 성패는 결정된다.

분단 이후 근 20년 동안 북한의 경제력과 군사력은 한국보다 상대적 우위에 있었다. 하지만 이후 반세기 만에 북한은 지구촌의 대표적 실패 국가로 전락했다. 국가의 안위는 위태롭고 주민들은 굶주리고 있다. 북한이 후진적 정치체제를 고수하며 잘못된 국가 전략과 퇴행적 리더십을 견지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어디로 그리고 어떻게 가야만 하는가. 해답은 통일에 있다. 통일은 한민족 공동체의 평화로운 생존과 번영에 소중한 기반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무엇보다도 국력 강화를 위해 배전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 통일을 위해서는 주변 강대국들의 이해와 협력 그리고 국제사회의 지지와 공감대 확산이 중요하다. 국력의 신장만이 외교 역량을 키울 수 있다. 외교를 위한 나침반으로 정교한 국가 대전략도 필요하다.

이 속에 통일 청사진과 함께 민족의 지속 가능한 번영을 위한 혜안들이 담겨야 한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86%는 통일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국민의 기대를 실현해야만 하는 냉엄한 책임이 이 땅의 지도자들에게 있다. 통일이 되는 날, 분단은 종식되고 우리는 제2의 광복이라는 또 다른 역사의 진실의 순간을 맞이할 것이다. 광복 70년이 되는 이날 그러한 벅찬 환희를 고대한다.
2015-08-1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 or 31일
정부와 국민의힘은 설 연휴 전날인 27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내수 경기 진작과 관광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결정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결정에 일부 반발이 제기됐다.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경우 많은 기혼 여성들의 명절 가사 노동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의견과 함께 내수진작을 위한 임시공휴일은 27일보타 31일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있다. 설명절 임시공휴일 27일과 31일 여러분의…
27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31일이 임시공휴일로 적합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